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9초

개인방송 시청자의 몰입 및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Immersion and Viewing Intention of Personal Broadcasting Viewers)

  • 홍무궁;권혁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95-211
    • /
    • 2019
  • 최근 인터넷 개인방송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이를 운영하는 대형 플랫폼 기업, 크리에이터, 그리고 콘텐츠 자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방송 산업의 양적성장과 더불어 관련 연구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서비스 이용자인 시청자 측면의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Hedonic-Motivaition System Adoption Model (HMSAM)을 적용하여 개인방송 이용자의 내재적 측면에서 시청동기를 도출하고 시청의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방송 콘텐츠의 유형을 실시간 콘텐츠와 비실시간 콘텐츠로 구분하여 시청동기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성을 제외한 이용자의 외재적, 내재적 동기가 시청의도 및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시청의도 및 몰입에 미치는 요인의 영향력이 다르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On-line-Based Education by COVID-19)

  • 차혜경;김한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59-469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중심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C시에 소재한 N대학 간호학과 14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Duncan test를 활용한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 자신감은 자기 주도 학습준비(r=.368, p<.001), 학습 동기의 하위영역인 내재적 동기(r=.232, p=.005), 외재적 동기(r=.344, p<.001), 과제 가치(r=.237, p=<.001), 학습통제신념(r=.262, p=<.001), 자기효능감(r=.443,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영향 요인으로는, 4학년(β=0.413, p<.001), 학습 동기의 하위 영역 중 외재적 동기(β=0.307, p<.001), 자기효능감(β=0.316, p=.005)이었으며, 설명력은 35.8%였다(F=8.354,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증진을 위해서 간호대학생의 외재적 동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이는 핵심 기본 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온라인 중심의 간호교육 전략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ng Expressive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cting)

  • 이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67-178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연기전공대학생들의 수업을 통해 참여동기, 연기표현성, 심리적 행복감간의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서울,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연극, 연기전공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총 499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사전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73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IBM STATISTICS SPSS 22와 AMOS 22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기전공대학생의 수업 참여동기 중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연기표현성과 심리적 행복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기표현성 중 개성과 표현충동은 심리적 행복감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동작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 참여 여부에 따른 안전리더십, 안전분위기, 안전동기, 안전행동 차이 분석 (Differences in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Based on Participation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xemplary Laboratories in Safety Management)

  • 김경윤;원정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8-6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laboratory director,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of research workers based on whether they have participated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exemplary laboratories in safety management (CS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earch worker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SEL.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survey were participation and non-participation in the CSEL, whil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afety leadership of the laboratory director,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of research worke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SE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afety leadership, safety climate,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than the one that did not do so.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SEL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an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in a laboratory by improving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of research workers. Further, the extrinsic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for safety motivation, did not reflec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SEL and the one that did not. Thus, a reward system for research workers with excellent safety activities should be operated by research institutes sinc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trinsic safety motivation of individual research workers which can be strengthened by compensation.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measures such as providing research incentives to researchers participated in CSEL.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Self-Encouragemen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ntry Motivation and Teaching Competenc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이현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5-82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20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직선택동기(내재적, 외재적) 수준과 자기격려 수준에 따른 교직수행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따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이 높고, 자기격려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교직수행능력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그러나 외재적 교직선택동기 수준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 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7.64, p<.001). 이 때,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의 전체효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더해져 상당히 증가하였다. 셋째,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와 교직수행능력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z=4.24, p<.001). 즉, 외재적 교직선택동기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직접효과는 사라지고 자기격려를 매개함으로써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양성 직전교육과정에서부터 교직선택동기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과 생활지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자기격려가 긍정적 심리적 기제로 작용함으로써 개인의 부정적 심리적 특성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스마트 러닝 이용자의 학습 동기요인이 실용적 가치와 헤도닉 가치를 통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User' Learning Motivation Factors on Education Achievement through Practical Value and Hedonic Value)

