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KOSFA)
- Annual
Domain
-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 Agricultural, fisheries, livestock goods safety
- Agriculture, Fishery and Food > Food Science
2005.10a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학회업무 관리, 학술정보 관리를 학회가 어려움 없이 처리하도록 지원하고자, 학회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학회 학술 정보 유통 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화 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ulcorner$ KISTI -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lrcorner$ 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또한 2003년부터 최근 3년간 학회 편집위원회와 같은 임원회의를 통해 추가 요구기능을 수렴, 분석하고 재설계하여 2005년 9월에 KISTI-ACOMS 버전 2.0을 출시하여 최근 과학기술분야 학회를 대상으로 무상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학회 정보화의 고도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시기의 흐름에 맞추어 한국축산식품학회 또는 KISTI-ACOMS 버전 2.0을 도입하였으며, KISTI는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제반환경과 심사 프로세스를 분석, 적용하여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KISTI - ACOMS 버전 2.0을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웹기반 논문투고관리 시스템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명세를 기술함으로써 한국축산식품학회의 개선된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
In recent year, animal welfare is more and more attracted public concern. Many countries have legislated animal welfare laws especially in EU. Now, it is appearing as an international issue in livestock product trade area because of animal welfare standard differences. The concept of animal welfare is not scientific but Ideological. In relation to consumer quality, animal welfare was defined confidential quality attribute. Therefore it is hard to approach to technical quality characteristic. This article reviewed interrelationships of animal welfare and product quality included in animal welfare as a quality factor, the mechanisms of determined quality influenced by animal welfare, relations of the type of animal welfare and quality profiles, and global perspectives.
-
흑염소 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약 21,1%, 조지방 함량은 약 3.7%로 단백질 함량은 우육과 유사하였으나 지방함량이 다른 축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등심부위가 47.62% 볼기부위가 41.88%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oleic acid가 등심(46.59%) 및 볼기(50,29%)였다. 흑염소 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35.73
${\sim}$ 37.48 mg/100g으로 우육 및 돈육과 비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흑염소 육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수아미노산 비율은 약 50.3%이었다. 미네랄 함량은 칼륨>인>나트륨>마그네슘>칼슘>아연 >철>구리>망간 순이었다. L-carnitine 함량은 20.8${\sim}$ 26.0mg/100g의 범위로 우육과 돈육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국, 흑염소육은 무기질 함량도 높으며 특이적인 생리활성 영양성분인 carnitine도 타육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여서 영양학적으로 저지방 고단백질의 육류로 판단되었다. -
Jeon, Gi-Hong;Kim, Yeong-Bung;Yang, Seung-Yong;Lee, Nam-Hyeok;Mun, Yun-Seon;Park, Mi-Seon;Jang, Ae-Ra 107
돈피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일반성분, 아미노산, 지방산, 색도,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은 등 부위를 제외한 부위들이 비슷한 수치를 보였고 아미노산은 앞다리 부위와 뒷다리 부위가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돈피의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서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방산의 종류별로는 oleic aic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색도는 붉고 황색기가 적으며 명도가 높은 등 부위와 배 부위가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이는 관능에 영향을 미쳐 명도가 낮고 붉은 황색을 띄는 앞다리보다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
1. 증체량 이유자돈 시부터 비육돈 완성기간까지 비육 전체 기간동안의 증체량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처리별 암컷의 증체량은 생봉독처리 2구에서 99.08kg으로 가장 높았고, 생봉독처리 1구에서 99.08kg, 무처리구에서 95.88kg, 생봉독처리 3구에서 93.50kg 순으로 최고치와는 5.58kg의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대조구와는 3.2kg 증체량이 높아 3.3% 증체율이 높았다. 거세돈에서의 처리별 증체중은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2.23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생봉독처리 1구에서 101.79kg, 무처리구에서는 88.96kg, 생봉독 3처리구에서는 95.76kg의 순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는 6.47kg으로 유의한 수준차(p<0.05)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보다는 3.2kg의 증체량 차이로서 암컷과 같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사료효율 비육 전체기간 동안의 처리별 암수간 평균 두당 사료섭취량과 사료효율은 다음과 같다. 암컷의 평균 사료효율은 생봉독 처리 1구에서 2.55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은 생봉독처리 2구와 대조구에서 2.56으로 동일하게 분석되었으며, 생봉독 3처리구에서 가장 저조한 2.62의 순으로 분석되어 사료효율 0.07 차이로 2.3%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발육성적이 가장 높은 생봉독 2처리구에서는 255kg의 사료를 섭취하여 2.54의 최적의 사료효율을 보여주어 사료 효율면에서도 생봉독 2처리구에서 가장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육성율 및 생산지수 폐사수는 생봉독 처리 3구에서 2두(자웅 각 1두)가 발생하여 육성율 95%로 처리구중에서 가장 저조하였고, 다음은 대조구 1두가 발생하여 육성율 97.5%를 보여주었는데 비하여 생봉독처리 1구와 2구에서는 폐사돈이 발생하지 않아 육성율 100%를 보여주었다. 생산지수는 대조구를 100으로 기준하였을 때 생봉독처리 2구에서 107.87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생봉독 처리 1구에서 106.22, 가장 저조한 처리구는 폐사수가 많은 생봉독 처리 3구에서 94.73으로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생봉독 처리 2구에서 가장 우수한 생산효과를 나타내었다. 4. 생산성 향상 효과 처리별 대조구(100) 대비 사료섭취량은 생봉독 처리 3구에서 97.22로 가장 낮았고, 기타 처리구는 1.19
${\sim}$ 1.59의 처리를 보이고 있는데 비하여, 대조구(100) 대비 증체율에서는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3.30으로 3.30%가 높았다. -
1. 도체특성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봉독 1처리구와 2처리구의 경우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도체중, 도체율이 증가하였으며, 등지방두께도 두꺼워졌다. 이러한 도체특성은 도체등급을 향상시켜 A와 B등급 출현율이 높아져 경제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육질특성과 PSE육 발생율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봉독 1처리구와 2처리구의 경우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등심육의 일반성분중 지방함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pH와 보수력이 높고, 육즙손실과 가열감량이 낮아 우수한 육질특성을 나타냈다. 그 외 주관적 판정의 마블링 점수가 높았고, 육색측정에서도 진한 적색을 나타내어 우수한 외관을 보여주었다. PSE육 발생율에서는 암퇘지와 거세돼지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3개 생봉독처리구에서 발생율이 감소했는데, 특히 생봉독2처리구가 낮았다.
