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INTERACTION

검색결과 1,985건 처리시간 0.027초

편마비 환자의 재활과정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의 변화양상 (Stress and Coping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 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32
    • /
    • 1994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patients with hemiplegia are under stress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at changes occur in the stress perceived by these patients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and what changes occur in the ways they coped with stress. A decriptive study with a longitudinal design was conducted. A total of 57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were admitted to one general hospital made up the sample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used for the data collection which was done in three phases(within one week after admission : within one week before discharge ; within one month after discharge ).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repeated measures of ANOVA, and post hoc paired t -test, Bonferroni cor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 1.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tress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s in the perception of stress among these patients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On the post-hoc test. the perception of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admission to discharge. The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tress was high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perception of physical and social stress. 2. Changes in the way the patients coped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 On admission passive coping was used by most of the subjects(91.2%). Passive coping showed an decrease from admission to discharge, but an increase from discharge to follow-up at one month post discharge.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way the patients coped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3. Changes in perception of stress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according to variables. Perception of stress among patients classified as So-Um was higher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when compared with patients classified as So- Yang and Tae-Um.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tress over time. The patients with right sided paralysis perceived higher stress than those with left sided paralysis.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tress over time. Hence, stress was not influenced by which side was paralyzed th frequency of the relapse of the disease, or the time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4. Changes in coping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according to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the patients coped at follow- up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the constitution groups. In other words, coping was not used by patients classified as Tae-Um but was used by those classified as So-Um. On the repeated measures of ANOVA, there was a stat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over time, and an interaction between constitution and time. But the way of coping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was not influenced by which side was paralyzed nor by the frequency of the relapse of the disease. In conclusion, perception of psychological stress was high during the rehabilitation process, as compared to perception of physical and social stress. There was a statist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tress over time, Perception of stress showed a gradual decrease from over admission to follow-up period. There wa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of coping over time. Passive coping was used by most of patients. In the study, these findings suggest a need for nursing care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support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both in the hospital as well as at home, and the need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on independent self-care to help the hemiplegic patients adapt to stress using active coping.

  • PDF

핀테크 서비스에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신뢰전이에 관한 연구 - 스마트뱅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ust Transfer in Traditional Fintech of Smart Banking)

  • 애제;권순동;이수철;고미현;이보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167-1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구축되었던 오프라인뱅킹에서의 신뢰가 새로운 스마트뱅킹 서비스 신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뱅킹 신뢰의 영향요인으로 오프라인뱅킹의 신뢰, 스마트뱅킹의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을 비교연구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스마트뱅킹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18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분석은 Smart-PLS 2.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오프라인뱅킹 신뢰가 스마트뱅킹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핀테크 서비스에서 신뢰전이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오프라인뱅킹 신뢰가 스마트뱅킹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스마트뱅킹 자체의 특성보다 낮은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술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학술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지금까지의 뱅킹관련 연구들은 오프라인뱅킹이나 스마트뱅킹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뱅킹의 특성이 스마트뱅킹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신뢰전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산업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본 연구에서 시중은행의 오프라인뱅킹 특성이 새로운 스마트뱅킹 서비스의 신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신흥 핀테크 업체가 시중 은행에 비해 신뢰구축의 경쟁에서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흥 핀테크 업체들은 시중은행과 달리 모바일, 소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은 물론, 현실화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의 기술로 무장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점만으로는 금융거래에 필요한 충분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미 신뢰관계에 있는 주거래 은행을 고객들이 잘 바꾸지 않는 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흥 핀테크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고객접점에 우위에 있는 소셜서비스와 같은 온라인 상호작용의 강점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반영한 파괴적인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하고, 특히 새로운 서비스에 저항이 낮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신뢰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에 따른 복부비만과 제2형 당뇨병간의 관련성: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The Association of Central Obesity with Type 2 Diabetes among Koreans according to the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Level: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 신지연;황준현;정진영;김성희;문재동;노상철;김영욱;김양호;임종한;주영수;홍영습;하은희;이용환;이덕희;김동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6호
    • /
    • pp.386-391
    • /
    • 2009
  • Objectives :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if the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level that is within its normal rang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nd i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aist hip ratio (WHR) and type 2 diabete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rum GGT level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were 23,436 persons aged 40 years or older and who participated in regular health check-ups at 11 hospitals (males: 5,821, females: 17,615). The gender-specific quintiles of the serum GGT and WHR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 The serum GGT levels within their normal rang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only in women. The adjusted odds ratios (ORs) were 1.0, 1.0, 1.4, 2.1, and 2.5 according to the quintiles of the serum GGT ($p_{trend}$<0.01). The WHR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iabetes among the women with a high-normal serum GGT level as compared with those with a low-normal serum GGT level (p for interaction=0.02). For example, the adjusted ORs for women with a low normal serum GGT level were 1.0, 1.2, 1.5, 2.2, and 2.4 according to the quintiles of the WHR, while those figures were 1.0, 2.4, 3.6, 5.0, and 8.3 among the women with a high normal serum GGT level. However, in men, the serum GGT was very weak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WHR and type 2 diabetes was not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rum GGT level. Conclusions : Serum GGT within its normal rang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and central obesity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ype 2 diabetes when the serum GGT level was highnormal. However, these associations were observed only in wome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findings. The stronger relation between central obesity and type 2 diabetes among women with a high-normal serum GGT level can be useful for selecting a group that is at high risk for type 2 diabetes irregardless of what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is.

