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13.06.22
  • Accepted : 2013.09.11
  • Published : 201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odel and suggest efficient method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bilities in mathematic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analyzed the relation between them. As a result, we found that participants had a disposition of being dependent and highly participating, so we made an effort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an make the students active and highly involved in.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model to Engineering Mathematics class for one semester, we conducted surve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is model is very helpful for Engineering students to utilize a self-directed learning by diagnosing and adjusting their learning process in Meta-cognitive way. Also, it is confirmed that this model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in which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learning.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낙원 (1991). 교사의 지시적 수업. 교육월보, 10(2), (pp. 94-97).
  2. 권낙원.김동엽 (2009).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서울: 문음사.
  3. 김광환.김병학.김경석.박은하 (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pp. 255-277).
  4. 김영희.허민 (2006).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pp. 523-535).
  5. 박경숙.이혜선 (1976). 학업에 대한 자아개념.태도.학습습관검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31, (pp. 89-99).
  6. 박소현 (2005). 수학 학습양식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백희수 (2009). 수학학습양식 구성요인 탐색과 수학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심재동.하준홍.이경희.천창범 (2005).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9(4), (pp. 633-647).
  9. 임창재 (1984). 교수효과 제고를 위한 전문대학생의 학습양식분석. 배화여자대학 배화논총.
  10. 임창재 (1994). 학습양식을 형성하는 가정환경의 과정변인 탐색.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전성연 외 8 (2007). 현대 교수학습의 이해. 서울: 학지사.
  12. 정수연.송영무 (2011). 대학 공업수학 학습자료 개발 및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2), (pp361-379).
  13. 표용수.조성진.정진문.심효섭.박동준.차지환 (2007). 수학 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법 개선 및 교재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pp. 483-497).
  14. 표용수.조성진.정진문.박진한 (2009). 교양수학 교과목에 대한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기초미적분학교과목을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3), (pp. 823-848).
  15. 표용수 (2010).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4(3), (pp. 525-541).
  16. 표용수.박준식 (2011).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 연구, 21(1), (pp. 87-103).
  17. 한국교육개발원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III)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RM 92-05-02.
  18. 홍대기.조태경.박병수 (2008). 상명대학교 공과대학 수학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9(5), (pp. 1479-1486). https://doi.org/10.5762/KAIS.2008.9.5.1479
  19. Borich, G. D. (1996). Effective teaching method. NJ: Prentice-Hall.
  20. Dunn, R. (1989), Survey of Research on Learning Styles. Educational Leadership, 47, (pp. 50-58).
  21. Ferrell, B. G. (1983). A factor analytic comparison off our learning styles instr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1), (pp. 33-39). https://doi.org/10.1037/0022-0663.75.1.33
  22. Grasha, A., & Riechmann, S. (1975). Student Learning Styles Questionnaire. Cincinnati, OH: University of Cincinnati Faculty Resource Center.
  23. Hunt, D. (1984). Learning Styles and Inter-dependance of Practice and Theory. Phi Delta Kappan, 62(9), 647.
  24. Kolb, D.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s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 NJ: Prentice Hall.
  25. Messick, S. (1984). The Psychology of Educational Measure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1(3), (pp. 215-237). https://doi.org/10.1111/j.1745-3984.1984.tb01030.x
  26. Rayner, S. & Riding, R. (1997). Towards a categorization of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style. Education Psychology, 17, (pp. 5-28). https://doi.org/10.1080/0144341970170101
  27. Riding, R. J. & Cheema, I. (1991). Cognitive styles: An overview and integration. Educational Psychology, 11(3), (pp. 193-215). https://doi.org/10.1080/0144341910110301
  28. Riechmann, S. W. & Grasha, A. F. (1974). A Rational approach to developing and assess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a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strument. The Journal of Psychology, 87, (pp. 213-223). https://doi.org/10.1080/00223980.1974.9915693
  29. Thelen, H. A.(1959). Classroom grouping of students. The School Review, 67(1), (pp. 60-78). https://doi.org/10.1086/442476

Cited by

  1.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53, pp.2, 2013,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2.263
  2. 동료 교수법과 교수자의 피드백이 수학 교과목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 vol.21, pp.1, 2013, https://doi.org/10.18108/jeer.2018.21.1.37
  3.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Teaching in Basic Science Education: Physics, Biological Sciences, Mathematics, and Chemistry vol.11, pp.14, 2013, https://doi.org/10.3390/su11143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