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at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3초

Channel과 gate 구조에 따른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연구 (Effect of Channel and Gate Structures o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Oxide Thin-Film Transistors)

  • 공희성;조경아;김재범;임준형;김상식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500-50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dual gate tri-layer split channel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다. 전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티브 층의 양쪽에 게이트를 형성하였고 전하이동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액티브 층에서 채널이 형성되는 구간인 첫번째 층과 세번째 층에 전도성이 높은 ITO 층을 배치하였다. 추가적으로 분할 채널을 이용하여 채널의 series 저항을 낮추면서 분할한 채널의 측면에서도 accumulation을 유도하여 전하이동도를 향상시켰다. 기존의 single gate a-ITGZO 박막트랜지스터가 15 cm2/Vs의 전하이동도를 가지는 반면 dual gate tri-layer split channel 박막트랜지스터는 134 cm2/Vs의 높은 전하이동도를 가졌다.

Tri-Gate MOSFET에 SPACER가 단채널 및 열화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pacer on Short Channel Effect and device degradation in Tri-Gate MOSFET)

  • 백근우;정성인;김기연;이재훈;박종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9-752
    • /
    • 2014
  • Spacer 유무와 핀 폭, 채널길이에 따른 n채널 MuGFET의 단채널 및 열화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사용된 소자는 핀 수가 10인 Tri-Gate이며 Spacer 유무에 따른 핀 폭이 55nm, 70nm인 4종류이다. 측정한 소자 특성은 DIBL, subthreshold swing, 문턱전압 변화 (이하 단채널 현상)과 소자열화이다. 측정 결과, 단채널 현상은 spacer가 있는 것이 감소하였고, hot carrier degradation은 spacer가 있고 핀 폭이 작은 것이 소자열화가 적었다. 따라서, spacer가 있는 LDD(Lightly Doped Drain) 구조이며 핀 폭이 작은 설계방식이 단채널 현상 및 열화특성에 더욱 바람직하다.

  • PDF

Tri-gate FinFET의 fin 및 소스/드레인 구조 변화에 따른 소자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ri-gate FinFET for Different Fin Shape and Source/Drain Structures)

  • 최성식;권기원;김소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7호
    • /
    • pp.71-8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삼차원 소자 시뮬레이터(Sentaurus)를 이용하여 tri-gate FinFET의 fin과 소스/드레인 구조의 변화에 따른 소자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Fin의 구조가 사각형 구조에서 삼각형 구조로 변함에 따라, fin 단면의 전위 분포의 차이로 문턱 전압이 늘어나고, off-current가 72.23% 감소하고 gate 커패시턴스는 16.01% 감소하였다. 소스/드레인 epitaxy(epi) 구조 변화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epi를 fin 위에 성장시킨 경우(grown-on-fin)와 fin을 etch 시키고 성장시킨 경우(etched-fin)의 소자 성능을 비교했다. Fin과 소스/드레인 구조의 변화가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entaurus의 mixed-mode 시뮬레이션 기능을 사용하여 3단 ring oscillator를 구현하여 시뮬레이션 하였고, energy-delay product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삼각형 fin에 etched 소스/드레인 epi 구조의 소자가 가장 작은 ring oscillator delay와 energy-delay product을 보였다.

나노 스케일 MuGFET의 소자 구조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ice structure optimization of nano-scale MuGFETs)

  • 이치우;윤세레나;유종근;박종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4호
    • /
    • pp.23-3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나노 스케일 MuGFET(Mutiple-Gate FETs)의 단채널 효과와 corner effect를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문턱전압 모델을 이용하여 게이트 숫자(Double-gate=2, Tri-gate=3, Pi-gate=3.14, Omega-gate=3.4, GAA=4)를 구하였으며 추출된 게이트 숫자를 이용하여 각각의 소자 구조에 맞는 natural length($\lambda$)값을 얻을 수 있었다. Natural length를 통하여 MuGFET의 단채널 효과를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소자 구조(실리콘 두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 등)를 제시 하였다. 이러한 corner effect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채널 불순물의 농도를 낮게 하고,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를 얇게 하며, 코너 부분을 약 17%이상 라운딩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the effects of double-patterning versus single-patterning on the line-edge-roughness (LER) in FDSOI Tri-gate MOSFETs

  • Park, In Jun;Shin, Changhw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3권5호
    • /
    • pp.511-515
    • /
    • 2013
  • A Monte Carlo (MC) simulation study has been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ne-edge-roughness (LER) induced by either 1P1E (single-patterning and single-etching) or 2P2E (double-patterning and double-etching) on fully-depleted silicon-on-insulator (FDSOI) tri-gate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MOSFETs). Three parameters for characterizing the LER profile [i.e., root-mean square deviation (${\sigma}$), correlation length (${\zeta}$), and fractal dimension (D)] are extracted from the image-process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for each photolithography method. It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at two parameters (i.e., ${\sigma}$ and D) are almost the same in each case, but the correlation length in the 2P2E case is longer than that in the 1P1E case. The 2P2E-LER-induced $V_TH$ variation in FDSOI tri-gate MOSFETs is smaller than the 1P1E-LER-induced $V_TH$ variation. The total random variation in $V_TH$, however, is very dependent on the other major random variation sources, such as random dopant fluctuation (RDF) and work-function variation (WFV).