  • 문정원;권두순;김성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3-83
    • /
    • 2021
  • The appearance of education is also rapidly changing in social changes represented by social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lso having a widespread effect on the education field. In the era of untact caused by Covid-19, education through smart learning is having a greater effect on students as well as adult learners more quickly and broadly. In addition, smart learning is not just limited to learning content, but is developing into personalized, convergence, and intellig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of ARCS motivation theory that can determine the learning motivation of smart learning users, and to empirically study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on education achievement through practical value and hedonic value. Specifically,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independent variables ARCS motivation factor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ffect learners' education achievement through the parameters of practical value and hedonic value.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presented that applied the main variables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hich are four elements of ARCS motivation theory, a specific and systematic motivational strategy to induce and maintain learners' motivation.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learners with experience using smart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tten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donic value. Second, relev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edonic value. Third, it was found that confidence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value and the hedonic value. Forth,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value and the hedonic value. Fifth, practical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 achievement. Sixth, hedonic valu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ducation achievemen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s using smart learning affects the education achievement of users through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 A variety of smart learning that combines advanced IT technologies such as AI and big data can contribute to improving learners' education achievement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a lot to social development.

미용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에 따른 학업지속의도 : 일반대학과 원격대학 비교 (Influence of Beauty Major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Sense of Belonging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Cyber Universities)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74-384
    • /
    • 2023
  • 20대를 대상으로 하였던 대학이 최근에는 운영방식, 설립목적, 교육대상이 다양화되었다. 대학의 수에 비해 급격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대학(과)은 신입생의 확보와 재학생의 중도탈락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2년제와 4년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일반대학 119명, 원격대학 113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SPSS.28를 이용해 분석한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대학은 전공선택동기는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소속감은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미쳤다. 또한, 소속감이 높아지면 외적동기는 학업지속의도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원격대학은 전공선택동기 중 내적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소속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있어 일반대학은 대학(과)의 소속감이 주요했으며 원격대학은 내적동기가 주요했다. 이러한 결과는 재학생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대학(과)의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amedic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Occupational Value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박대성;김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63-270
    • /
    • 2020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의 결과를 토대로 취업준비행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D광역시, J도 소재 3·4년제 대학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부터 8일까지 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은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미비한 9부을 제외한 341부를 SPSS ver. 12.0(Window)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취업준비행동에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직업가치관의 내재적 직업가치관, 외재적 직업가치관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성별 및 학년의 특성과 전공선택동기 및 직업가치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별 및 집단 상담과 정규 또는 비정규 교육과정에서 직업가치관 강좌의 개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얼리유통기업 종사자의 동기가 직무열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ivation on the Job Engage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Jewelry Distribution Company)

  • 이상기;이동해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133-144
    • /
    • 2024
  • 본 연구는 주얼리유통기업 종사자들의 동기와 직무열의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동기와 직무열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주얼리유통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2023년 10부터 11월까지 주얼리유통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242명의 응답자료를 SPSSWIN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얼리유통기업 종사자의 동기는 내재적 동기(즐김, 도전, 성취감)와 외재적 동기(인정, 보상, 승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직무열의는 활력, 헌신, 몰두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기와 직무열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취감과 즐김, 인정은 몰두에, 성취감과 도전은 헌신에, 성취감과 도전, 즐김, 인정은 활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직무열의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종사자의 직무열의(몰두, 헌신, 활력)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의 구성요인 중 헌신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관한 구조적 분석: 학습동기 매개효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the Perspective on Work of Young Workers with High School Diplomas: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 박근수;송병국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113-131
    • /
    • 2018
  • 이 연구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영향을 준 진로발달시기의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 요인별 영향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패널데이터(panel data)이고, 구체적으로는 7차년도(2011)의 원자료에서 추출한 취업자 3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은 그들의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자아인식 관련 변인의 사회성자아, 가정환경 관련 변인의 부 학력, 그리고 학습동기인 외재적 학습동기와 내재적 학습동기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재적 학습동기의 경우 향후 노동에 대해 동기와 가치 부여에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발달시기의 자아인식 관련 변인과 가정환경 관련 변인은 학습동기를 매개로 청년노동자의 노동관에 인과관계를 갖고, 영향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진로발달시기에 형성된 학습동기는 청년노동자들의 노동관 형성에 매우 의미 있고,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