-
Sin, Seong-Cheol;Sin, Gi-Hyeon;Park, Jong-Geun;Lee, Jun-Je;Baek, Myeong-Gi;Heo, Yeon-Beom;Chae, Ji-Seon;Jeong, Gu-Yong;Jeong, Ui-Ryong 119
본 연구는 한우 근내 지방 축적 기작을 구명하고 고급육과 저급육에서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를 발굴 동정하여 한우 육질 진단을 위한 분자 표지 마커로 활용하기 위해 GeneFishing PCR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 육질등급에 따른 등심조직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한우 육질 등급($1^+$ 등급 vs 3 등급)간에 총 10개의 차등 발현 유전자가 확인되었고 이 가운데 고급육 한우 등심에서 발현량이 높은 유전자가 4개 그리고 저급육 등심에서 발현량이 높은 유전자 6개가 각각 검출되었다. 발현량 차이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상동성 검색을 실시한 결과 고급육에서 발현량이 높은 DEG는 주로 EST(expressed sequence tag) 유전자들로 밝혀졌고 저급육에서 발현량이 높은 DEG는 malate dehydrogenase 2(MDH2), myosin heavy chain 2a, triosephosphate isomerase 1(TPI 1), actin, alpha 1, skeletal muscle(ACTA1 ) 유전자들로 동정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우 육질간 차등 발현되는 유전자들은 한우 육질 및 등급판정을 위한 표지인자(marker)로 활용할 수 있어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고급육 생산 한우의 육질 조기진단이 가능할 것이다. -
Sin, Seong-Cheol;Kim, Hui-Chan;Kim, Gi-Rak;Jeong, Hwa-Cheol;Choe, Eun-Ju;Jo, Ha-Na;Jeon, Sang-Hui;Gwon, Su-Yeon;Kim, Bo-Hyeon;Jeong, Gu-Yong;Jeong, Ui-Ryong 123
본 연구는 고등동물의 불포화지방산 생합성의 핵심 효소로 알려져 있는 Stearoyl-CoA desaturase(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 한우의 도체 및 육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CD 유전자의 Intron 7번 영역의 특정부위를 포함하는 primer를 제작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구조를 해석한 결과 총 211bp 크기를 갖는 염기서열의 122번째에서 아데닌(A)${\leftrightarrow}$ 구아닌(G) 염기치환으로 발생한 단일염기다형(SNP) 부위를 발견하였다. 이들 단일염기다형 염기서열 부위를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종류의 SNP 유전자형(A/A, A/G 및 G/G)을 검출하였다. 이 가운데 A/G 유전자형이 한우의 근내지방도와 등지방두께와 고도의 유의적 연관성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우 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 염기다형 표지인자는 한우의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육질이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하는 우량 한우의 조기식별에 매우 유용한 DNA 표지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Yang, Seung-Yong;No, Jeong-Hae;Kim, Yeong-Bung;Hwang, Jin-Bong;Lee, Nam-Hyeok;Kim, Min-Ji;Park, Ji-Eun 127
본 실험은 한우육과 호주산 우육의 근단백질의 특성 및 열변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Rheometer를 이용한 물성 측정 및 DSC를 이용한 열변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우육 및 호주산 우육의 물성 측정에서는 한우육이 호주산 우육보다 물체에 가해진 변형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 물체에 가해진 에너지가 소멸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왔다. DSC측정에서는 한우육 및 호주산 우육 모두 주요한 세 개의 peak가$63.5^{\circ}C$ ${\sim}$ $97.6^{\circ}C$ 구간에서 나타났다. 한우등심이 호주등심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 변성되기 시작하여 한우등심이 낮은 peak 온도로 변성되었다. 한우우둔과 호주우둔은 비슷한 온도에서 변성되기 시작하여 한우우둔이 높은 peak 온도로 변성되었다. 총 변성 엔탈피는 한우등심이 4.22J/g, 한우우둔이 6.26J/g, 호주등심이 4.64J/g, 호주우둔이 6.27J/g 이었다. 본 실험의 결과 한우육이 호주산 우육에 비하여 구조가 안정되어 변형도가 작고, 육조직이 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우우둔의 경우 호주산 우육에 비하여 근단백질의 열변성도가 낮아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In general, the application of HP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functionalities of meat protein. In the current study, HP allowed the lower thermal processing of restructured meat product. Low thermal processing allowed fresh-like meat color which is one of problems in hot-set restructuring, while they showed slight discolorization induced by HP. In addition, HP processing combined with thermal processing could be achieved the palatable binding strength in restructured meat product. The addition of non-meat protein had an effect in binding strength. However, they showed no effect on water binding properties at 200 MPa, especially in milk proteins such as casein and whey protein. This is probably due to protein aggregation or to increase in surface hydrophobicity under HP.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HP on meat restructuring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addition of binder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HP has apotential benefit in restructured meat product, an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
In this research, PSF and PBF indicated beneficial influence on water binding ability of meat comparing to conventional freezing methods. High pressure in freezing process resulted some changes inhysical characteristics of pork: increment each color value, shear force and pH in PSF, PAF and PBF.
