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tor,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취업모의 직업 특성이 양육행동과 영유아의 운동.사회.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Job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Behaviors and Young Children's Motor,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 이현정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1
    • /
    • 2009
  • Using samples of working mothers with 0-to-47 month old children extracted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others' job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behaviors and young children's motor,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Dat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1) job dissatisfa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 (2) Working fewer hour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others' cognitively stimulating parenting behaviors. (3) Total earnings were a positive predictor of mothers' emotional support. (4) The availability of a flexible hour benefit wa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cognitive stimulation level but the availability of a paid sick and vacation days combined benefit was negatively related to mothers' cognitively stimulating parenting behavior.

  • PDF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 (Cognitive-Motor Interaction-Based Instrument Playing for Improving Early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현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1호
    • /
    • pp.75-9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연주 중재를 제공하여 초기 사회기술이 향상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만5.6세의 ASD 아동 총 9명로, 개별로 30분씩 주 2회, 총 12회의 세션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자기 감각 증진 및 자기조절(1단계), 상호작용에 대한 의도 형성(2단계), 상호적 활동에 대한 수용(3단계), 상호적 맥락에서의 움직임 조정(4단계), 공동행동 수행(5단계)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중재 전후 초기 사회-의사소통 평가 척도(ESCS) 내 과제를 참고해 공동주의 행동 및 상호작용 행동을 측정하였고, 참여 아동의 보호자가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타인(연구자)에 맞추어 움직임(드럼 연주)의 타이밍을 조절하는지 측정하는 사회적 동기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ASD 아동은 초기 사회기술에 있어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사회적 동기화 과제에서도 동기화 반응 속도를 제외한 동기화 정확도 및 지속시간에 있어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SRS-2 척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장기간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SD 아동의 초기 사회기술 발달에 있어 인지-운동 통합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는 인지-운동 통합 기반 악기 연주가 사회적 정보를 인지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맥락에서 움직임을 조정하는 과정의 측면에서 ASD 아동의 사회기술 발달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xtended Reality 기반 고령자 대상 인지·운동 기능 훈련 워크벤치 개발 및 콘텐츠 설계 제안 (Development of MCI Extended Reality-based Cognitive and Motor Training Workbench and Contents Design Proposal for Older People)

  • Kim, Taehong;Kim, Joong Il;Seo, Jeong-Woo;Do, Jun-Hyeong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755-1758
    • /
    • 2022
  • One of the most negative social changes of the last decade is population aging which leads to 19 times mor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Disorder(MCI). It is well established that MCI is the most important state that can prevent dementia with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However, the social security system for patients with dementia is not working properly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and the limited human power. This article proposes a form of workbench and design principles for dementia training programs of extended reality devices. and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a guide for considering the cognitive and physical and social functions of patients.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Daily Hassles, Cognitive Regulation and Emotive Regulation on School Readiness)

  • 박윤조;송하나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5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뿐 아니라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과 정서조절을 통해 아동의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고, 아동의 성별에 따른 매개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송파구, 경기도 용인시 및 분당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4곳에 재원 중인 만5세반 취학전 아동 273명과 그들의 어머니 273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Mplus 6.0($Muth{\acute{e}}n$ & $Muth{\acute{e}}n$, 2010)을 사용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적합도 지수를 통해 가설의 적합성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성별에 따른 경로의 통계적 유의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 및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인지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정서조절은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정서적 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아동의 인지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 및 학습활동을 위한 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아동의 인지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여아의 경우보다 적은 반면에, 인지조절이 아동의 학교준비도의 하위요인 중 단체생활을 위한 기본자세에 미치는 영향은 여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인지장애노인 대상 융복합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신체 인지 기반 복합 인지-운동 중심 (The Effect of Combined Cognitive-Motor Learning Program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 Patients)

  • 김수연;백순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87-595
    • /
    • 2015
  • 본 연구는 경도인지 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 지각에 기반한 BF 활동과 PNF 활동을 결합한 인지-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서 신체 지각 기반 인지-운동 활동이 향후 치매 예방 프로그램으로 적용이 가능할지 현장 활용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검증을 위해 치매 노인들을 대상으로 2014년 5월 16일부터 2014년 8월 1일까지 12주 동안 20명을 선정하여 인지-운동 학습군(이하 CC군)과 작업 치료 학습군(이하 OT군)을 대조군으로 각각 10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C군과 OT군으로 나누어 해당 프로그램을 60분씩 12주간 참여하였으며, 인지 기능 검사(MMSE-K), 신체 균형 능력 검사(Time up & go test(이하 TUG), Tandem gait test(이하 TA)), 노인 삶의 질 검사(GQOL-D)를 실험 전(0주), 실험 후(12주)에 측정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 기능 검사(MMSE-K)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사한 학습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TA & GQOL-D 검사에서는 CC군이 OT 군보다 향상된 학습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 인지-운동 학습 유형이 작업 치료 학습 유형보다 균형능력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향후 기억 장애 개선 프로그램으로 복합 인지 운동 활동이 고려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숙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Korean Infant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n Premature Infants)