인공지능(AI) 스피커에 대한 사회구성 차원의 발달과정 연구: 제품과 시기별 공진화 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Development Process in Terms of Social Constructivism: Focused on the Products and Periodic Co-revolution Process)

  • 차현주;권상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9-135
    • /
    • 2021
  • 본 연구는 전통뉴스 보도에 나타난 인공지능(AI)스피커 뉴스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AI) 스피커 발달과정을 분류하고 시기별 제품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AI 스피커 사업자 제품별 뉴스 보도와 시기별 뉴스 보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이론적 배경은 뉴스의 프레임과 토픽프레임이다. 분석방법으로는 LDA 방식을 활용한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과 의미연결망분석이 사용되었으며, 추가로 'UCINET'중 QAP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분석 방법으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AI 스피커 관련 2,710건의 뉴스를 1차로 수집하였고, 2차적으로 Nodexl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토픽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AI 스피커 사업자 유형별 토픽 프레임의 경향은 4개 사업자(통신사업자, 온라인 플랫폼, OS 사업자, IT디바이스 생산업자)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구글, 네이버, 아마존, 카카오)와 관련한 프레임은 AI 스피커를 '검색 또는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하는 프레임의 비중이 높았다. 반면 통신 사업자(SKT, KT)는 모회사의 주력 사업인 IPTV, 통신 사업의 '보조 디바이스' 관련한 프레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아가 OS 사업자(MS, 애플)는 '제품의 의인화 및 음성 서비스' 프레임이 두드러지게 보였으며, IT 디바이스 생산업자(삼성)는 '사물인터넷(IoT) 종합지능시스템'과 관련한 프레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AI 스피커 시기별(연도별) 토픽 프레임의 경향은 1기(2014-2016년)에는 AI 기술 중심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고, 2기(2017-2018년)에는 AI 기술과 이용자 간의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3기(2019년)에는 AI 기술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QAP 분석 결과, AI 스피커 발달에서 사업자별과 시기별 뉴스 프레임이 미디어 담론의 결정요인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연구의 함의는 AI 스피커 진화는 사업자별, 발달시기별로 모회사 기업의 특성과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공진화 과정이 나타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스피커의 향후 전망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 변화 추정에 관한 연구 (Change Prediction of Forestland Area in South Korea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 곽두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51
    • /
    • 2020
  • 본 연구는 산림기본법 10조에 명시되어 있는 산림자원 및 임산물 수급의 장기전망을 통한 제6차 산림기본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산지의 정의는 산지관리법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산림 조성, 생산, 관리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서 미래 산림자원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에 미래의 산지면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은 향후 계획수립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대극대화 이론에 근거한 임업부가가치, 농업소득, 인구밀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로지스틱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미래의 산지면적, 농지면적, 도시 및 기타지의 면적 변화를 예측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산지면적은 2026년까지 약 6,300천ha로 줄어들어 현재 대비 약 34천ha의 감소분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후 2027년부터는 반등을 시작하여 6,470천ha로 늘어나 약 172천ha의 증가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산지면적의 증가는 임업부가가치의 증가와 관련이 있고, 농지면적의 증가는 농업소득의 증가, 그리고 도시 및 기타지의 증가는 인구밀도의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산지면적의 주된 증가원인은 한계효과와 탄성치가 큰 인구밀도의 감소로 밝혀졌는데, 이는 저출산으로 인해 절대인구가 2032년부터 감소함에 따라 산지면적의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면적의 증가분은 도시 및 기타지에서 산지로 전환되는 면적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 주변 지역의 인구 공동화 현상과 지방 소도시의 소멸 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산지의 증가를 산지관리 차원에서 살펴보면, 증가되는 산지면적은 지목상 임야 이외의 토지로부터 편입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사후 산지관리법상의 산지로서 관리되기 위해서는 산림 관련 법령의 정비는 물론 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산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기독교 대학의 서비스러닝 질적사례 연구: 서비스러닝 효과와 학습정서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Case Study of Service Learning in Small Christian Universities : Focusing on service learning effect and learning emotion)