-
Jin, Sang-Geun;Kim, Il-Seok;Ha, Gyeong-Hui;Ryu, Hyeon-Ji;Park, Gi-Hun;Kim, Dong-Hun;Yang, Mi-Ra;Park, Seok-Tae;Gwak, Gyeong-Rak;Park, Jeong-Gwon;Gang, Yang-Su 142
pH는 두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T1의 염도는 저장 전 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 T2는 저장 28일에는 1.33%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당도는 T1이 T2 보다 저장 전 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T1에서$L^*$ 값과$b^*$ 값은 증가하는 반면 T2는 감소하였다.$a^*$ 값과 전단가(g/$cm^2$ )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증가하였다. 관능검사결과, 저장 28일차까지 전체적인 기호도는 6,75(T1)${\sim}$ 7.00(T2)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양념으로 사전 숙성 처리하여 진공포장한 양념 사슴육은 새로운 메뉴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양념으로 사전 숙성 처리하여 진공포장한 양념 사슴육은 새로운 메뉴로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
Kim, Il-Seok;Jin, Sang-Geun;Ha, Gyeong-Hui;Park, Gi-Hun;Ha, Ji-Hui;Jeong, Gi-Jong;Choe, Yu-Mi;Park, Seok-Tae;Gwak, Gyeong-Rak;Park, Jeong-Gwon;Gang, Yang-Su 146
엘크 사슴고기(Elk deer, Cervus elaphus andadensis)에서 생산된 등심(T1)과 뒷다리살(T2)에 대한 품질 특성을 파악코자 실시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T2가 T1보다 수분 함량은 낮고, 단백질 함량은 높았으며, 전단가는 낮고 보수력은 높았다. 육색 측정 결과 T1 및 T2간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특성 조사에서 경도, 부착성, 검성 및 파쇄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응집성과 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산 분석결과, SFA와 UFA는 두 부위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EFA는 T1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
환경친화적 기술로 알려진 방사선조사기술(RT: Radiation Technology)을 이용하여 돈피 유래 올리고펩타이드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생 박 돈피를 hammer mill과 chopper를 이용하여 조분쇄한 후
$-20^{\circ}C$ 아세톤으로 탈지하였고,${\gamma}$ -ray irradiator를 이용하여 0, 20, 40, 60, 100, 150, 200, 250, 300 kGy의 총 흡수량을 얻도록 탈지돈피에 방사선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조사에 의한 탈지돈피의 pH 변화는 0${\sim}$ 100 kGy 조사선량에서는 미비했으나, 150 kGy 이상에서는 소폭 증가하였다. 탈지돈피의 단백질 함량 중 콜라겐 함량은 93% 이었으며 방사선조사된 돈피콜라겐을 효소처리하면 효소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 약 24 kDa 범위에서 밴드가 확인되었고, 100 kGy 이상의 고선량에서는 효소반응 2시간 이후 10% polyacrylamide 전기영동 겔의 최 하단에 머무는 분자량의 펩타이드가 다량 관찰되었다. 용해도 변화는 20${\sim}$ 60 kGy의 선량에서는 효소반응 시간이 길어질수록(1시간${\sim}$ 4시간) 최대 65${\sim}$ 80%의 용해도 증가를 보였고, 반면에 100 kGy 이상에서는 효소반응 시간에 관계없이 80% 이상, 300 kGy에서는 90% 이상의 용해도를 보여주려다. 점도와 탁도는 100 kGy 이상의 고선량에서 짧은 효소반응 시간(1시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가수 분해물(300 kGy)을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한 결과 분자량 9,000 Da의 주 피크가 검출되었다. -
Seo, Jeong-Eun;Jo, Yeong-Jun;Seo, Myeong-Hui;Kim, Yeong-Ho;Lee, Nam-Hyeok;Hong, Sang-Pil;Kim, Yun-Ji 153
방사선 조사한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방사선 조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comet tail이 증가하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방사선 조사한 돼지고기에서 3 kGy를 제외한 다른 조사선량과 대조구는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comet tail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방사선 조사한 토끼고기는 방사선 조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comet tail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나 저장기간에 대해서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유의차가 없었다. -
사후처리시간에 따른 유화형소시지의 제조시 강직근의 낮은 pH는 제품의 유화안정성 및 가열감량을 높여 최종제품의 결착력 및 형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나, 이러한 낮은 수분보습력의 결과와는 달리 강직근 및 강직후근에 비해 낮은 명도 및 높은 적색도를 보여 온도체육의 가공 특성인 발색 향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온도체육의 낮은 brittleness, hardness 및 gumminess은 제품의 결착력 감소에 따른 결과이며, 강직근의 높은 brittleness, hardness 및 gumminess은 사후강직을 통한 낮은 수분보습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Yang, Han-Sul;Jeong, Jin-Yeon;Kim, Hyo-Seon;Kim, Byeong-U;Lee, Jeong-Gyu;Jeon, Jin-Tae;Do, Chang-Hui;Ju, Seon-Tae 161
비육돈 생산에 있어 교배조합이 부분육수율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YLB, YLD 및 BD품종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부분육의 경우 YLD 및 BD이 YLB에 비해 높은 삼겹살, 목심 수율을 나타내었고, 전체 정육의 수율도 높았다. 육질 측정 결과, YLB, YLD에 비해 BD에서 높은 pH 및 낮은 명도(L*)값을 보였으며, 지방산 분석 결과, 포화지방산 함량은 YLD 품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불포화지방산은 BD 품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 목적은 단백질 결착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으로, 결착제와 지방사이의 결착성 강도를 보완하고 그에 맞는 결착제를 찾기 위함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의 단백질 결착제는 근육간의 결착성은 높았으나, 지방과 결착제와의 결착성이 떨어지는 경항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여러 종류의 단백질 결착제 결착성과 인장강도를 조사한 결과, 현재 유통되고 있는 여러 결착물질들 중, 지방과의 결착성은 gelatin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우의 Myosin B 단백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pepsin으로 처리한 다음 단백질의 함량과 혈압상승 펩티드 생성효소인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등심이 우둔에 비해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으며, 가수분해 처리 후 우둔과 다르게 등심은 3시간 가수분해 처리구에서 단백질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등심에서는 3시간, 우둔에서는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때 ACE 저해율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 6시간동안 가수분해시켰을 경우 부위 별로 유의적인 차가 있었으나(p<0.05), 0, 1시간동안 가수분해 시켰을 때는 부위간의 유의적인 차는 없었다(p>0.05). ACE 저해율이 가장 좋은 가수분해 처리구를 ultrafiltration시킨 결과, 저분자 peptide 상태의 가수분해물이 고분자에 비하여 ACE 저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ACE 억제활성도가 높은 단백질을 분리하여 가장 우수한 분획을 찾아 아미노산 염기서열을 밝혀 고혈압 억제제로 합성 개발하는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냉동 저장 시 돈육의 부위, 포장방법 및 저장기간이 지방산패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H는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TBARS 값은 저장기간과 포장방법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저장 후반부로 갈수록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유리지방산가는 TBARS 값과 반대로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이 고지방인 삼겹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P<0.05). 