자기조정 이중구동 경로를 가진 새로운 저전력 CMOS 버퍼 ((A New CMOS Buffer for Low Power with Self-Controlled Dual Driving Path))

  • 배효관;류범선;조태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9권2호
    • /
    • pp.140-145
    • /
    • 2002
  • 본 논문은 단락회로 전류를 없애기 위한 CMOS 버퍼회로에 대한 것이다. 최종 구동소자는 풀-업 PMOS와 풀-다운 NMOS로 구성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해 두가지 경로를 입력신호로 선택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법으로 최종 구동회로가 짧은 시간동안 tri-state가 되어 단락회로 전류를 차단하였다. 모의 실험결과 전원전압 3.3V에서 전력-지연 곱을 기존의 Tapered 버퍼[1]와 비교하여 약 42% 줄일 수 있었다

Analysis of Random Variations and Variation-Robust Advanced Device Structures

  • Nam, Hyohyun;Lee, Gyo Sub;Lee, Hyunjae;Park, In Jun;Shin, Changhwa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8-22
    • /
    • 2014
  • In the past few decades, CMOS logic technologies and device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with the steady miniaturization of the feature size. At the sub-30-nm CMOS technology nodes, one of the main hurdles for continuously and successfully scaling down CMOS devices is the parametric failure caused by random variations such as line edge roughness (LER), random dopant fluctuation (RDF), and work-function variation (WFV).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andom variation source and its effect on advanced device structures such as multigate and ultra-thin-body devices (vs. conventional planar bulk MOSFET) are discussed in detail. Further, suggested are suppression methods for the LER-, RDF-, and WFV-induced threshold voltage (VTH) variations in advanced CMOS logic technologies including the double-patterning and double-etching (2P2E) technique and in advanced device structures including the fully depleted silicon-on-insulator (FD-SOI) MOSFET and FinFET/tri-gate MOSFET at the sub-30-nm nodes. The segmented-channel MOSFET (SegFET) and junctionless transistor (JLT) that can suppress the random variations and the SegFET-/JLT-based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cell that enhance the read and write margins at a time, though generally with a trade-off between the read and the write margins, are introduced.

3차원 소자를 위한 개선된 소오스/드레인 접촉기술

  • 안시현;공대영;박승만;이준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8-248
    • /
    • 2010
  • CMOS 축소화가 32nm node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기 위하여 FinFET, Surround Gate and Tri-Gate와 같은 Fully Depleted 3-Dimensional 소자들이 SCE를 다루기 위해서 많이 제안되어 왔다. 하지만 소자의 축소화를 진행함에 있어서 좁고 균일한 patterning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낮은 Extension Region과 Contact Region에서의 Series Resistance을 제공하여야 하고 Source/Drain Contact Formation을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소자의 축소화가 진행됨으로써 Silicide의 응집현상과 Source/Drain Junction의 누설전류에 대한 허용범위가 점점 엄격해지고 있다. ITRS 2005에 따르면 32nm CMOS에서는 Contact Resistivity가 대략 $2{\times}10-8{\Omega}cm2$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Three Dimensional 소자에서는 Fin Corner Effect가 Channel Region뿐만 아니라 S/D Region에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Novel S/D Contact Formation 기술을 이용하여 Self-Aligned Dual/Single Metal Contact을 이루어Patterning에 대한 문제점 해결과 축소화에 따라 증가하는 Contact Resistivity 문제점을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3D MOSFET제작하고 본 기술을 적용하고 검증한다. 또한 Normal Doping 구조를 가진3D MOSFET뿐만 아니라 SCE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SB-MOSFET을 3D 구조로 제작하고, 이 기술을 적용하여 검증한다. 그리고 Silvaco simulation tool을 이용하여 S/D에 Metal이 Contact을 이루는 구조가 Double type과 Triple type에 따라 Contact Resistivity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확인하였고 이를 실험으로 검증하여 소자의 축소화에 따라 대두되는 문제점들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RAM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 감지 기법과 writing 기법 (A New Sensing and Writing Scheme for MRAM)

  • 고주현;조충현;김대정;민경식;김동명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I
    • /
    • pp.815-818
    • /
    • 2003
  • New sensing and writing schemes for a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MRAM) with a twin cell structure are proposed. In order to enhance the cell reliability, a scheme of the low voltage precharge is employed to keep the magneto resistance (MR) ratio constant. Moreover, a common gate amplifier is utilized to provide sufficient voltage signal to the bit line sense amplifiers under the small MR ratio structures. To enhance the writing reliability, a current mode technique with tri-state current drivers is adopted. During write operations, the bit and /bit lines are connected. And 'HIGH' or 'LOW' data is determined in terms of the current direction flowing through the MTJ cell. With the viewpoint of the improved reliability of the cell behavior and sensing margin, HSPICE simulations prov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chemes.

  • PDF

Analyze the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junctionless nanowire transistors by using Edison simulation

  • Choi, Jun Hee;Lee, Byung Chul;Kim, Jung Do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2회(2013년)
    • /
    • pp.266-268
    • /
    • 201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junctionless nanowire transistors (JLT) using Edison nanowire FET device simulation. JLT has no junctions by very simple fabrication process. And this device has less variability and better electrical properties than classical inversion-mode transistors with PN junctions at the source and drain. In this simulation we use tri-gate structure. Source and drain doping concentration is $10^{20}atoms/cm^3$.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V characteristics of JLT change due to the variation of channel doping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