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검색결과 2,201건 처리시간 0.033초

컴퓨터보조수업(CAI)이 수학교과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미분ㆍ적분" 단원을 중심으로-

  • 장진원;박달원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01-115
    • /
    • 2000
  • Development of new and highly efficient computer technologies are providing schools and homes with faster and multi-functioning computers, and text-oriented education softwares are now being rapidly replaced by multimedia CAI. There are also increasing needs for computer-literate teachers and more effective CAI material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ffective ways to use computers as teaching aids in mathematics classrooms and how computers affect the students' achievement, interes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Theoretical reviews on learning theories of CAI and multimedia were made before designing teaching plans for mathematics classrooms and the plans were applied to classroo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also indicates that CAI increases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to a certain extent. Although using computers in classrooms are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teaching than text-oriented lectures, the number of computers in schools is limited and all the students can not take advantage of individualized drill and practice programs or tutorial programs. One way of various solutions to this problem is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middle or large sized classes and providing teachers with easy-to-carry notebook computers. And also mathematics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train themselves in developing and using CAI materials.

  • PDF

한국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of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 권오남;김아미;조형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81-300
    • /
    • 2012
  •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by analyzing it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We analyzed data set of the number of faculty and students, curricula, textbooks and instructional methods among 23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The data reveals that the curricula of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has shown that more content knowledge subjects are taught than pedagogy knowledge subjec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is increasing emphasis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the curricula of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deal with various aspec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hat matters is whether the system works for developing a sound and deep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in future mathematics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point to the importa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o the essential components that can promote further understanding of effective teaching for preparing future teachers in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s.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수학교사의 확률과 통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 김원경;문소영;변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4호
    • /
    • pp.381-406
    • /
    • 2006
  • This work aims to investigat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is aim,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ilished as follows. (1) How is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on the mai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2) What is mathematics teachers' belief o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Survey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answer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 7mathematics teachers who were answered to questionnaire. Among them, 3 volunteers were chosen by provinces for in-depth interview.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re as follows. First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have much of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newly added and changed contents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ly, mathematics teachers do not change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Thirdly, many teachers think that the use of technology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s are required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But, they stick on their own way. Research findings in mathematics teachers' belief are as follows. Firstly, many mathematics teachers view the nature of statistics as a branch of the applied mathematics and put the value of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on the practical usefulness, Secon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understanding concepts and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are the best method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Thirdly, many mathematics teachers think that high school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should cause motivations and interests in order not to give up studying probability and statistics. It is expected that the above findings can be used to change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o improve teachers training program.

  • PDF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cdot$학습보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 (The Case Study of Using Technology in Educat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Developing Materials Assisting Teaching-Learning for 7th-9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4호
    • /
    • pp.337-35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학수업에의 공학적 도구 활용을 논의의 주제로 설정하고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관찰을 통해 사례로 선정된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7${\~}$9단계 수학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수업활동을 시행하였다. NCTM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제안을 배경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명제를 개념적 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연구의 방향과 자료분석의 토대로 삼았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서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의 초기에 설정된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교현장의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공학적 도구 활용교수${\cdot}$학습 보조자료를(단계별 수학디자인 산출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 정수연;강윤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07-428
    • /
    • 2013
  •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높이.너비 측정하기 체험수학 활동을 통한 삼각함수 지도방안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Trigonometric Functions through Experimental Mathematics measuring height and width of buildings)

  • 김기원;김미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785-80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10-나 삼각함수 단원에서 구체적 조작물과 실험을 이용한 건물의 높이 너비를 측정하는 체험수학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수학수업에 흥미를 갖고 수학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YOO, Sang Eun;SON, Hong C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5-209
    • /
    • 2015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meaning of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Jigsaw models. Through related literature, properties of the tasks of the expert sheets in mathematics are examined. Then the advantages of the application of Jigsaw in mathematic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alizing mathematical connections and promoting positive affective outcomes of Korean students in mathematics.

학생들이 증명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Student's difficul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roof)

  • 김창일;이춘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3-1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도형의 성질 단원의 증명학습을 세 단계로 나누어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이 증명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학생들은 증명학습에서 증명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 명제의 참을 판단하는 정도의 간단한 추론도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시된 증명을 읽고 그것이 증명하려는 명제의 가정과 결론을 파악하지 못한다. 이는 학생들이 명제의 가정과 결론의 의미와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비롯된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명제의 가정과 결론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지도에 좀 더 역점을 두는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