미생물 변화는 저장기간, 포장방법, 지방함량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추출된 휘발성 화합물들은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고 포장방법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0.05) 탄소수 10개 미만인 2,4-dimethyl-1-heptene, hexanal 그리고 4-methyl-2-hexanone은 저지방인 등심보다 고지방인 삼겹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탄소수 10개 이상인 고분자 화합물들은 고지방인 삼겹보다는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에서 많이 검출되었다(P< 0.05).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삼겹에서 유리지방산가와 4-methyl-2-hexanone, 등심에서 유리지방산가와 9-octadecenal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육의 냉동보관은 식육내 존재하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여 미생물, 효소 그리고 자동산화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2차 생성물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근원섬유 단백질에 카제인염을 첨가함으로써 유화안정성이나 보수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나 가제인염은 열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TGase가 이러한 카제인염의 단점을 보완해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량분석기와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열량분석기의 경우 근원섬유 단백질과 카제인 염 단백질의 상호교차결합을 TGase의 첨가유무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TGase의 첨가는 각 단백질 열량변화가 나타나는 온도를 변화시켰으며 배양시간을 증가할수록 각 단백질별 열량변화의 차이를 보였고 peak의 크기에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기영동의 경우 MFP, SC, MFP:SC의 1:1 혼합액을 각각을 TGase 첨가한 것과 하지 않은 것을 비교한 결과, TGase의 첨가는 고분자 polymer를 만들어줌으로써 두 단백질간의 상호작용에 촉매제로써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식염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로인 햄의 품질특성을 평가하고, 제조 가능한 최저식염첨가수준을 결정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염첨가량을 0, 0.5, 1.0, 1.5, 2.0%로 달리하여 염지액을 다침주사로 주입한 로인 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학적 및 관능적 성상을 평가하였고, 고염처리구와 비교하였다. 제조한 로인 햄의 pH, 그리고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각각 5,8
${\sim}$ 5.9, 66${\sim}$ 70%, 1${\sim}$ l.3%, 21${\sim}$ 26%였다. 수분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반면에 단백질함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에서만 고염 처리구 중 1.5%가 저염 처리구 0.5%이하와 차이를 보였다. 보수력은 식염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반면에 가열감량은 식염 무첨가구가 0.5%이상의 식염 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조직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한 allo-kramer 전단력 측정 결과, 식염 무첨가처리구는 0.5${\sim}$ 1% 식염첨가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1.5${\sim}$ 2% 첨가처리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곁과에서 식염 무첨가구는 평가항목 전반에 걸쳐서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다즙성, 색도, 염도 및 총체적인 항목에서 매우 낮게 평가되어 제품으로서 가치를 상실하였다. 반면에 0.5% 이상의 식염 첨가구는 식염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사한 관능적 특성을 보였으며, 2.0%의 고염 처리구는 오히려 염도에서 다른 평가항목보다 낮게 평가되었고, 1.0% 식염 첨가구는 오히려 조직감과 염도에서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 가능한 식염첨가최저수준은 0.5%이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로인 햄의 제조에 필요로 되는 식염의 첨가량은 0.5${\sim}$ 1.5% 범위로 평가된다. 차후의 연구로는 저염 로인 햄의 경우 품질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이나 가공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약 40%의 지방을 가지고 있는 발효 소시지의 지방을 제거하고 항고혈압과 항균활성을 가진 기능성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고자 실시하였다. 저지방 발효 소시지는 기존의 고지방 발효 소시지에 비하여 무려 38%이상의 지방을 제거하였고 숙성기간을 기존의 고지방 대조구에 비하여 7일 이상 단축시킴으로써 저지방 발효소시지의 제조기간이 단축되었다. 항고혈압 및 항 콜레스테롤 활서을 가지는 기능성 유산균주를 첨가한 결과 저지방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숙성초기의 항고혈압 활성을 증가시켰다.
-
Jeong, Jong-Yeon;Choe, Ji-Hun;Choe, Yun-Sang;Han, Du-Jeong;Kim, Hak-Yeon;Lee, Mi-Ae;Lee, Ui-Su;Baek, Hyeon-Dong;Kim, Cheon-Je 190
본 연구는 돈육 후지 부위를 이용하여 건조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돈육 육포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여 더 좋은 품질의 육포 제조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전체적으로 역계단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수분함량, 건조수율, 연도 및 관능적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재수화를 통한 복원력도 우수하였다. 반면에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는 육포의 제조법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효과는 있었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고, 오히려 제품의 품질 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역계단식($72^{\circ}C$ (90분)${\to}$ $65^{\circ}C$ (60분)${\to}$ $55^{\circ}C$ (60분))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우수한 품질의 육포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
Choe, Yun-Sang;Lee, Mi-Ae;Jeong, Jong-Yeon;Choe, Ji-Hun;Han, Du-Jeong;Kim, Hak-Yeon;Lee, Ui-Su;Kim, Jin-Man;Baek, Hyeon-Dong;Kim, Cheon-Je 193
본 실험은 ISP, CSP의 대체제로서의 wheat fiber첨가가 meat batter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Meat batter에서 control은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열감량, 보수력, 유화안정성, 물성, 점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Meat batter에 wheat fiber를 첨가하였을 경우, ISP, CSP를 첨가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pH, 보수력, 육색, 유화안정성, springiness, cohesiveness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가열감량과 점도, hardness는 다른 첨가제와 비교하여 wheat fiber가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ISP, CSP의 대체제로 wheat fiber를 첨가한다면 meat batter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경제적인 측면에서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Choe, Ji-Hyeon;Han, Eun-Yeong;Park, Jin-Gwan;Lee, Su-Yeon;Choe, Dong-Mi;Sin, Ho-Cheol;Lee, Chi-Ho 196
