팔면체 [M(Ⅲ)$A_3B_3$]형태 착물의 쌍극자모멘트에 ${\pi}$결합 분자궤도함수의 기여분을 계산하는 방법을 발전시켰다. [M(Ⅲ) = Ti(Ⅲ), V(Ⅲ), Cr(Ⅲ), Fe(Ⅲ), 또는 Co(Ⅲ); A = O 또는 N; B = N, S 또는 Cl] 쌍극자모멘트에 대한 ${\pi}$결합 분자궤도함수의 기여분은 ${\sigma}$결합 분자궤도함수의 기여분보다 작지만 비 편재화 ${\pi}$전자를 가지고 있는 킬레이트 착물에 까지도 무시할 수 없음이 발견되었다. 계산한 쌍극자모멘트가 ${\sigma}$결합 형성 만을 가정했을 때 보다 실험치에 가까웠다.
벤조산, 파라메톡시벤조산 및 파라니트로벤조산의 산해리상수를 $25^{\circ}C$에서 메탄올의 무게퍼센트가 0, 10, 20, 30, 40, 50, 65 및 80%인 에탄올-물 혼합용매중에서 직접 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약산의 시료를 과염소산용액으로 적정하면서 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하고, 이 두가지 방법으로 구한 결과를 검토하고 다른 방법과 비교하였다.
메시틸렌과 요오드, 브롬, 일염화요오드 및 일브롬화요오드와의 각 계를 사염화탄소용액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하여 연구한 결과 $C_6H_3(CH_3)_3{\cdot}X_2$ 및 $C_6H_3(CH_3)_3{\cdot}IX$ 형의 전하이동착물이 형성됨을 알았다. (X는 할로겐원자). 이들 착물생성에 의한 흡수최대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blue shift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각 온도에서의 평형상수를 구했다. 이 값으로부터 이들 착물생성에 대한 ${\Delta}H$, ${\Delta}G$ 및 ${\Delta}S$ 등의 열역학적 파라미터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각 온도에서의 메시틸렌과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ICl > IBr > $I_2$ > $Br_2$ 이 순서는 메시틸렌에 대한 그들의 상대적 산성도를 의미하며 할로겐분자의 편극율 및 할로겐원자의 전기음성도의 차이에 의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결과와 전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폴리메틸벤젠과 요오드와의 착물의 상대적 안정도가 다음 순서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Benzene
Biindenyl dianion의 존재를 논의하기 위하여 모델 화합물로서 2, 3-dimethyl butadiene 을 취하여 이의 mono 및 dianion에 대하여 CNDO/2 계산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분적으로 기하학적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이들의 전자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여 보았다. 이 결과 dianion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는 mono-anion에 미치는 안정화 효과와 현저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
$SiO_2$/$Al_2O_3$ 비가 높은 제올라이트 ZSM-5를 합성하여 메탄올의 탄화수소로의 전환반응을 조사하였다. 메탄올이 전환되어 올레핀, 파라핀, 시클로파라핀 및 방향족화합물이 생성되었으며 특히 방향족 화합물에 대한 큰 선택성을 보여 주었고 1,3,5-trimethylbenzene의 크기정도에 제한된 형상선택성 촉매작용임을 알 수 있었다. 수소형태(HZSM-5)가 활성이 커, 메탄올이 탈수되어 일어나는 잇단 복잡한 반응들이 산촉매반응이 주임을 보여 주었다. ZSM-5와 구조가 유사한 mordenite와 3차원구조를 지닌 faujasite 촉매에서의 메탄올의 반응으로 구조적 영향과 TPD실험에 의한 산점분포를 비교한 결과 메탄올로부터 방향족화합물에 이르기까지의 탄화수소 합성에서의 ZSM-5 제올라이트의 촉매작용은 높은 실리카함량에 기인한 강한 산성과 교차하는 세공관 구조에 의한 분자체 효과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큰 입력지향을 갖는 20개의 sample and hold가 MOSFET으로 switching되는 간편하면서도 비용이 적게드는 analog 기억장치를 제작하였다. 이것은 digital로 3KHz.까지 임의로 조절되는 shift register로 연결되어 있다. 이 장치의 유용성을 보이기 위해 square와 sine파 및 fast-scan voltammetry와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의 전류-시간 변화와 같은 전기화학적 실험을 행하였다.
치환 브롬화페나실과 치환 피리딘과의 반응속도를 메탄올과 DMF 용매중, 25∼$45^{\circ}C$의 온도범위에서 전기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용매 다 같이 치환 피리딘에서는 전자를 주는 기가 치환되었을 경우 반응속도 상수는 컸으며, 반대로 전자를 끄는 치환기일 경우는 반응속도 상수가 작았다. 기질에서의 치환기 효과는 핵에 전자를 끄는기가 치환되었을 경우 반응속도는 증가하였다. 이 사실들은 탄소원자에 아민이 친핵적으로 공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롬화페나실과 피리딘의 반응에서 보여준 등속온도는 메탄올과 DMF에서 각각 614와 $202^{\circ}K$였고 $Br{\phi}nsted {\beta}$값은 0.29와 0.36이었다. 치환 브롬화페나실과 피리딘과의 반응의 경우는 등속온도는 전자를 끄는 치환기일 수록 감소하였으며, ${\beta}$값은 그 반대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p-Cl에서 p-MeO 브롬화페니실로 감에 따라 N…C 결합형성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결합 형성은 DMF가 메탄올보다 우세하게 진전함을 추측할 수 있다. 치환 피리딘의 경우 Hammett식의 ${\rho}$값은 양 용매에서 모두 부(-)의 값을 가졌다. 핵 치환 브롬화페나실에서의 ${\rho}$값은 0.3의 적은 값이었으며 이는 메틸렌탄소에 피리딘의 질소 원자가 직접적으로 $S_N2$공격을 한다고 생각된다.
Trimethyldiethylaminosilane, trimethylanilinosilane, trimethyldiethylaminostannane 및 trimethylanilinostannane 을 phenylisocyanate와 20, 50, 100 및 $150^{circ}C$에서 각각 3일간 반응시켰다. 모든 경우, $100^{circ}C$ 이하에서는 triphenylisocyanurate만이, $150^{circ}C$ 이상에서는 triphenylisocyanurate와 함께 diphenylcarbodiimide도 상당량 생성되었다. 그 반응속도는 silane의 경우는 anilino 화합물이 diethylamino 화합물보다 빨랐으나, stannane의 경우에는 anilino 화합물이 diethylamino화합물보다 오히려 늦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