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concept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5초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이 소수의 관계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rimary Concepts of Division and Fraction upon Relational Understanding of Decimals)

  • 김화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53-37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소수를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과 개념의 연결로 소수에 대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구성하여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나눗셈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바탕으로 어떻게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소수의 1차적 개념을 바탕으로 어떠한 변형된 1차적 개념을 형성하여 수직적 수학화를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으로 형성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그들의 연결로 구성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가 소수에 대한 관계적 이해와 수직적 수학화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소수의 덧셈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about Influence of Primary Mathematic Concepts on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 Concepts in 3rd Grade Prodigies of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Addition of Decimals-)

  • 김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37-4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나눗셈과 분수와 소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2명을 대상으로 소수의 덧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어떠한 변형된 1차적 개념[1]과 변형된 스키마[2]를 어떻게 구성하여 소수의 덧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에 대해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형성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소수의 덧셈에 대한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이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나눗셈과 분수와 소수의 1차적 개념에 대한 학습으로 형성된 변형된 1차적 개념과 변형된 스키마가 소수의 덧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칙연산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학습자의 Schema가 거듭제곱과 혼합계산의 관계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chema of Learners Who Have Learned the Primary Concepts of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on the relational Understanding of Power and Mixed Calculations)

  • 김화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51-2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사칙연산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거듭제곱과 혼합계산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즉 사칙연산의 1차적 개념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2차적 개념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연구대상자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1차적 개념에서 2차적 개념으로 발전 할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와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1차적 개념끼리의 연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2차적 개념으로의 발전과 수학적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학의 1차적 개념이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의 수학적 개념구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about Influence of Primary Mathematic Concepts on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 Concepts in 3rd grade Prodigies of Elementary Schools - Focusing on Addition and Multiplication of Fractions -)

  • 김화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7-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칙연산과 분수의 1차적 개념을 학습한 초등학교 3학년 영재아 3명을 대상으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을 내용으로 하였을 때, 정확한 개념의 인지와 개념의 연결로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1)를 어떻게 구성을 하는지에 대해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즉 수학의 1차적 개념의 구성으로 어떠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형성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에 대한 관계적 이해를 하는지, 그리고 영재아들이 스스로 형성한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를 어떻게 이용하여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문제 해결에 접근을 하는지, 또한 연구대상자들의 개념구성과 문제해결력에서의 스키마는 어떻게 변형을 이루어 나가는지를 심도 있게 조사하였다. 그 결과 분수의 덧셈에서 분수의 곱셈으로 연결될 때,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와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때 수학의 1차적 개념끼리의 연결과 정확한 1차적 개념에 대한 인지로 인해서 만들어지는 스키마와 변형된 스키마의 형성이 분수의 덧셈과 곱셈의 창의적 문제 해결에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연구 (A Study on Alternative Concepts of Pre-Elementary Teachers on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 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6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대안 개념에 대한 연구로 2021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P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 원인을 설명하는데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22명(36%)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38명(64%)의 학생들이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지구의 자전축의 경사가 어떻게 계절변화를 일으키는데 관련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16명(27%)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44명(73%)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와 계절변화와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초등예비교사 60명 중에서 12명(20%)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48명(80%)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이 대안개념의 종합적인 유형을 살펴보면 계절변화의 원인을 전체적으로 과학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유형으로 분류되는 aS-bS-cS 유형은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8명(13%)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52명(87%)는 계절변화를 설명하는데 모두 하나 이상의 대안 개념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개념, 자전축의 경사와 계절변화,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른 계절변화를 설명할 때 다양한 대안개념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학문과 학자가 요구하는 초등학교 수준의 물리분야 기본개념과 교과와 교사가 인지하고 표현하는 기본개념의 일치도 연구 (The Differences between Physicists' Expectations and Teachers' Representations about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s)

  • 권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35-55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physicists' expectations and teachers' representations about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material subjects analyzed were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texts using at the department of physics in many universities.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extracted from the texts were to be fundamental and basic. Also, they were restricted to the domain of dynamics. And besides, the human subjects were physicists, professors and students majoring physics of the graduate school, researchers of institutes or laboratorie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scholars and teachers have the different opinions.

  • PDF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개념조사 (Primary Students' Conceptions on Atmospheric Pressure)

  • 채동현;백은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9-249
    • /
    • 1997
  • Primary students' conceptions o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its related concepts were investigated. Samples consisted of 41 5th grade and 43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Two types of research methods were used: 1) the open-ended written questionnare;2) paper-pencil test. Naive theories o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its related concepts were numerous. For example, 80% students thought that as we go higher into the atmosphere, the atmospheric pressure becomes greater. Also, 50% students thought that the hot air had greater the atmospheric pressure than the cold air. This study was also discussed the teaching strategies to overcome these naive theories o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its related concepts.

  • PDF

분수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The Inform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s of Fraction)

  • 홍은숙;강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78
    • /
    • 2008
  • 분수의 개념에 대해 아직 배우지 않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비형식적 지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러한 비형식적 지식이 분수 개념 지도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등분할, 동치분수, 단위 분수의 크기 비교에 대한 면담 문항을 제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분수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은 분수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비형식적 지식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며,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는 것과 둘째, 분수의 기초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 중에는 올바른 지도를 통하지 않을 경우 오개념을 유도할 수 있는 것도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셋째, 분수의 개념에 대한 확고한 이해를 위해 학생들의 다양한 비형식적 지식을 분수 개념 지도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부 공립 국민학교 학생과 사립 국민학교 학생의 자아개념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lf -Concepts of the Public and the Private Primary School Students)

  • 한혜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8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ifference in the self-concepts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6 to 20 in 1994.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5th graded primary school students, total 193, from the public (94 students) and private (99 students) schools located in Chong Ju city.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is SDQ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 The SDQ is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designed to measure seven aspects self-concept hypothesized in Shavelson's hierarchical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2-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Between the public students and the private stud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concept. 2. 2-way ANOVA using sex (male vs. female) and type of school (public vs. private) were performed. The boys had substantially higher self-concepts in physical ability and the nonacademic self concept. The girls tended to have higher self-concepts for the academic factors (except for Mathematies). 3. 2-way ANOVA using social stratification (upper vs. lower) and type of school (public vs. private) were performed. The upper classes tended to have higher self-concept for the academic factors. The social stratification and sample interactions wer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 PDF

대학생의 부모됨 동기와 부모역할개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tivations for Parenthood and Parental Role Concepts in Korean College Students -)

  • 유안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41-155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youth's motivations for parenthood and concepts of parental role and to examine closely the relationship with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age, sex, religious orientation, growth region, father's occupational level, parental education degree). the subjects are 465 students of the three universities in National Capital region. The data are collected by questionnair methods and analyzed by t-test, F-test, fact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tivations for parenthood a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These are acquisition of social status factor, continuation of self factor, achevement and creativity factor, tradition factor, primary group ties factor. The korean youth think the most of achievement and creativity factor among five motivation factors. 2) The korean students have somewhat stereo-typed concepts of parental role and place the stress on training the behaviors of the child an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3)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o have relationship with the motivations for parenthood are age, sex, growth region and father and mother's educational degrees. And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concepts of parental role are sex, father's occupational level. 4)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traditional role concepts of a father and motivation of acquisition of social status factor and tradition factor. And traditional role concepts of a mother are related with motivations of acquisition of social status factor and primary group ties factor among the motivations for parenth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