축산식품 고기내의 잔류항생물질을 신속하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시험법 개발 을 목적으로 하였다. 축산식품내의 일반적인 잔류항생물질에 대한 지금까지의 분석법으로는 Bioassay법, TLC법, ELISA법, GC법 및 HPLC법 등이 있지만 Streptomycin/Dihydro streptomycin, Neomycin에 대한 HPLC법은 거의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인 검사법으로는 Bioassay법 및 HPLC법 등이 있지만 그러나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검출감도가 낮은 것이 큰 문제점으로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DST에 대한 HPLC법에 대한 보고한 P. Edder 방법 중에 clean-up과정 및 이동상 조건을 대폭 수정하여 DST의 분리 및 검출감도를 낮추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도체화 장치 Post-Column Derivatization Instrument PCX 5100 (Pickering Laboratories, Inc.)의 컬럼온도는$40^{\circ}C$ , 오븐온도$55^{\circ}C$ , reagent 유속 0.6ml/min mobile phase 유속 0.8ml/min으로 검출기는 형광검출기를 이용하여 DST 검출에 대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때의 분석소요시간은 약 15분이었다. 표준시료 DST의 검량선은 넓은 농도범위(0.02${\sim}$ 1.0ppm)에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본 시험법에 의한 검출한계는 limit of detection (LOD)은 0.02ppm이었으며, 적어도 고기에서의 MRL이 0.6ppm임을 감안하면 DST를 정량적으로 정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상기의 조건하에서 실제시료인 고기에 표준 DST를 1ppm을 spiking한 후 SPE상에서 SCX(Strong cation exchange column)을 통한 clean-up과정을 거친 후의 DST의 limit of quantification(LOQ)는 약 0.47ppm이었으며, 이에 대한 회수율은 97.7%(n= 8)를 나타냈다. 실제 codex에서 권장한 고기의 MRL이 0.6ppm인 점을 감안하면 codex 권고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험법은 지금까지 국내적으로 DST에 대한 시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와 아울러 간편한 parallux와 병용해 DST에 대한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유도체화 장치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해 잔류항생물질 DST에 대한 분석시험법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
본 실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의 유산균의 수준을 달리하여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체지방 조성의 변화와 Atherogenic Index를 측정하였다. 각 군별 체중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A.T., P.A.T. 중량은 각 군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p<0.05). 또한 각 군별 LDL-Cholesterol과 Free Cholesterol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p<0.05), Atherogenic Index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이 것으로 LDL-cholesterol과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Lee, Ju-Un;Seo, Ji-Hyeon;O, Sang-Hui;Yu, Yeong-Chun;Seong, Nak-Yun;Jeong, Il-Yun;Byeon, Myeong-U 210
감마선 조사된 실크 펩타이드의 전자공여능은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IC50은 비조사구에 비해 50${\sim}$ 70%로 감소되었다. 또한, 실크 펩타이드가 첨가된 햄버거 패티를 감마선 조사하여 측정한 결과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 산패도가 증가하였지만 실크 펩타이드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지방산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실크 펩타이드의 첨가가 가열 및 감마선 조사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햄버거 패티의 지질 산패를 억제시켜 TBA값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
Byeon, Myeong-U;Seo, Ji-Hyeon;Byeon, Ui-Baek;Byeon, Ui-Hong;Kim, Jin-Seong;Byeon, Yu-Ryang;O, Sang-Hui;Kim, Jae-Hun;Lee, Ju-Un 214
육가공품의 품질 평가를 과학적으로 객관적으로 하기위해 원료육의 결합조직내에 포함된 hydroxyproline의 함량을 정량화하였다. 축산물 중 hydroxyproline의 함량은 돈육 > 계육 > 우육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 중 돈육의 등급에 따른 hydroxyproline 함량은 등급이 낮을수록 높게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돈가스 육가공품의 hydroxyproline의 함량을 측정한 후, 제품에 포함된 돈육의 비율 및 수분함량을 계산하여 돈가스 제품에 사용된 돈육의 등급의 추정할 수 있었다. -
Kim, Jae-Hun;Lee, Ju-Un;Hwang, Yeong-Jeong;Kim, Gyeong-Ja;Seo, Ji-Hyeon;O, Sang-Hui;Byeon, Ui-Hong;Park, Jin-Gyu;Byeon, Myeong-U 217
햄버거 패티에 기능적 특성을 부여하고자 실크 펩타이드를 첨가하여 햄버거 패티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 및 최적 실크 펩타이드 첨가량을 평가하였다. 실크 펩타이드가 햄버거 패티의 가열 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실크 펩타이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열감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크 펩타이드가 첨가된 햄버거 패티의 경도, 탄성 및 점착성을 분석한 결과 경도는 실크 펩타이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탄성과 점착성의 경우 실크 펩타이드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도 측정결과 실크 펩타이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 및 적색도(a)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크 펩타이드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의 관능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실크 펩타이드가 첨가된 햄버거 패티는 외관, 후각, 미각,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평가항목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한우 앞다리살 부위육인 극상근(supraspinatus m.)의 포장방법(일반포장, 진공포장, 가스포장)에 따른 냉장 저장 중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포장방법에 따른 pH 변화는 차이가 없었으며, TBA는 대조구의 경우 저장 15일에 가식권을 넘었으나 진공포장과 가스포장구는 저장 25일째에도 산패도에 대한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포장감량은 진공포장, 대조구, 가스포장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도는 처리구 중 가스포장구가 가장 낮았다. 따라서 극상근의 연도와 저장성을 고려 할 때 가스포장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crobial safety and physical qualities of Korean jerky, and the effect of nisin during storage. Jerky processed packages with or without nisin (100 IU or 500 IU)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25
$^{\circ}C$ ) for 60 days, and samples measured for quality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is storage period. In the case of 25$^{\circ}C$ storage, the number of mesophilic microorganisms in seasonedbeef packages without nisin increased markedly, but with nisin there was no observed increase. B. cereus cells showed similar trends, although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all samples. At 25$^{\circ}C$ storage, changes in the cutting force of packages containing nisi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packages without nisin decreased markedly. -
옻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육포를 제조시 육포의 육색과 지질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37^{\circ}C$ 에서 5주간 저장 중 옻나무 추출물을 0.5%와 2% 첨가한 육포(T2,T3)가 아질산염 첨가군(T1)과 함께 높은 지질산화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육색에서도 저장기간 내내 높은 적색도를 보여 아질산염의 감소를 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본 연구는 재래흑돼지육의 진공포장 숙성중 지방산 조성과 SPME-GC/MS에 의한 향기성분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지방산 조성으로 C14:0, C16:1n7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으며(p<0.05), C18:1n7, C22:4n6는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숙성기간 동안 향기성분은 숙성 0일에 2-decanone, 2-ethyl hexanol, hexa -noic acid가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숙성 6, 12일에는 butanoic acid, 2.3-butanediol, benzen -acetaldehyde, benzeneethanol, 2-hexadecal, hexanoic acid가 재래흑돼지육에서만 검출되었다.
