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s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25초

학업성취도에 대한 대입전형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 (The influence analysis of admission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s)

  • 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729-73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부산 소재 K 대학교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해 신입생의 특성변수를 포함한 전형관련 변수들에 대한 영향력 분석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모수적인 방법인 다중회귀분석과 비모수적인 방법인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하여 학업성취도에 대한 전형관련 변수들에 대한 주효과와 상호 작용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추론적 읽기전략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텍스트 이해와 국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on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김선경;윤소정;김정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on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 developed the program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applied it to an educational spot, and examined the effects of it on text comprehension ability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learners. ANCOVA was used for data analysis with SPSS ver.12.0 statistic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text comprehension ability from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ability from controlled group. The study shows that the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had effect on the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취업준비행동 -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 Focusing on Demographic Variables -)

  • 최형전;전현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8-217
    • /
    • 2024
  • It has recently become difficul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o gain employment after gradu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accomplish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234 college men and women in Gwangju and Jeollanam-do from April 12 to 30, 2022. Out of an initial 2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50 were collected. Of these, 234 copies, excluding 16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 t-test, and an F-test, employing SPSS 21.0, which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concerning academic achievement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tives to select the cosmetology department," "most important aspects for career decision," and "academic major-related license." Second, concerning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cademic year," "motives to select the cosmetology department," and "academic major-related license."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ensur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t is anticipated that those majoring in cosmetology would be more active in job preparation and ultimately obtain the profession they desire with a positive and healthy mindset.

이공계 글쓰기 교과목에서 학습 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s of both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in technical writing)

  • 김혜경;최원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42-49
    • /
    • 2017
  • This study is about the influence of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from professors on academic achievements in technical writing.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group who had recorded reflective journals and getting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who had gotten feedback without reflective journals. And we compared academic achievements by conducting both professor 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in technical writing. The results showed better learning e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test group than the other.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 성취도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Science)

  • 김태훈;윤태형;김요섭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7
    • /
    • 2011
  • 목적: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상관이 있는지와, 높은 학업성취 대학생과 낮은 학업성취 대학생의 학습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K대학교 보건계열 1학년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Multi-dimensional Learning Strategy Test를 활용하여 45분 동안 183문항을 조사하였다. 결과: 성격적 특성 중 효능감과 실천력이 학업성취도와 의미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동기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학업성취도가 학습동기와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회피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여 주었다. 학업성취도와 행동적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8개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주었다. 높은 학업 성취군과 낮은 학업성취군 사이의 학습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성격적 특성에서는 두 그룹사이에 효능감과 실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적 특성에서는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이 우울을 느끼는 정도가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적 특성에서는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은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낮은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회피 동기에서는 반대로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행동적 특성의 사용능력에 있어서는 8개요인 모두에서 낮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이 높은 학업성취군 학생들에 비해 현저히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업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의 주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이들이 높은 학업 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에 비해 학습전략의 사용 능력에 있어서 뒤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은 대학 교육과정에서 교양이나 전공과목의 개설 뿐 아니라 학습전략의 효과적 사용을 위한 특강이나 세미나 등의 프로그램을 설치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Healthcare major College Students)

  • 박정희;윤병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257-264
    • /
    • 2020
  • 이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그릿, 진로준비 행동을 살펴보고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소재 일개 4년제 대학 보건계열 대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그릿은 3.32점, 진로준비 행동은 2.87점, 학업 성취도는 3.44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 성취도는 학과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릿, 진로준비 행동, 학업 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 성취도는 그릿, 진로준비 행동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 만족도(β=.279 p<.001)와 그릿(β=.224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23%였다. 전공 만족도와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다양한 학습 전략을 모색하여 학업 성취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공과대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학습양식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of Engineering University Students)

  • 김은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20-2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it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CALSIU(The Cognitive & Affective Learning Style Inventory for University School Students) by Kim, E. J. was modified for applying to university students and performed with 399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Daejeon and Chungnam. Statistical analysis done in this study were ANOVA and Scheffe's tes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s have intuitive perception type, whole processing type, and deep storage & recall type. Secondly, the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have strong non-academic learning type. Third, interaction attitude of affective learning styles is the important element to determine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ents with independent type get high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instructor should consider the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it should be used to improve their teaching & learning strategy for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of university students.

의학전문대학원생의 대학 전공 계열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Analysis on a Medical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University Major Field)

  • 유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634-63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졸업 전공계열과 동일 학번의 학년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C 의학전문대학원 2008학년에 입학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입시원서 제출시 본교 전공 구분 기준을 자연 과학계열과 비자연과학계열로 대학 전공 계열을 구분하여 2008-2011년까지 학업성취도를 학년별, 교육과정별로 분석하였다. 대학 전공 계열에 따라 학년별 학업성취도 및 교육과정별 학업성취도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 전공 계열이 학년별 및 교육과정별 학업성취도 상 중 하 수준별 분포와 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학문분야의 배경을 가진 학습자들에게 선발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입학전형제도가 일부 유지될 필요가 있고, 대학 전공 계열에 따라 학업성취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의 전환과 학습자들의 학습 가능성을 믿고 학습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K대학교 사례 (A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s of college students admitted by admissions officer selection: K university case)

  • 최현석;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6호
    • /
    • pp.1149-1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2011학년과 2012학년도 K대학교 입학생 중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과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평균평점과 상대하위순위 (relative ascending rank)에 기초한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분석을 통해 입학사정관전형의 실효성과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학생들을 선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입학사정관 전형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반 전형의 학업성취도가 입학사정관 전형의 학업성취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사정관, 수시 일반, 정시 일반 모집별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제 학생들이 일반 전형학생들에 비해서 거의 모든 학기에서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 전형 중에서는 수시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시 일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거의 모든 학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입학사정관전형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의 대학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Graduates from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ose from General High School selected by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er System)

  • 조동헌;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65
    • /
    • 2014
  •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전형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로 입학한 학생의 대학 학업 성취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 입학전형요소와 대학 학업성취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학 학업성취도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입학전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2011학년도 A대학교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입학하여 3년간 재학한 학생 104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성적은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대학 학업성취도와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상관관계는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보다 다소 높았다. 셋째, 대학 학업성취도는 전체교과와 교양교과에서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에 비해 낮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냈다. 반면 전공교과에서 특성화고 졸업자가 일반고 졸업자에 비해 높은 대학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넷째, 학년별 대학 학업성취도 추이는 특성화고와 일반고 졸업자 모두 학년이 올라갈수록 대학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띠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입전형에서 대학 입학전형요소의 비율과 적용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성화고 졸업자가 대학 교육과정에 적응할 수 있는 예비 대학 준비과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