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care Teacher's Cognition of Human Right Awareness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 이미나 (전남도립대학교 아동복지과) ;
  • 김영춘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5.10.22
  • Accepted : 2016.01.06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childcare teacher's cognition of human right awareness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The subjects were 209 kindergarten teachers in G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1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about children with disabilities human right, awareness of right to survive, right to be protected, right to participate, and right to development had direct effects on their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Among the social supports influenced by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human righ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as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human righ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ir consciousness of social integration, a systemic human right education for human right awareness should be provid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 should be recognized to foster the social environment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human right, and human right awareness should be practiced into action in daily life, in order to help childcare teachers to develop as the main agents of children's human right.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G시와 N지역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4.0을 사용하여 각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장애아동 인권에 대한 인식 중에서 생존권, 보호권, 참여권, 발달권은 사회통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권인식에 영향을 받은 사회적 지지 중 정보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는 사회통합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인권에 대한 인식이 사회통합에 중요한 요인을 작용함에 따라 인권인식을 위한 체계적인 인권 교육을 실시하고, 다양한 사회적 지지체계 확보의 필요성을 인지함으로써 유아의 인권을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및 실생활에서 인권을 실천함으로써 보육교사가 아동 인권의 주체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녕, "인권교육 교사 워크숍 자료집,"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0.
  2. 윤정숙, 인권단체 인권교육을 활용한 학교 인권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 고명석, 사회생활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 김승엽, 정신지체장애인의 인권침해에 대한 사례 분석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김자영, 청소년 인권의식의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김진숙,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인권에 대한 의식 차이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권, pp. 109-132, 2010.
  8. 김혜정, 고등학생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9. 권연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21-39, 2010.
  10. 류지헌, 허창영, "대학생의 인권인식에 대한 요인분석 및 인권태도의 인식수준," 민주주의와 인권, 제8권, 제1호, pp. 175-202, 2008.
  11. 박봉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박은혜, "교회학교 교사의 헌신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교육학회 기독교교육 논총, 제34권, pp. 317-348, 2013.
  13. 박정선,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현안 인식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15.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및 요구분석," 유아교육 보육 행정연구, 제13권, 제3호, pp. 216-232, 2009.
  16. 서정은, 유아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7. 안선희, 김지은,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 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5호, pp. 147-164, 2007.
  18. 양옥경, "유치원 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한국교원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 25-43, 2007.
  19. 유성남,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김기헌, 신인철, "생애 초기 교육기회와 불평등: 취학 전 교육 및 보육경험의 사회계층간 격차,"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제21권, 제4호, pp. 29-55, 2011.
  21. 이미래,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인권인식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2. 이소현,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1호, pp. 300-325, 2003.
  23. 이용교, 이희길, 인권교육의 기법, 서울: 인간과복지, 1997.
  24. 이정원, 정주영, 최효미, 김진미, 사회통합 관점 의 보육 교육 서비스 이용 형평성 제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25. 이지영, 영아의 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6. 이경화, 주미정, 이희영,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pp. 97-111, 2011.
  27. 이상희, 중학생의 인권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8. 이미나, 백현옥, "그림책을 활용한 인권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99-119, 2015.
  29. 이영미, 몬테소리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지지,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0. 이재연, 아시아 아동의 삶의 변화, 유엔아동권리 협약 20주년 국제학술대회, 2009.
  31. 이진화,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개인 및 기관의 정서변인,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2. 장희수, 아동권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주효경, 인권감수성 훈련이 정신간호사의 인권인식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4. 최경희,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정서 노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5. 하경희, 강병철, "대학생의 인권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2호, pp. 183-202, 2008.
  36. 현영렬, 아동.청소년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7. M. Frese,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ors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with objective measur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4, No. 2, pp. 179-192, 1999. https://doi.org/10.1037/1076-8998.4.3.179
  38. G. Camilli, S. Vargas, S. Ryan, and W. S. Barnet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arly education interventions on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The Teachers College Record, Vol. 112, No. 3, pp. 579-620, 2010.
  39.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13, pp. 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40. S. Cohen and S. L. Syme,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New York: Academic Press, 1985.
  41.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 98, pp. 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42. V. Barnett, "Statistical Analyses of Pollution Problems Statistics for the Environmant," Vol. 3, pp. 3-44, 1995.
  43. 이은혜,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4. E. Durkeim,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N.Y ; The Free press,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