-
본 연구는 시판하는 재리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도체성적, 육색, 지방산 조성을 비교함으로서 재래흑돼지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체성적은 지육중량, 지육율이 재래흑돼지가 낮았으며(p<0.05), 저장기간 동안
$L^*,\;h^{\circ}$ 값은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이 낮았으며(p<0.05),$a^*,\;b^*,\;C^*$ 값은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C14: 0, C18:3n6, C18:3n3, C20:5n3, n3 지방산이 재래흑돼지육이 낮았고(p<0.05), n6 지방산과 n3 지방산의 비율은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육색은 우수하였으나 지육중량, 지육율, n3 지방산은 낮았다. -
본 연구는 육성기, 비육기 사료내 라이신 수준에 따른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돈육의 해동후 저온저장중 품질비교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pH는 저장 5일에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으며(p<0.05), 드립감량은 저장 5일까지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 7일에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Hunter L 값은 저장 2일부터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고(p<0.05), a 및 b 값은 저장 5,7일까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신선육의 육색, 종합적 기호도는 고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가장 높았으며(p<0.05), 가열육의 맛, 풍미,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는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라이신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 재래흑돼지육의 보수력, 육색, 관능적 기호도는 향상되었으나 저온저장중 지방산화는 촉진되었다.
-
본 연구는 육성기, 비육기 사료내 라이신 수준이 재래흑돼지 냉동육의 저온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드립감량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낮았으며(p<0.05), TBARS는 저장 7일에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으며(p<0.05),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돈육간에 차이가 없었다. L 값은 저장5일부터 재래흑돼지육이 저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고(p<0.05), a 값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b 값은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높았다(p<0.05). 포화지방산은 저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가장 높았으나(p<0.05), 불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가장 낮았다(p<0.05). 단가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비율은 저라이신 수준의 재래흑돼지육이 고라이신 수준의 개량종 돈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돈육보다 보수력, 육색이 우수하였으며, 저라이신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 재래흑돼지육의 포화지방산은 증가하였으나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
닭고기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 5일의 6% 처리구에서 TBARS 값이 0.067, 8%, 0.082, 10%, 0.093 mgMA/kg으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 명도(L*), 황색도(b*)는 함수율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함수율에 따른 총 세균수는 저장 3일 6% 처리구에서 2.87, 8%, 2.93, 10%, 2.90 log CFU/
$cm^2$ 로 처리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5일에서 6% 처리구는 3.03, 8%, 3.01, 10%, 3.13 log CFU/$cm^2$ 로 10% 처리구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함수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Chae, Hyeon-Seok;Yu, Yeong-Mo;An, Jong-Nam;Jeong, Seok-Geun;Ham, Jun-Sang;Kim, Gwan-Tae;Won, Gyeong-Hwan 259
닭고기 신선도 측정에 HPLC를 이용하여 핵산관련물질을 분석하여, 신선도의 지표인 K 값을 계산하고, 휴대용 Torry meter 값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여, 닭고기 등급판정 현장에서 휴대용 Torry meter의 이용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당일 도축한 닭고기 가슴부위의 피부에서 Torry meter 값은 9.44이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저장 3일에 8.11, 저장 7일에 6.56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K값은 도축 당일이 13.58를 나타내었고 저장 3일 25.52, 7일은 57.65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냉장 닭고기 피부를 포함한 다리 부위의 당일 Torry meter 값은 9.44이었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저장 3일에 7.78, 저장 5일에 6,56으로 일정하게 감소하다, 저장 7일에 6.67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핵산 관련 물질을 분석한 K값은 도축 당일이 34.40을 나타내었고 저장 3일 35.87, 7일은 69.74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Chae, Hyeon-Seok;Yu, Yeong-Mo;An, Jong-Nam;Jeong, Seok-Geun;Ham, Jun-Sang;Kim, Gwan-Tae;Won, Gyeong-Hwan 263
닭고기의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PLC를 이용한 핵산관련물질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계산된 K 값과 휴대용 Torry meter 값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여, 닭고기 등급판정 현장에서 휴대용 Torry meter의 이용 가능성을 제고하기위하여 실시하였다. 닭고기 냉동육의 피부를 포함한 가슴 부위를 측정하였을 경우 저장 20일까지는 일정하게 저하되었으나, 30일에서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은 피부를 제거시켰을 때는 더욱 심하여 저장 5일까지 감소하다 저장 10일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K값에서도 저장기간이 증가하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은 보였으나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다. Torry meter에 의한 닭고기 신선도 측정은 냉장육에서는 이용 가능성이 보이나 냉동육에서는 저장일시에 따라 변화가 심하고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아 이용 가능성 낮은 것으로 판단되나 수입육이 6개월 이상 냉동상태에서 수입된다고 볼 때 장기적 냉동시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ark, Beom-Yeong;Seong, Pil-Nam;Kim, Dong-Hun;Ha, Gyeong-Hui;Lee, Seong-Hun;Lee, Jong-Mun;An, Jong-Nam;Kim, Wan-Yeong 267
유기셀레늄급원을 달리하여 쇠고기 육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Myoglobin의 함량은 대조구와 시험구에서 각각 6.39%, 14.18%로 대조구가 시험구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Oxy-Myoglobin의 함량은 반대로 대조구 89.07%, 시험구 83.47%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그러나 Met-myoglobin 함량은 대조구가 4.56%이였고 시험구가 2.35%로 대조구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보다 정확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Met화 시킨 후 측정해 볼 필요성이 대두되어 도축후$4^{\circ}C$ 에서 14일 및 21일간 숙성한 시료를$20^{\circ}C$ 에서 48시간 산화시킨 후 측정 육색소 화학적 조성을 비교한 결과, 육색소 화학적 조성을 비교한 결과로 Myoglobin 함량은 저장 14일차와 21일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Oxy- myoglobin은 저장 14일차와 21일차 모두 유기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가 대조구와 무기셀레늄 급여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 Met-myoglobin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무기셀레늄구가 유기 셀레늄구와 유기셀레늄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유기셀레늄 강화 버섯 폐배지 급여구가 대조구나 유기셀레늄구에 비하여 Oxy-myoglobin production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Met-myoglobin Activity는 유기 셀레늄 급여구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기셀레늄강화 버섯폐배지 급여구가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는 소매상품 으로 제조 판매시 Oxy-Mb이 Met-Mb으로의 전환을 억제하여 이상적인 육색을 장시간 유지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조직감과 염도에서 매우 좋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 가능한 식염첨가최저수준은 0.5%이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로인 햄의 제조에 필요로 되는 식염의 첨가량은 0.5${\sim}$ 1.5% 범위로 평가된다. 