  • 김현우;이정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1권
    • /
    • pp.61-96
    • /
    • 2022
  • 본 연구는 지방의 소규모 기독교 대학에서 기독교 교육이념의 구현을 위하여 개설된 서비스러닝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서비스러닝의 교육적 효과와 학습정서의 변화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러닝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J대학교의 2022학년도 1학기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수강생의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NVivo1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러닝을 통해 개인 측면에서 개인역량의 성장, 자기성찰과 변화의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 사회 및 시민 측면에서는 사회적 책임감의 제고, 지역사회(공동체) 공감 및 참여의식 향상,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 증가 등의 교육적 효과가 도출되었다. 또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정서로는, 감사, 도전과제 인식, 자부심, 자신감, 책임감 등의 긍정적 정서와 걱정(어려움), 속상함, 아쉬움, 어색함 등의 부정적 정서가 있었다. 서비스러닝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정서를 기초로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러닝 운영시 방문기관에서의 봉사기간을 6주 이상으로 늘리고 계획단계에서 긴밀한 상호작용과 교육적 환경에 대한 세밀한 분석에 기초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또 기관방문 이전에 강의실에서 시연과 모의발표 등을 통해 담당교수 및 동료들의 피드백 받는 기회를 갖고, 최종적으로 서비스러닝의 결과발표 이후에 기관 재방문의 기회를 갖는다면 보다 질적인 서비스러닝 교육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제적이고 정교한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으로 학습자들에게 보다 가치 있고 유의미한 서비스러닝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기를 기대해본다.

공공디자인에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스마트 도시의 공공시설물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Smart Public Facilities in Public Design - Focusing on examples of public facilities in smart cities -)

  • 손동주
    • 서비스연구
    • /
    • 제13권4호
    • /
    • pp.97-112
    • /
    • 2023
  • 연구 배경: 현대 사회에서 공공디자인의 중요성은 도시 기능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 크게 자리 잡고 있다. 공공시설물은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편리함과 안전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하며,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이 연구는 공공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시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하며 포용적인 도시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 가능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 방법: 문헌 연구는 스마트 공공시설물에 대한 기존 이론과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사례 연구는 국내외 도시에서 구현된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실제 사례를 분석해 효과, 사용자 만족도, 개선점 등을 도출한다. 분석 및 논의를 통해 사례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스마트 공공시설물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 결과: 스마트 공공시설물이 도시 관리, 에너지 효율성, 안전, 정보 접근성 등 여러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도시 관리 측면에서는 최적화되고, 사회적 포용성, 환경 보호, 시민 참여 촉진, 그리고 기술적 혁신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도시 형태를 창출하며, 도시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결론: 이 연구는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서비스 및 디자인 측면의 시사점, 현황과 기능, 그리고 도시환경 및 시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결론적으로, 스마트 공공시설물은 도시 관리의 최적화,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정보 접근성 증진,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상호작용 증대 및 사회적 포용의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기술혁신과 공공시설물의 통합으로 도시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만들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최적화된 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발전은 도시의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기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도시환경 창출을 가능케 한다. 스마트 공공시설물의 발전은 도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며, 미래의 도시는 더 지능화되고 능동적이며, 사용자 친화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또한, 도시환경과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종교지향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 대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 (The Moderate Effect of the Religious Fundamentalism on Religious Orientations and Subjective Well-being)

