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Mothers' Adaptation Support Strategies on Infants' Adaptation in Child Care Centers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단기종단연구

  • 신희남 (강남구 보육정보 센터) ;
  • 조복희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 전공)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early adjustment and later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s and to analyze the mothers' adjustment support strategi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44 infants from newborns to 36 months old and their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of public child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fants' age in mothers' adjustment support strategies. The more mothers use appropriate strategies for adjustment earlier in childcare centers, the better infants showed adjustment according to infants' age respective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djustment(Time1) and the later adjustment(Time2) of infants. Third, mothers' adjustment support strategies affected on infants' later adjustment in childcare centers. These results show that appropriate mothers' adjustment support strategies were related to infants' adjustment by age longitud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veloping adjustment programs including effective strategies for infants' mothers in childcare centers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pecified needs is needed.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적응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연령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에 거주하는 만0세부터 만36개월 미만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1993)등이 개발한 PAQ(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적응지원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영아의 초기 및 이 후 어린이집 적응에 관련된 양육 신념 및 어린이집 적응 전략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차이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영아의 이후 어린이집 적응(Time2)의 하위 요인 중 친사회성과 긍정적 정서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실시한 초기 어린이집 적응 (Time1)프로그램으로부터 받은 지원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지원 전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간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은 원장, 교사와의 주기적인 상담 및 개별적인 접촉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자아 상태와 하루일과 적응 및 일반적 적응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이후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있어서 같은 반 학부모들과의 개인적 네트워크 형성 및 지속적인 육아정보 교환에 대한 어머니의 지원정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남구보육정보센터.육아지원센터(2011). 사업보고자료. 서울: 강남구보육정보센터.
  2. 곽혜경, 조복희(199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 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0(1), 165-176.
  3. 구수연(2004).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난영(2000).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난영, 신유림(2001).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과 유치원 적응과의 관계. 연세교육과학, 49, 145-161.
  6. 김민지, 조복희(2000). 걸음마기 아동의 어린이집에서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 생활과학논집, 4(1), 19-29.
  7. 김현주(2011). 보육시설 적응프로그램의 개별실시에서 나타난 영아의 적응과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해숙(2010).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류경(2000). 보육시설 초기 적응과정의 영아 행동 특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성미(1996). 보육시설에서의 적응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영유아보육연구, 1(1), 57-71.
  11. 박희진, 문혁준(2012). 어머니의 양육 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21-137.
  12. 배성연(2005). 취업모 자녀의 사회 정서적 행동 반응 관련 요인.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백지혜(2009). 영아의 보육의 안정성, 시작시기, 양과 애착 안정성 간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195-212.
  14. 보건복지부(2008, 2011). 만1세, 만2세 보육프로그램.
  15.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2009). 전국보육실태-가구조사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서소정(2009).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발달, 기질, 교 사-영아간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 및 보육신념과 적응지원 전략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59-288.
  17. 서수경(1993). 유아의행동과 기질 및 성차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19. 오종은(2001). 영아의 애착 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 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옥경희, 김미해, 천희영(2002). 조절력과 부정적 정서 및 문제행동이 아동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61-68.
  21. 유민아(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양육태도가 영아의 보육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육아정책연구소(2011). 유아교육보육주요통계(24-2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3. 이용주(2002).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세계 구성 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혜숙(2007). 보육시설의 영아 초기 적응지도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임원신(2006).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정대현(2006).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유아-교사관계.다중지능과 초등학교 적응간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정은혜(2001).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조복희(2007). 아동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29. 하지영(2011). 영아의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황현주(2006). 영아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Ainsworth, M. D. S. (1972). Attachment and dependency: A comparision, In J. L. Gewirtz(Ed.), Attachment and dependency(pp. 97-137), Washington D. C.: Winston.
  32. Anderson, C. W., Nagle, R. J., Roberts, W. A., & Smith, J. W. (1981). Attachment of substitute caregivers as a functions of center quality and caregiver involvement. Child Development, 52, 53-61. https://doi.org/10.2307/1129214
  33. Belsky, J., & Rovine, M. (1987). Temperament and attachment security in the strange situation. Child Development, 58, 787-795. https://doi.org/10.2307/1130215
  34. Goossens, F. A., & Van Ijzendoorn, M. H. (1990). Quality of infant's attachments to professional caregivers: Relation to infant-parent attachment and day -care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61, 832-837. https://doi.org/10.2307/1130967
  35.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33-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36. Ladd, G. W., & Troop-Gorden, W. (2003).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Ad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Child Development, 74, 1334-1367.
  37.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3). Does amount of time spent in child care predict socioeconomic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68, 1145-1170.
  38. Parker-Cohen, N. Y., & Bell, R. Q.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179-192.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1-X
  39. Sroufe, L. A. (1983). Infant-caregiver attachment and patterns of adaptation in preschool: The roots of maladaptation and competence. In M. Perlmutter (Ed.), Minnesota symposium in child psychology(pp. 41-81). Hillsdale, NJ; Erl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