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support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3초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The Effects of Mothers' Adaptation Support Strategies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 신희남;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9-5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적응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0세부터 만36개월 미만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1993)등이 개발한 PAQ(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적응지원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영아의 초기 및 이 후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양육 신념 및 어린이집 적응 전략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차이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이후 어린이집 적응(Time2)의 하위 요인 중 친사회성과 긍정적 정서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초기 어린이집 적응 (Time1)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은 지원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지원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간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원장, 교사와의 주기적인 상담 및 개별적인 접촉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자아 상태와 하루일과 적응 및 일반적 적응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이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있어서 같은 반 학부모들과의 개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육아정보 교환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Childcare Teacher's Cognition of Human Right Awareness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 이미나;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87-398
    • /
    • 2016
  •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G시와 N지역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4.0을 사용하여 각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장애아동 인권에 대한 인식 중에서 생존권, 보호권, 참여권, 발달권은 사회통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권인식에 영향을 받은 사회적 지지 중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사회통합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권에 대한 인식이 사회통합에 중요한 요인을 작용함에 따라 인권인식을 위한 체계적인 인권 교육을 실시하고,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 확보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유아의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및 실생활에서 인권을 실천함으로써 보육교사가 아동 인권의 주체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아이돌보미 시범사업평가 및 정책방향 (Evaluation the Childcarer(IDOLBOMI) Demonstration Service and Policy Direction)

  • 변미희;강기정;정희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2호
    • /
    • pp.67-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ildcare support demonstration services and direct policy.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three childcare (IDOLBOMI), three parents who were provided with IDOLBOMI, two practitioners, and three professors related to IDOLBOMI.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and a phone survey and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and several suggestions were follows: First, IDOLBOMI loved to take care of children, felt proud of the job, and thought the work was worthy. The result can help future IDOLBOMI when they are recruited and trained; Second, IDOLBOMI wanted income security at least, which means that the basic activity fee for the IDOLBOMI should be compensated by government; Third, most of the parents who experienced the service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at, but they wanted the quality of nutrition, hygiene and the quality of play to be developed for childre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 center and maintenance of education are needed constantly for the IDOLBOMI system; Fourth, the parents who needed the service thought the cost of IDOLBOMI was expensive. Expenditure support should be sought for the parents; Finally, the group of professionals had difficulty in secur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upport service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manpower resources, and PR budget for IDOLBOMI.

  • PDF

어린이집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교육 경험과 인식에 관한 탐색 (Explor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ducation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 김현영;이명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19-534
    • /
    • 202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중심 교육 경험의 실제와 인식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현실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 누리과정 교육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Hatch(2002)의 유형적 분석과 해석적 분석 그리고 Seidman(2006)의 면담 자료분석을 사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과 어린이집은 동일한 통합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지만, 어린이집은 보육적 관점과 안전을 더 고려한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유아들이 주체가 되는 자기주도적인 열린 놀이활동 연계과정에서 교육적 매칭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셋째, 교사들의 놀이활동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가치 파악 능력은 유아 상호작용 및 유대관계 성장에 기여한다. 결론적으로 현 누리과정의 효과적인 교육 시행을 위한 교사교육과 교류지원 그리고 유아비율 조정의 국가적 정책 방안이 시급하다.

장애영아담당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정대영;윤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70-479
    • /
    • 2018
  • 본 연구는 장애유아담당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 지역 보육교사 205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행복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긍정심리자본과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 관계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긍정심리자본과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장애유아담당 보육교사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긍정심리자본을 구축하고 사회적 지지를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직업행복감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 강은진;김정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중년기 취업모의 가족부양부담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Family Caregiver Burde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rking Mother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Resourc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3호
    • /
    • pp.133-14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resources on family caregiver burden as it in turn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working mothers.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study recruited 325 married employed mothers age 40-50 years who live in Seoul and who have more than 1 child and living parents or parents-in-law.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April 1-30, 2018, with the participants sampled from companies, school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categories of caregiver burden, the score for burden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was 3.01 (SD = .81),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of 3 points; childcare burden scored 3.16 (SD = .73), also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and family support resources scored 3.40 (.89), higher than the median of 3.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rated 3.25 (SD = .56). Second, health and educational level, the burdens of caring for elderly parents and childcare and family support resourc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family support resources, a moderating variable,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oderate and ease the effect of childcare burden on middle-aged working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in the analysis of their moderating effect, family support resources were confirmed to positive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y moderating childcare burden experienced by middle-aged working mothers.

대체교사 제도에 대한 국비지원과 도비지원 대체교사의 인식 (The Recognition of the Substitute Teacher System between Substitute Teachers by Public Funds Support and Substitute Teachers by Local Province Funds Support)

  • 백선정;김혜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09-228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도에서 활동 중인 국비지원 대체교사 49명과 도비지원 대체교사 53명 총 102명을 대상으로 대체교사 제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대체교사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교사 지원사업에 참여하게 된 경로로 국비 대체교사는 인터넷 사이트, 도비 대체교사는 보육정보센터 홍보물이 높게 나타났다. 국비와 도비 대체교사 모두 '다른 활동과 병행하기 위해서'가 대체교사 지원사업 참여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국비와 도비 대체교사 모두 '어린이집의 다양한 상황에 융통성 있게 대응하는 것'을 대체교사의 자질로 중요하게 보았다. 셋째, 국비 대체교사는 초과근무가 없고 보육교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는 점을, 도비 대체교사는 다양한 어린이집 경험을 통한 전문성 향상과 초과근무가 없다는 점을 만족스러운 점으로 들었다.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al Child Care Subsidy on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 민규량;이철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4호
    • /
    • pp.143-177
    • /
    • 2020
  •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 PDF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Child Care Practicum Experience of Foreign Students: Exploring Challenges and Benefits)

  • 강정원;국소영;박명금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9-39
    • /
    • 2023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