  • 정성진;;서경현;김신섭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19-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종교지향과 종교적 원리주의가 주관적 웰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와, 웰빙에 대한 종교지향과 종교적 원리주의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374명의 대학생들이었으며, 그들의 평균 연령은 22.54(SD=4.79)세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I/E-R 종교지향척도, 종교적 원리주의척도, 영적안녕척도, 정서빈도검사, 삶의 만족척도, 주관적 행복척도, 삶의 동기척도 및 삶의 기대척도이다. 분석 결과, 종교를 가진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종교적 안녕을 더 경험하고 있었지만 주관적 웰빙 수준은 더 높지 않았다. 대학생의 종교지향은 영적 안녕은 물론,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긍정정서 등과 같은 웰빙 변인과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종교지향이 주관적 웰빙 변인과 공변하는 부분은 4~6%가량 밖에 되지 않았다. 종교적 원리주의는 영적 안녕이나 삶의 만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삶의 동기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한편, 대부분의 주관적 웰빙 변인과 종교지향의 관계에서 종교적 원리주의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 분석결과, 종교적 원리주의 성향이 약한 대학생의 경우 종교지향이 수준에 따라 주관적 웰빙 수준에 큰 차이가 없었지만, 종교적 원리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 종교지향이 수준이 강하면 그렇지 않은 것보다 실존적 안녕 수준이 높고 긍정정서나 행복감을 더 느끼고 삶을 만족하고 있었는데, 특히 미래의 삶에 대한 동기와 기대 수준이 매우 높았다. 이런 결과는 종교 관련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산욕초기 초산모의 간호목표달성방번 합의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act of an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and enhance thei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 이영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115
    • /
    • 1992
  • The problem addressed b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urse - patient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ould result in heghe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is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 enhanc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nursing theory. Especially,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s crucial toward in recovery from childbirth and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Maternal role attaintment is a complex social and cognitive process of stimulus -response accomplished by learning. Most women attain the maternal role sucessfully. But, some primiparous mothers experience difficultites in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attainment and adjustment to the maternal role (Mercer, 1981a, 1981b ; Lederman, Weigarten, and Lederman, 1981 :Bobak and Jensen, 1985). Nursing is defined as behaviors of nurses add patients that attain nursing goals through action, reaction, interaction, and transaction. For attainment of nursing goals, active participating transactions must occur by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those goals through nurse -patient mutual goal setting and establishment of their active relationships(King, 1981, Ha, 1977). Based on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 (1981), this stuy was plan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 -synchronized quasi -experimental design using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early postpartum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 to Sep. 1, 1991 by questionnaires with 60 primiparous mothers planing to breast feed after normal deliveries at W hospital in Pusan,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conventional group) -those admitted from July 20 to Aug. 12, and an experimental group(agreement group) - those admitted from Aug. 13 to Sep. 1. The instument for agreement on the means to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cluded five steps - identification of disturbances of problems through action, reaction, and interaction with primiparous mothers : mutual early postpartal nursing goal setting : explor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goals ; agreement on the means (self- care, ealry maternal -infant contact, performance of mothering behavior, and communicating about the infant's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 implementation of the means. This instrumen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ing's elements that lead to transactions in nurse-patient interactions. Lederman et al's (1981) scale for Confidence in ability to cope with tasks of motherhood and Lederman et al's(1981) scale for Mother's satisfaction with motherhood and infant care were used to measur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with the subjects immediately after admission and on the day of discharge. Self-care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sured by self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from the literature concerned. The tools to measure P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the tool to measure self-evaluation of self-care performanc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94, 0.94, and 0.63.