차후의 연구로는 저염 로인 햄의 경우 품질의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 첨가물이나 가공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97.22로 가장 낮았고, 기타 처리구는 1.19${\sim}$ 1.59의 처리를 보이고 있는데 비하여, 대조구(100) 대비 증체율에서는 생봉독 처리 2구에서 103.30으로 3.30%가 높았다.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지역자원 활용 소스 중심의 문화관린 산업의 seeds 발굴과 향토상품의 상품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TEX>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rightarrow}$ 국제수지 흑자${\rightarrow}$ 성장${\rightarrow}$ 물가 및 -
본 연구결과,
${\beta}$ -CD의 재활용을 위해 adipic acid로${\beta}$ -CD를 가교시킨 후, 우유의 콜레스테롤 제거 실험에 사용한 결과, 10회 재활용하는 동안 평균 89.90%의 콜레스테롤이 제거되었으며, 이에 따른 가교화${\beta}$ -CD의 재활용률은 97.30%로 나타났다. 재활용에 따른 가교화${\beta}$ -CD의 수율은 8회 재활용할 때까지 감소폭이 매우 적었으며, 가교화${\beta}$ -CD의 구조 역시, 8회 재활용할때까지는${\beta}$ -CD간의 가교결합이 유지되다가 이후부터는 대부분 powder${\beta}$ -CD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재활용하는 동안 콜레스테롤 제거가 가능한${\beta}$ -CD를 정량한 결과, 8회 재활용할 때까지 일정한 수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실험 결과, adipic acid로 가교시킨${\beta}$ -CD를 이용하여 우유의 콜레스테롤 제거 시, 여러 번 사용하여도 가교화${\beta}$ -CD의 물리적 성질에 변화가 거의 없이 자체의 특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이를 유가공 산업에 적용 시, 경제적인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 시 가루녹차를 0.5%
${\sim}$ 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장내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의한 casein 분해산물들의 ACE 저해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공위액, 인공장액 및 인공위액과 장액 연속처리를 각각 반응조건으로 일정시간 casein을 가수분해한 후 각 효소 가수분해물이 혈압상승 peptide 생성효소인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각 소화액에 따른 가수분해물은 모두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시간 효소처리를 하였을 때, 인공위액, 인공장액, 인공위액과 장액 가수분해물은 각각 69%, 80% 및 88%로 최대 ACE 저해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casein의 가수분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SDS-PAGE에서는 인공위액으로 처리한 군보다 인공장액으로 처리한 군이 더 작은 분자량으로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인공위액과 장액을 함께 처리한 군에서는 1시간 안에 대부분의 분해가 이루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Lactobacillus 및 Streptococcus 속의 유산균을 사용하여 유산균이 가지는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 법을 사용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L. casei가 43.54%로 가장 높았으며 L. acidophilus는 33.43%, 그리고 S. thermophilus가 7.1%로 가장 낮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파쇄액의 SOD 유사활성은 L. acidophilus가 15.68%, L. casei는 19.86%, S. thermophilus는 49.3%로 전자공여능의 측정 결과와는 달리 S. thermophilus가 가장 뛰어난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
-
Ham, Jun-Sang;No, Yeong-Bae;Kim, Seung-Il;Kim, Hyeon-Su;Jeong, Seok-Geun;Chae, Hyeon-Seok;An, Jong-Nam;Jo, Cheol-Hun;Lee, Wan-Gyu 302
본 연구는 에너지 위기에 따른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소비가 많은 열처리에 의한 시유 생산을 영양적으로나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게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처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 2, 3, 5, 10 kGy의 감마선 조사시 당일에는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으나, 냉장상태에서 일주일후에는 1과 2 kGy 조사구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었다. 반면 LTLT, HTST, 및 UHT 처리시에도 당일에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주일 후에는 LTLT 처리와 HTST 처리유에서$10^6$ CFU/mL이상 검출된 반면 UHT 처리유에서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지 않아, 우유에서 미생물적으로 UHT 처리 정도의 살균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 처리가 요구되었다. -
본 연구는 기능성 발효유로서 티벳산 발효유에서 분리한 효모(Kluyveromyces marxianus)와 유산균(Lactobacillus bulgaricus)의 혼합스타터를 이용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배양 기간별 균수측정, pH, 적정산도, Alcohol 함량, 항암활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배양은 산도 0.68%, 최종 pH가 4.5가 되는 시점에서 마치게 되는데 이때의 배양 온도는
$30^{\circ}C$ , 배양기간은 36시간이었다. 이때의 균수는 K. marxianus는$5.3{\times}10^9$ ) CFU/mL, L. bulgaricus는$3.2{\times}10^9$ CFU/mL였고 Alcohol 함량은 0.35%까지 증가하였다. 36시간 배양하여 제조된 발효유의 항종양 활성은 Hep-2에 대해서는 90.5%, HEC-1B는 86.6%, SW-156은 60.3%, SK-MES-1은 57.14%의 높은 항종양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기존의 유산균 발효유에 효모를 첨가한 알코올 발효유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품의 항종양 활성의 측면에서도 높은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축산식품(우유)내의 잔류항생물질을 신속하고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시험법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축산식품내의 일반적인 잔류항생물질에 대한 지금까지의 분석법으로는 Bioassay법, TLC법, ELISA법, GC법 및 HPLC법 등이 있지만 Streptomycin/dihydrostreptomycin, neomycin에 대한 HPLC법은 거의 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공인 검사법으로는 Bioassay법 및 HPLC법등이 있지만 그러나 지금까지의 방법으로는 검출감도가 낮은 것이 큰 문제점으로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STP에 대한 HPLC법에 대한 보고한 Edder 방법 중에 clean-up 과정 및 이동상 조건을 대폭 수정하여 STP의 분리 및 검출감도를 낮추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유도체화 장치 Post-Column Derivatization Instrument PCX 5100 (Pickering La-boratories, Inc.)의 컬럼 온도는
