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 journal

검색결과 1,623건 처리시간 0.024초

지식에 대한 구조주의적 관점과 수학에서의 '지식의 구조' (Structuralist view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in Mathematics)

  • 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365-380
    • /
    • 1998
  • Structualist view distinguishes structure(reality) from phenomenon(appearance). Phenomenon is the outside aspect of structure and structure is the inside aspect of phenomenon. From the structualist view, the knowledge could e divided into two parts, the appearance of knowledge(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the inside aspect of knowledge). Structualist view advices teachers to understand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and not to teach mere the one aspect of knowledge, especially the outside aspect of knowledge, that is, the written expressions in textbook, but to teach the inside and outside aspects fo knowledge totally.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attemp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ere flourishing in the period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New Math movement' represents the attempts. The advocators of New Math, however, did not succeed sufficiently to understand the inside-outside view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and failed to make mathematics teachers to understand the view well. Their attention was put on to introduce the modern mathematics to school math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nd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hich the term the structure of knowledge represents. To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mathematics teacher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more totally from the inside-outside viewpoint. Especially, s/he should not regard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written in textbook as the totality of knowledge, but inquire into the in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from the outside aspect of mathematical knowledge.

  • PDF

무리지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오류 (A study on the in-service teacher's recognition and fallacy for irrational exponent)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83-6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들의 인식과 오류에 대해 조사하기 위하여 K 광역시 관내에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무리지수에 대한 인식과 오류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무리지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의 정답률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들은 논리적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직관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셋째, 현직교사들의 판단의 근거는 밑의 형태보다는 지수의 형태에 의존하여 판단하였다.

  • PDF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The Changes of Learning Attitude in Mathematics for Underachiever of Learning Mathematics Using Mentoring)

  • 권수진;임대근;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23-1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described the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to the underachiever's attitude in learning Mathematics.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a mentoring class had been carried out for 30 weeks, with two students who was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t was carried out contrastive analysis on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in the math class before and after the mentoring, using a questionnaire of learning attitude in math with 40 questions, filling the blanks in sentence, recording files of class, and mentoring journals. As a result, before taking the mentoring class,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were negative and low in five subordinate concepts(learning attitude, such as their tendency, interest, desire, confidence, attitude, and studying habits in math). However, after the mentoring class, the two students were remarkably changed in positive way on the five concepts in learning mathematics. Therefore, it is helpful to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f the mentoring program is used since it yields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attitude.

Mathview로 작성한 웹페이지의 활용에 대한 형성평가 (Formative evalu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Mathview web pages)

  • 전영국;이병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11-12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Mathview로 작성된 웹기반 학습 자료가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자료 개발은 수학의 구조적 특성 때문에 교과서 내용에 비중을 두고 제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실업계 고등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수는 6명이며 그 여학생들은 모두 12시간에 걸쳐 면담, 서술식 설문지에 응답하였고 또한 관찰 기록의 대상으로 활동하였다. Mathview라는 소프트웨어가 지난 그래픽 제시 기능과 대수적 조작 기능에 따른 원래의 연구 기대치와 달리 학생들은 전통적인 학습 방법을 선호하였음이 드러났다. 이 연구 결과는 Mathview 자료 제작에서 평가용 항목의 추가와 보다 주의깊게 설계된 문서를 구성함으로써 개인별 학습에 따른 학생들의 작업 과정과 통합되는 설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중학생의 방과후 수학교과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이윤자;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23-340
    • /
    • 2007
  • 본 연구는 방과 후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망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학교과의 방과 후에 실시하고 있는 학습유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학원수강 및 사설 과외와 같은 사교육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체제 속에서 수학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습의 방향과 방과후 학습활동이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공교육이 보다 정상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방과 후 학습활동의 유형을 크게 학원수강, 과외, 자율학습으로 분류하고, 학생들의 3학기동안의 학업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다.