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x²-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total subjects group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bove average with a mean score of 2.77(range 2.14-3.64). Out of 14 items, those with relatively high mean scores were ‘I would like to be a better mother than I am’(3.95), and ‘I have my doubts about whether I am a good mother’(2.87). Those with low mean scores were ‘I know that my baby wants most of the times’(2.28), ‘When the baby cries, I can tell what she /he wants’(2.37), and ‘I have confidence in my ability to care for the baby’(2;50). That is, the self - confidence of Primiparous mothers was considerably high in mothering, but rather low in activities concerning the infant care and understanding of the infant behavi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total subjects group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high with a mean score of 3.18(range 1.92-3.92). Out of 13 items, those with relatively high mean scores were ‘I am glad 1 had this baby now’(3.75), ‘I play with the baby between feedings when s/he is awake and quiet’(3.67), and ‘I enjoy being a mother’(3.27). Those with low mean scores were ‘I am upset about having too many responsibilities as a mother’(2.78), ‘It bothers me to get up for the baby at night’(2.82), and ‘I get annoyed if the baby frequently interrupts my activities’.(2.82), That is, the satisfaction of primiparous mothers was considerably high in mothering and infant care, but rather low in restraints in time or on the mother's self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2.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cluded process of mutual goal setting, explor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goals, and ahreement in concert means to achieve goals based on the mothers' condition, concerns, self-perception of the nurse - patient interactions. In the process of agreement, there was agreement that the means to achieve goals should be through trust and establishment of ac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rse through identification of problems according to planned nursing goals and active interaction, such as explanations, teaching, changing of opinions, acceptance or rejection of explanations, and proposing of questions. Therefore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ppears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imiparous mothers. 3. The degree of self- 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t=3.95, p<0.01). Out of 14 items, those with higher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 would like to be a better mother than I am’(t=1.93, p<0.05), ‘I know that my baby wants most of the times’(t=2.75, p<0.01), ‘When the baby cries, 1 can tell what she/he wants’(t=2.10, p<0.05), ‘I have confidence in my ability to care for the baby’(t=3.72, p<0.01), ‘I trust my own judement in deciding how to care for the baby’(t=1.96, p<0.05), ‘I feel that I know my baby and what to do for him /her’(t=2.44, p<0.01), ‘I am concerned about being able to meet the baby's needs’(t=2.87, p<0.01), ‘I know what my baby likes and dislikes’(t=3.26, p<0.01), ‘I don't know to care for the baby as well as I should’(t=2.07, p<0.05), and ‘I am unsure about whether I give enough attention to the baby’(t=3.04, p<0.01), That is,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othering, activities concerning infant care, and understanding of infant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3.95, p<0.01). 4.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rimental group was higer than that or the control group(t=2.31, p<0.05). Out of 13 items, those with higher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 am glad I had this baby now’(t=2.29, p<0.05), ‘I enjoy taking care of the baby’(t=2.4g, p<0.01), ‘It is boring for me to care for the baby and do the same thing over and over’(t=2.87, P<0.01), ‘I am unhappy with the amount of time I have for activities other than childcare’(t=2.51, p<0.01), and ‘When bathing and diapering the baby, I would like to be doing something else’(t=2.43, p<0.01). That 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othering, infant care, and restraints in time of on the mother's self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t=2.31, p<0.05). 5.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enal role performance,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enal role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ported (r=0.57, p<0.01)

