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기연(2001). 맞벌이 부부의 공평성 인지.의사결정참여 및 가정생활만족도: 사무직.관리.전문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강란혜(2008). 일본의 중년기 여성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일본교육학연구, 13(1), 127-150.
- 고은비(2016).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 권기갑.이재모(2009).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4, 1-19.
-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 2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 김경민.한경혜(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 김경신(2015). 가정관리학 관점에서의 가족교육현황과 전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11), 3-34.
- 김귀분.조성은.이윤정(2012). 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32(2), 487-499.
- 김금운.윤가현(1998). 중년기 직장여성의 다중역할 특성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3(1), 88-102.
- 김미영(2013). 저소득가정의 사회적 배제, 가정자원 및 탄력성의 구조방정식모형,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미혜.신경림.강미선.강인(2006). 고령화 한국사회의 부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별 부양체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노년학, 26(3), 617-639.
- 김수정(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향상의 매개효과 :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영숙.최규련(2006). 중년기 여성의 내외통제성과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173-199
- 김영철.정향균.이시형(1989). 일반 성인에서의 생활 스트레스가 정신증상 및 신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8, 282-291.
- 김유경(2016). 부양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부양 특성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5), 62-79.
- 김유경.이진숙.손서희.조성호.박신아(2018). 중.장년층 가족의 이중부양 부담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연구. 세종: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유정.안정신(2011).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대한 성인기 이전 생활사건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노년학, 31(3), 445-461.
- 김윤정(1999). 대학생의 노인부양 의식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지민(2018). 맞벌이 남성과 여성의 배우자 지지 및 일-가정 양립 촉진적 자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일-가정 향상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2011). 중년여성의 전통무용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혜선.박효진(2016).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7), 555-563.
- 김혜신.김경신(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 갈등과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117-131.
- 박순미.손지아.배성우(2009).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3), 1-24.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주희(2017). 장기요양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양부담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장기요양재가서비스 이용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3), 121-139.
- 보건복지부(2019). 소득하위 20% 134만 5000명에 기초연금 30만 원 지급. 보도자료, 2019.4.25
- 서희숙.정인숙(2010).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지지 및 자살생각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12(1), 1-9.
- 손서희(2004). 기혼자녀와 부모간의 친밀감에 따른 부양행동 및 부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경미(2016).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다영(2004). 부양의식을 통해 본 노인부양 지원정책 방향성: 기혼여성의 부양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19, 207-233.
- 신화용.조병은(2001).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1), 39-51.
- 심세연(2016). 근로자의 직장-가정 전이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심현정.정나라(2018). 5가지 키워드로 본 5060세대의 가족과 삶. 2018 미래에셋 은퇴라이프 트렌드 조사 보고서. 서울: 미래에셋은퇴연구소.
- 오연례(2016). 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유양경(2004). 재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2), 297-306. https://doi.org/10.4040/jkan.2004.34.2.297
- 이동호(2010).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1), 93-108.
- 이선아(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인정(2001). 노인간병가족의 부담요인 및 부담완화를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와 실천방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6, 319-348.
- 이윤경(2018).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보호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보건복지포럼, 259, 77-89.
- 이혜경(2009).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46(겨울). 315-336.
- 이희정(2009), 취업모의 삶의 질에 관한 변인 탐색 : 전문직과 사무직 집단의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6(1), 65-88.
- 장영은(1998). 방과후 보호형태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심리적 복지감과 취업모의 양육 부담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윤옥.정서린(2016).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부정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직업관련 변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2), 65-83. https://doi.org/10.7466/JKHMA.2016.34.2.65
- 정규형(2013).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이 개인의 노후준비정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지연(2008).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창수(2009).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복희.정민자.김양은(200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 89-109.
- 조상희(2011), 노인의 여가활동이 사회적 관계망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생산직과 사무직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2), 145-158.
- 주상애(2006). 노인부양 스트레스가 가족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인영.최혜경(2009).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81-109.
- 통계청(2018). 2018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경력단절여성 현황, 대전:통계청
- 통계청 (2019). 2018 사회조사, 대전: 통계청.
- 황혜원(2012). 어린자녀를 둔 저소득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47-64.
- Bengtson, V. L., Rosenthal, C., & Burton, L. (1990). Families and aging: Diversity and heterogeneity.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3, 263-287.
- Bryant, F. B., & Veroff, J. (1982). The structur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 sociological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653-673. https://doi.org/10.1037/0022-3514.43.4.653
- Campbell, A.(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 Cantor, M. H.(1983).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The Gerontologist, 23, 597-604. https://doi.org/10.1093/geront/23.6.597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 George, L. K., & Gwyther, L. P. (1986). Caregiver weil-being: a multi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The Gerontologist, 26(3), 253-259. https://doi.org/10.1093/geront/26.3.253
- Ellison C.G, (1991). Religious invol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91, Mar; 32(1): 80-99. https://doi.org/10.2307/2136801
- Friedman, J. H. (1991).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The annals of statistics, 19(1), 1-67. https://doi.org/10.1214/aos/1176347963
- Hampe, S. O. (1975). Needs of the grieving spouse in a hospital setting. Nursing Research, 24(2), 113-120. https://doi.org/10.1097/00006199-197503000-00009
- Holahan, C. J., & Moos, R. H. (1990). Life stressors, resistance factors, and improved psychological functioning: An extension of the stress resistan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909. https://doi.org/10.1037/0022-3514.58.5.909
- Hollen, P. (1981). A holistic model of individual and family health based on a continuum of choic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4), 27-42. https://doi.org/10.1097/00012272-198107000-00005
- Koropeckyj-Cox, T.(2002). Beyond parental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and old 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4), 957-97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2.00957.x
- Park. J., & Liao, F. T. (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s change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89. https://doi.org/10.1023/A:1007175601706
- Pearlin, L. I., Mullan, J. T., Semple, S. J., & Skaff, M. M. (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https://doi.org/10.1093/geront/30.5.583
- Seltzer, M. M., & Wailing, L. L. (1996). The transitions of caregiving: Subjective and objective definitions. The Gerontologist, 36(5), 614-626. https://doi.org/10.1093/geront/36.5.614
- Spitze, G. (1988). Women's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A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5-618.
- Weeks, J. R., & Cuellar, J. B. (1981). The role of family members in the helping networks of older people. The Gerontologist, 21(4), 388-394. https://doi.org/10.1093/geront/21.4.388
Cited by
- 가족의 경제적 수준이 가족생활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내 의사소통과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 원주시를 중심으로 vol.23, pp.4, 2019, https://doi.org/10.22626/jkfrma.2019.23.4.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