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소랑.정혜윤.송창용.최일선.유선치.임승연(2017). 국내외 정부 및 민간의 50+정책.사업 실태연구. 서울시 50플러스재단.
-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 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34, 47-56.
- 공병혜(2010). 한국사회에서 노인 돌봄. 한국여성철학, 13권, 1-22. https://doi.org/10.17316/KFP.13..201006.1
- 권용신(2016). 세대간 교류의 인식 및 소통증진. 한국노인복지학회.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421-433.
- 권혁철.김형용(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남성의 삶 - 4050세대 1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 김동철.고혁근.김대건(2016). 활동적 고령화가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55(1), 123-153.
- 김명자(1998). 중년기발달, 서울:교문사.
- 김미경(2016). 1인 가구 시대 노후와 가족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소고. 사회사상과 문화, 19(4), 167-190.
- 김미영(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이론, 27, 181-218.
- 김미정.백선정.남승연(2017). 마을 중심 보육.돌봄체계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2017). 가족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KWDI 이슈페이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연자(2011). 혼종모형을 이용한 중년여성의 위기개념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영란(2014). 노인1인가구 돌봄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노인돌봄공동체 제안-노인돌봄협동조합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젠더리뷰 2014 여름호, 21-32.
- 김영란.장혜경.이윤석(2017). 가족계층에 따른 청년자녀세대의 성인기 이행 및 정책대응 방안 연구. 2017 연구보고서-5.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영옥(2014).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4(6), 173-207.
- 김영옥.이승현.이선행(2016). 일-가정양립실태조사(2016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김유진(2016a). '지역 공동체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 관점에서 살펴 본 농촌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1(1). 251-273.
- 김유진(2016). 농촌지역 독거노인 공동생활거주에 관한 질적 사레연구. 한국노년학, 36(1), 21-38.
- 김정석.김송은(2012). 남녀노인의 노년시작인식연령과 노인인지. 한국노년학, 32(1), 103-114.
- 김진욱.권진(2015). 아버지들의 육아휴직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정책. 22(3), 265-302.
- 김현희.박진아(2014). 지역사회 육아품앗이 활성화 모델 개발, 부산여성가족개발원.
- 김혜경(2017). '가족 이후'의 대안적 친밀성 - 비혼 청년층의 공동주거 사례를 통해 본 돌봄과 우정의 공동체 실험. 한국사회학, 51(1), 155-198.
- 김희선(2016). 힘의 악용으로서의 가정폭력과 종교: 기독교신앙의 역할. 목회와 상담. 27호, 71-98.
- 노인환(2017). 농촌노인의 행복감에 대한 연구-경로당 노인공동생활가정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경희.김순옥(200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대안적 가족형태로서의 가능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19-151.
- 박은영(2002). 애착이론과 자아분화이론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변금선(2018). 활동적 노화 수준의 변화: 1931-1951년생 출생코호트 비교. 비판사회정책 61호, 95-135.
- 보건복지부(2017). 2018년도 보건복지 예산안 분석-보육분야. 복지동향, 2017년 11월.
- 보건복지부(2018). 노인 절반 이상(57.6%), '거동 불편해도 살던 곳에서 여생 마치고 싶다' -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8. 5. 24.
- 서홍란.정윤경.김희년(2013).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 행위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통권 61호, 57-83.
- 석상훈(2011). 고령은퇴자의 퇴직과정과 은퇴 후 소득 비료. 응용경제, 13(3), 269-295.
- 석재은(2014).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개념 정립과 향상 방안-현행 전략의 한계와 '좋은 돌봄'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사회복지학, 66(1), 221-249.
- 손태주.차성란(2018). 제주지역 돌봄공동체 활성화 방안. 제주여성가족연구원.
- 송경미(2016). 중년기의 가족부양부담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송성성(2014). 부모-자녀간의 애착유형과 자녀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상향 및 갈등해결전략 간의 관계-중국인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경아(2011). 노인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 - 재가노인과 시설거주 노인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 45(4). 64-96.
- 심미경.민현정(2017). 아이키우기 좋은 광주전남, 육아공동체에서 대안을 찾다. 광전리더스, 통권 60호, 1-20.
- 어유경.김순은(2016).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방행정연구, 30(3). 275-305.
- 오제은(2013). 중년, 위기인가? 전환점인가? 중년기 위기에 대한 통합적 접근 - 인간발달에 대한 세 가지 주요 관점을 중심으로. 현상과인식, 37(3), 141-166.
- 유은주.김미영.이건정(2013). 농촌 공동생활가정 거주 노인의 공동생활체 경험 연구. 노인복지연구. 2013.12. 통권 62호, 151-172.