$40^{\circ}C$ , 오븐온도$55^{\circ}C$ , 유도체화 용매 유속 0.6ml/min 이동상 유속 0.8ml/min으로 검출기는 형광검출기를 이용하여 STP 검출에 대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때의 분석소요시간은 약 15분이었다. 표준시료 STP의 검량선은 넓은 농도범위(0.02${\sim}$ 1.0ppm)에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본 시험법에 의한 검출한계는 limit of detection(LOD)은 0.02ppm이었으며, 적어도 우유에서의 MRL이 0.6ppm임을 감안하면 STP를 정량적으로 정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상기의 조건하에서 실제시료인 우유에 표준 STP를 0.5ppm을 spiking한 후 SPE상에서 SCX(Strong cation exchange column)을 통한 clean-up과정을 거친 후의 STP의 limit of quantification(LOQ)는 약 0.44ppm이었으며, 이에 대한 회수율은 89.7${\pm}$ 2.3%(n=6)를 나타냈다. 실제 CODEX에서 권장한 우유의 MRL이 0.6ppm인 점을 감안하면 CODEX권고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시험법은 지금까지 국내적으로 STP에 대한 시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와 아울러 간편한 parallux와 병용해 STP에 대한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유도체화 장치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해 잔류항생물질 STP에 대한 분석시험법을 개발하였다. -
-
Lactic acid bacteria are dominant microflora in many kinds of fermented foods. In this study, dominant microflora, especial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alted sea food, and we determine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ssayed specific property such as bacteriocin activity. The popu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s well as aerobic mesophilic counts was at the level of
$10^7$ cfu /g. Total 17 strains of LAB were isolated from salted sea food sample.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hese strains were determined followed by Bergey's Manual. And genotypic and bacteriocin activity were tested by Schillinger and$L{\ddot{u}}cke^{(7)}$ . -
Lactic acid bacteria are dominant microflora in fermented kimchi. In this stud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5 kinds of fermented kimchi and determined their physiologic property. Total 64 of LAB were isolated from kimch samples. In this study, 8 strains of them were selected by pH and bile salt tolerance test. HFI 58, HFI 40, and Yeulmu E strain had significant cholesterol lowering effect in vitro test. These were made of special feed of chicken by WooJin B&G. A Diet was tested for 5 weeks. The feed of special material supplement HFI58 groups had significant lower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egg yolk.
-
ACE inhibition activity of peptides was measured after 2 months of storage at
$4^{\circ}C$ under condition of pH 6.0, 6.5, 7.0, 7.5, 8.0. and the ACE inhibitory activity were changed only slightly. After 2 months of chilled storage ($4^{\circ}C$ ), no dramatic change and significance was found. This indicates that acidic, neutral, weak alkali conditions did not affect ACE inhibitory activity of those peptides. Among peptide 1134, 1152, and 1155, peptides from thermolysin + protease A hydrolysates, inhibition activity of peptide 1134 and 1152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60^{\circ}C$ , however, they showed stable inhibition activity from$70^{\circ}C$ to$100^{\circ}C$ (P<0.001). Also, chromatogram of peptide 1134, 1152, and 1155 was shown that retention time of peptide of$60^{\circ}C$ was not correspond to the retention time of the rest of peptides. This indicated that temperature may change the inhibitory activity and profile of peptides. -
Lee, Jeong-Su;Jo, In-Hui;So, Hyeon-Gyeong;O, Yun-Gil;Im, Hui-Gyeong;Jeon, Gwang-Ju;Kim, Gwan-Seok;Choe, Yeong-Suk;Jeong, Jeong-Su;Choe, Gang-Deok 334
식육의 소비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생체 기능성물질의 탐색과 이용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지고 있다. 식품에 소량 존재하며 지방세포분화를 촉진하는 물질로 밝혀진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중 9c-11c(9c)가 3원 교잡종 암퇘지(Yorkshire${\times}$ Landrace${\times}$ Duroc)의 어떤 유전자에 영향을 줌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지 DNA chi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Genepix 6.0과 Vector Xpression 3.0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Na^+,\;K^+$ -ATPase, ciliary neurotrophic factor, complement cytolysis inhibitor, prolactin receptor, type II collagen alpha1 등 과 같은 분화 관련 유전자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나아가 DNA chip을 이용해서 지방세포 분화억제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아내고, 이 유전자들은 지방세포 분화 조절과 비만관련 연구에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폐기되는 차나무 종자를 이용하여 항종양효과를 비교하고 차나무 잎뿐만 아니라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차나무 종자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기획하였다. 항종양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종류의 인체 암세포주(위암 및 폐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항종양효과는 종자 물추출물에서는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자 물 추출물에서 분리한 상징액의 항암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
${\mu}$ g/mL 농도에서 위암 세포인 AGS 세포주에 대해 72.8%, 폐암 세포인 A549 세포주에 대해 71.4%의 항종양 효과를 얻을 수 있었고 침전물에서는 종양세포증식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단백질 분해 효소로 처리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의 식욕 억제 효과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열량 및 영양소 섭취,체구성 및 기초대사량 그리고 신체둘레 및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ID군에 비해 YD군의 체중 감량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효모가수분해물의 식욕감소에 관련한 결과의 생각되나 4주라는 비교적 짧은 연구기간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병원성미생물을 분리
${\cdot}$ 동정하는 방법으로 선택배지를 이용하는 검사방법은 4${\sim}$ 7일의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기존의 PCR방법은 대부분 단일 병원성 미생물만을 검출할 수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스템은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을 한 번의 분석으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에 비용과 분석시간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었다. Fig. 1은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이 혼합된 시료에 각각의 단일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이며, Fig. 2는 멀티플렉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세균성 식중독균 열 추출 시료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PCR 산물들이 사다리(ladder) 형태로 증폭됨으로써 동시에 6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Lane 1${\sim}$ Lane 6). 또한 3종류의 세균성 식중독균이 혼합된 열 추출시료에서도 특이적인 PCR 증폭 산물들을 탐지할 수 있었다(Lane 10 & Lane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