  • 신동한;이희선;이지연;최병민;은백린;홍영숙;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37-1341
    • /
    • 2005
  • 목 적 :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는 발달 선별 검사의 하나로 조대운동, 미세운동, 개인-사회성, 언어, 인지-적응 등의 5가지 영역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를 미숙아에게 실시하여 발달지연의 추적 관찰에 있어서 선별 검사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안산병원에서 태어난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를 1번 이상 시행한 환아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에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환아군)와 아닌 경우(정상군) 두 그룹으로 나누어 4개월, 7개월, 12개월, 18-24개월에 발달지수를 비교하였으며 80점 미만인 경우 비정상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정상아군과 환아군에서 7개월경에는 미세운동(P<0.05)과 조대운동영역(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12개월 및 12개월 이후에는 미세운동, 조대운동, 개인-사회성, 언어, 인지-적응 등 5가지 영역에서 환아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가 후에 영유아의 신경학적 이상을 예측하는데 선별검사로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지속적인 관찰과 반복검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겠다.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동향 (Current Trend in Use of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by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ist)

  • 이선희;홍초롱;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33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화하여, 평가도구의 사용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아동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도구 사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도구의 하위영역은 작업수행, 일상생활활동, 교육, 놀이, 감각-지각, 운동 및 실행,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발달, 이학적 검사로 구성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1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는 초기 평가 시 소요되는 시간은 30~60분(41.9%)이 가장 많았으며, 재평가 주기는 3~6개월(41.0%)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 별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작업 수행은 Canadian Occupation Performance Measure(55.2%)을, 일상생활활동은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57.1%)을, 교육은 School Function Assessment(2.5%)를, 놀이 평가도구는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28.6%)을, 감각-지각은 Developmental Test of Visual Perception(94.3%)을, 운동 및 실행 평가도구는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42.9%)를, 인지 평가도구는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11.4%)를,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은 Evaluation of Social Interaction(6.1%)을, 발달은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II(92.4%)를, 이학적 검사는 임상관찰(89.5%)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를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추후 평가 교육 및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nd Social-Emotional Scales as Important Predictors of Later School-Age Outcomes of Children Born Preterm

  • Yun, Jungha;Kim, Ee-Kyung;Shin, Seung Han;Kim, Han-Suk;Lee, Jin A;Kim, Eun Sun;Jin, Hye Jeo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4호
    • /
    • pp.178-185
    • /
    • 2018
  • Purpose: We aim to assess the Bayley Scales of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third edition (Bayley-III), Adaptive Behavior (AB) and Social-Emotional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orrected age (CA) to examine their associations with school-age cognitive and behavioral outcomes in children born preterm. Methods: Eighty-eight infants born with a very low birth weight (<1,500 g) or a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2 week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8 to 2009 were included. Of the 88 children who completed school-age tests at 6 to 8 years of age, 37 were assessed using the Bayley-III, including the AB and SE scales, at 18 to 24 months of CA.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Results: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communication scores on the Bayley-III AB scale at 18 to 24 months of CA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FSIQ) at school age (r=0.531). The total behavior problem scor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t school ag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he Bayley-III SE and AB scales but not to the cognitive, language, or motor scales. Conclusion: Our findings encourage AB and SE assessments during the toddler stage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of children in need of interven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follow-up with high-risk infants.

각성조절과 빨기/삼키기/숨쉬기의 조화(Suck/Swallow/Breathe Synchrony)와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 between the Modulation of Arousal and the Suck/Swallow/Breathe(SSB) Synchrony)

  • 김인선;이지영;황지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72
    • /
    • 2003
  • The suck/swallow/breathe(SSB) synchrony, serving as the earlist primary motor mechanism, is the rhythmical, coordinated pattern of sucking, swallowing and breathing. The development of an intact SSB is an important precursor for further sensori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including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state regulation, postural control, feeding, eye/hand coordination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rousal means a neurological mechanism for preparing one's body to orienting stimulus. Its levels are regulated with an interaction of the reticular formation, the limbic system, the hypothalamus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General strategies such as blowing, sucking, chewing, munching and licking to effectively modulate arousal state are related to SSB. The SSB synchrony is an important treatment principle for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isorder and problems with the modulation of arousa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concepts of SSB synchrony and the underlying relation between the modulation of arousal and SSB synchrony.

  • PDF

A case with GRIN2A mutation and its non-neurological manifestations

  • Lee, Soo Yeon;Jung, So Yoon;Lee, Jeongho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79-82
    • /
    • 2020
  • In epilepsy-aphasia spectrum (EAS) disorders, mutations in the glutamate receptor ionotropic N-methyl-D-aspartate type subunit 2A (GRIN2A) have become important for screening the disease. Research into the phenotypic variability of several types of neurologic impairment involving these mutations is in progress. However, the non-neurological problems related to these mutations are poorly understood. EAS disorders usually have epileptic, cognitive, or behavioral manifestations.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female patient with epilepsy, delay in expressive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ith low intelligence quotient and memory quotient, but normal motor development. Through genetic analysis, she was found to have a missense and a nonsense mutation in GRIN2A (c.1770A>C; p.Lys509Asn and c.3187G>T; p.Glu1063∗, respectively) and we consider the nonsense mutation as 'pathogenic variant'. She was also discovered to have congenital hypothyroidism, growth hormone deficiency and Rathke's cleft cyst in the brain, which were previously unknown features of GRIN2A mutation. Our findings should widen understanding of the spectrum of GRIN2A phenotypes, and emphasize the need for more research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GRIN2A mutations and non-neurologic clinical 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