  • PDF

중국(中國) 지방사회(地方社會)와 불교사원(佛敎寺院) 그리고 승인(僧人)의 상호(相互) 영향(影響)에 관한 일고(一考) (On the Influence Each Other Between the Monks in the Buddhist Temples and the Society in Towns or Villages)

  • 옌야오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3호
    • /
    • pp.60-79
    • /
    • 2012
  • 고대 중국 불교사원이 있는 환경은 향촌(鄕村), 명산(名山), 도시(都市) 세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또한 사원이 존재하는 환경의 차이를 만들며 이로써 불교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고 또한 사원과 사회관계의 다른 유형을 만들었다. 본고는 향촌 사회가 사원과 승려뿐 아니라 불교의 존재와 발전에 가져온 각종 이해(利害)에 대해 설명한다. 사원이 사회구조 속에서 다른 환경적 위치, 즉 도시와 향촌에 놓였을 때 그들은 결국 다른 외재적(外在的) 내재적(內在的) 사회적 응성을 발생시킬 수 밖에 없다. 중국 고대 불교사원은 위에 말한바와 같이 향촌, 명산, 도시에 위치하고 있으나 동진십육국 이후 사원이 크게 늘고 명산이 사원과 승려의 집중지가 됨에 따라 명산과 도시의 사원은 비슷한 양상을 띠며 발전한다. 그러나 향촌의 사원은 이와는 좀 다른 영향을 받고, 비쳤으므로 그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향촌 지역의 사원과 승려들이 서로 미치는 영향은 크게 네가지가 있다. 첫째, 향촌의 승려들은 그 지역, 혹은 그 부근으로부터 왔기 때문에 사회와 비교적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향촌 지역의 세력은 사원 승려집단이 구성하는 영향력을 제한한다. 둘째, 향촌 사원은 지방경제에 의탁하며 서로 동고동락 하였다. 향촌의 사원은 그 사회의 공공장소가 되었고 종종 시장 소재지가 되기도 하였다. 사실 사찰의 축조와 존재는 원래 지역 경제에 있어 하나의 추동력이 되었다. 왜냐하면 사찰건물 축조에는 공장(工匠)과 재료가 필요하며 어떤 절은 향객(香客)과 향촉(香燭) 소비 등에서 모두 많게든 적게든 상품 경제를 대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재 향촌이 어떤 자연재해 혹은 인재를 만나거나 수확이 좋지 않거나 경제가 불황일 때는 승려들이 흩어져 사원 또한 존속할 수 없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셋째, 향촌 사원과 신도들의 관계는 도시와 명산의 사원과 구별된다. 왜냐하면 중국에서 사원은 승려들이 수행하는 장소일뿐 아니라 일반 가신도(家信徒)들이 조배(朝拜)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그 주위엔 항상 많은 신도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넷째, 향촌 불교와 지방 민간신앙의 결합은 꽤 큰 정도로 불교의 민간화를 주도하였다. 이것은 하나의 상호작용 과정이다. 불교가 가지고 있는 전국성(全國性) 종교로서의 우세(優勢) 때문에 종종 지방특색을 가지고 있는 숭배는 불교 신앙으로 바뀌거나 불교 적색채에 물들었다. 향촌의 사원은 현지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지방의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향촌에서 비교적 문화가 발달된 곳으로서의 각종 문화와 관련된 시설 - 예를들어 학교, 병원 등 - 의 역할을 대신하여 모범 행동을 보이기도 하였다. 사찰이 향촌의 장례(葬禮)에 미친 영향도 매우 컸다. 중국인의 분묘(墳墓)는 주로 향촌에 세워졌는데 도시에 사는 사람이더라도 죽은 후에는 본적(本籍)으로 돌아와 묻히거나 적어도 도시가 아닌 교외(郊外)에 묻혔다. 향촌의 사찰은 일반적으로 장사 치르는 일에 참여하였다. 이상은 대다수의 유명한 불교 사찰은 명산에 있는것이 아니라 도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원의 다수는 오히려 광대한 향촌에 있으며 그들은 향촌 사회와의 상호 융합을 통하여 90%이상의 중국 민중과 연결되어 있으며 불교가 중국에서 가장 중요하게 존재하는 기초가 되었음을 표명한다. 향촌 사원과 현지 사회 민중간의 상호 영향은 전방위(全方位)적인 것이며, 많게 혹은 적게 사회 생활 각 방면에 파급되었다. 향촌 지역에 이렇듯 사묘(寺廟)가 시(時) 공간(空簡)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해 있는 것은 불교 사원과 중국 고대 농촌 사회의 긴밀한 결합을 설명하기에 족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