  • PDF

고대 이집트인들의 원의 구적과 직각삼각형의 인식 (Squaring the Circle and Recognizing Right Triangles of Ancient Egyptians)

  • 박민구;박제남;홍경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21-232
    • /
    • 2017
  • In this paper, we discuss how ancient Egyptians find out the area of the circle based on $\ll$Ahmose Papyrus$\gg$. Vogel and Engels studied the quadrature of the circle, one of the basic concepts of ancient Egyptian mathematics. We look closely at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pproximate right triangle of Robins and Shute. As circumstantial evidence for Robbins and Shute's hypothesis, Egyptians prior to the 12th dynasty considered the perception of a right triangle as examples of 'simultaneous equation', 'unit of length', 'unit of slope', 'Egyptian triple', and 'right triangles transfer to Greece'. Finally, we present a method to utilize the squaring the circle by ancient Egyptians interpreted by Robbins and Shute as the dynamic symmetry of Hambidge.

조선(朝鮮) 산학(算學)의 사원옥감(四元玉鑑) (Siyuan Yujian in the Joseon Mathematics)

  • 홍성사;홍영희;이승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03-219
    • /
    • 2017
  • As is well known,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Chinese mathematics is materialized in Song-Yuan era through tianyuanshu up to siyuanshu for constructing equations and zengcheng kaifangfa for solving them. There are only two authors in the period, Li Ye and Zhu Shijie who left works dealing with them. They were almost forgotten until the late 18th century in China but Zhu's Suanxue Qimeng(1299) had been a main reference for the Joseon mathematics. Commentary by Luo Shilin on Zhu's Siyuan Yujian(1303) was brought into Joseon in the mid-19th century which induced a great attention to Joseon mathematicians wit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Zhu's tianyuanshu. We discuss the history that Joseon mathematicians succeeded to obtain the mathematical structures of Siyuan Yujian based on the Zhu's tianyuanshu.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사고 과정 분석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Metacognitive Strategy Training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이봉주;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91-305
    • /
    • 2009
  • 본 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학생들의 메타인지적 접근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선행 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하여 메타인지적 발문을 고안하고 이에 따라 학생들에게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메타인지가 수학적 사고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임을 제안하고, 학생들의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다. 두 가지 사례를 들어, 문제해결 과정에서 메타인지적 활동의 훈련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를 분석함으로서 자신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과 절차를 의식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조정하고 통제하려는 모습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 PDF

p-진 q-적분의 변천사에 대한 고찰 (O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p-adic invariant q-integral on $\mathbb{Z}_p$)

  • 장이채;서종진;김태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0
    • /
    • 2009
  • 20세기말 p-진 공간에서 p-진 q-적분의 개념이 김태균에 의해서 처음 도입 되었다([11]). 이러한 적분은 복소수 공간에서 잭슨의 q-적분을 p-진 공간으로 확장 시킨 것이며 또한 울트라 비 아르키메디언 적분의 존재성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p-진 q-적분의 수학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현재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 PDF

조태구(趙泰耉)의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기하원본(幾何原本) (Jo Tae-gu's Juseo Gwan-gyeon and Jihe Yuanben)

  • 홍성사;홍영희;김창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5-72
    • /
    • 2018
  • Matteo Ricci and Xu Gwangqi translated the first six Books of Euclid's Elements and published it with the title Jihe Yuanben, or Giha Wonbon in Korean in 1607. It was brought into Joseon as a part of Tianxue Chuhan in the late 17th century. Recognizing that Jihe Yuanben deals with universal statements under deductive reasoning, Jo Tae-gu completed his Juseo Gwan-gyeon to associate the traditional mathematics and the deductive inferences in Jihe Yuanben. Since Jo served as a minister of Hojo and head of Gwansang-gam, Jo ha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ong-Yuan mathematics, and hence he could successfully achieve his objective, although it is the first treatise of Jihe Yuanben in Joseon. We also show that he extended the results of Jihe Yuanben with his algebraic and geometric reas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