- 윤성호.주상현(2018). 농촌 노인돌봄의 한계와 새로운 정책 방향: 노인돌봄을 위한 지역 공동체 조성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32(1), 203-223.
- 이명진.최유정.이상수(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 이병창(2017). 자주성의 공동체. 서울: 먼빛으로.
- 이수민(2013). 노인돌봄서비스 체계의 변화 - 노인장기요양제도 시행후 -.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1, 7-22.
- 이승윤.김민혜.이주용(2013). 한국 양육수당의 확대는 어떠한 정책형성과정을 거쳤는가?-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정책 20(2), 195-232. https://doi.org/10.17000/KSPR.20.2.201306.195
- 이여봉(2017). 1인 가구의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7년 10월, 64-77.
- 이옥경.문정희.박나리(2016). 부산지역 아빠육아 참여 활성화 방안. 부산: 부산여성가족개발원.
- 이은희.유현정.이준영(2016). 20대 청년세대의 고민과 경제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주요 인터넷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2(2). 121-143.
- 이정민.이만형(2017). 대안적 공동체론과 관련 조례의 공동체 개념화. 서울도시연구, 18(2), 177-192.
- 이진숙(2010). 가족대안으로서의 농촌 독거노인 생활공동체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2(1), 95-119.
- 임소라(2018). 청년 주거 공동체의 지속가능성 '달팽이 집'. 도시문제, 53(595), 32-35.
- 장수정(2012). 과천지역 공동체에 관한 연구 - 돌봄공동체 가능성과 여성주의적 함의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12(2), 31-68.
- 조한혜정.차성란(2017). 제주도 육아 공동체와 육아 나눔터 활성화를 위한 사례연구. 제주가족친화지원센터 포럼.
- 차선자(2008). 새로운 가족문화를 위한 가족정책 : 대안가족 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7(2), 39-72.
- 차성란.권혜진.조정현(2011). 가족품앗이 및 공동육아나눔터 성과발굴 및 운영모델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 차성란(2018). 제주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실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2), 1-24.
- 최인희.홍승아.김주현.정다은(2014). 중장년 및 노년기 남성의 가족생활 현황과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협.김명혜.김세건.윤수종.정근식.표인주(2006). 공동체의 현실과 전망. 서울: 선인.
- 최희경(2018).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돌봄 정의. 한국사회정책, 25(3), 103-130.
- 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8).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안내.
- 함선유.홍백의(2017). 공식 돌봄과 비공식 돌봄의 관계-재가 노인돌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69(4), 203-225.
- 홍승아(2018). 남성 육아휴직과 기업의 조직문화. 젠더와 문화, 11(1), 145-183.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8.1.26). 17년 육아휴직자, 8명 중 1명은 아빠.
- Charles, K. K.. & Sevak, P.(2005). Can Family Caregiving Substitute for Nursing Home Care?, J. of Health Econ, 24(6), 1174-1190.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5.05.001
- Davey, A. & Patsios, D.(1999). Formal and Informal Community Care to Older Adult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 Journal o fFamily and Economic Issues, 20(3), 271-299. https://doi.org/10.1023/A:1022957426159
- Hillery, G. A.(1955). Definition of Community : Area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20. 111-123.
- Motel-Klingebiel, A., Tesch-Roemer, C., & Von Kondratowicz, J. -J.(2005). Welfare States do not crowd out the family: evidence for mixed Responsibility from Comparative Analyses, Ageing and Society, 25(6); 863 https://doi.org/10.1017/S0144686X05003971
- Nisbet, R. A.(1966). The Sociological Tradition. New York: Basic Books.
- Van Houtven, C, H. & Norton, E. C.(2004). Informal Care and Health Care Use of Older Adults, J Health Econ, 23(6), 1159-1180. https://doi.org/10.1016/j.jhealeco.2004.04.008
-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ogef.go.kr/nw/enw/nw_enw_s001d.do?mid=mda700&bbtSn=705978)
- 서울특별시 50플러스 재단 (https://www.50plus.or.kr/org/index.do)
- 오마이뉴스(2014. 1. 20). "모유수유 빼고 모두 가능 ... 나는 육아빠".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1950009
- 한겨레(2018. 9. 4) 남성 육아휴직, 꿩 먹고 알 먹고.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60679.html
- 한국일보a(2018. 4. 2). 독거 중년남들 텃밭 가꾸며 수다. . . "외롭지 않아요"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4020475694684
- 한국일보b(2018. 9. 11). 우리 시대의 마이너리티 - 이혼, 실직, 부도에 은둔형 외톨이로 . . . 위기 내몰린 중년 1인 가구.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9100942095231
- e - 나라지표. 여성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72
Cited by
- 간호대학생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ol.21, pp.1, 2019, https://doi.org/10.5762/kais.2020.2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