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4초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 유상미;김형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3-200
    • /
    • 2021
  •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요인을 탐색하고 측정 항목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설문을 통해 7개의 요인과 26개의 예비 문항을 얻을 수 있었다.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문제해결 절차 면에서 문제 발견 능력, 아이디어 생성 능력, 아이디어 평가 능력, 아이디어 실행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해결 수행자간의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 해결 수행자의 창의적 효능감 요인이 탐색 되었다. 마지막으로 HTE 창의교육 모델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인으로 은유와 비유적 인지 사고 능력과 그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HTE 창의 교육 평가 모델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etacognition)

  • 신승윤;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95-11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한 메타인지 구성 요소별 영향력을 밝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방법으로서 메타인지적 접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광역시 소재 대학교 영재교육원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의 5학년 초등수학영재 40명으로 총 80명이다. 연구결과 초등수학영재 집단 안에서도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의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전체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 인지적 지식으로 나타났고,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 유창성과 독창성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지식이며, 융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메타인지적 구성요소는 메타인지적 자기조정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적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높일 수 있는 메타인지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과정과 수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아동의 과학 적성, 창의성,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cience Aptitude,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김혜순;강기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32-40
    • /
    • 2007
  • The scientific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has been greatly emphasized in recent years, because it has been regarded as an example of highly developed reasoning and thinking skill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cientific aptitude,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100 5th graders residing in Seoul and a small city in Choongnam.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by correlation using spss program packag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by their respective levels of science aptitude. Secondly, the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children by their levels of creativity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rd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reativity and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children examined;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science aptitude and scientific-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between science aptitude and creativity i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 PDF

공과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Effects of Teamwork Competence on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 배성아;옥승용;노수림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32-40
    • /
    • 2019
  •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s of teamwork competence on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for the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a regression-based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a simple mediation model in which teamwork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treated a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and creative personality was included as a mediation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eamwork competence has direct effect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well as indirect effect through the creative persona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problem solving ability can be improved directly by improving the teamwork competence, and moreover, it can be further improved indirectly or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by improving the creative personality. Thus, in order to develop excellent problem solv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form team members in a balanced way between teamwork competence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team-based learning.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과 인지 전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286-294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terms of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was measured by 4 variables; appropriateness, scientific ability, concreteness, and originality. Cognitive strategies were measured by 6 variables; surface(rehearsal), deep(elaboration and organiz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ng). The KEDI Creative Problems Solving Test in Science(Cho et al., 1997) and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Pintrich & DeGroot, 1990) were administered to 72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finding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and cognitive strategies. The surface cognitive strategy (rehearsal) positively predicted the total score, the scientific ability's score, the concrete score, and the original score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science. The deep cognitive strategy(organization) positively predicted the appropriate score and the metacognitive strategy(planning) positively predicted the original score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 PDF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s on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Seung-Ju, Hong;Seong-Won, Kim;Youngju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227-23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중학생으로 대상으로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사도구는 이화선, 표정민, 최인수(2014)의 CPS 이론을 토대로 창의적 사고유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인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파일 검사(CPSPI: Creative Problem Solving Profile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CPSPI는 기존 검사들의 한계를 보완하여 인지적 선호도와 인지적 능력을 평가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타인과 공유하고 설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디자인 씽킹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발견 및 분석, 아이디어 생성, 실행계획, 실행, 설득 및 소통 영역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인공지능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디자인 씽킹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 진영훈;손정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703-718
    • /
    • 2011
  • 팀기반학습은 짜임새 있는 팀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의사결정능력, 조정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영재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래서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시켰을 때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향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남 산청군의 S 초등학교 4,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3명(남 3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0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형태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적은 학생 수로 인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비모수통계처리한 결과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유의미한 향상효과가 있었다. 특히 확산적 사고, 비판적 논리적 사고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이처럼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필요로 하는 영재학급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Flow, and Mathematic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박혜진;권혁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05-2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규명된 메타인지와 몰입(flow)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일반아 196명을 대상으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MCPSAT)를 실시하고, 메타인지 검사와 몰입 검사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상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세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메타인지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타인지는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몰입이라는 매개변인을 통해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메타인지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측정변수 중에서 유창성과 독창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에 융통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메타인지가 융통성에 주는 직접적 영향보다는 몰입을 매개로한 간접효과가 훨씬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높은 메타인지 능력은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몰입도를 높여주게 되고, 이러한 몰입상태에서의 문제해결은 학생들의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보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의 (Cognitive Components Defini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 김종혜;정회강;김한성;김현철;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2
    • /
    • 2008
  • 학교의 교과 교육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 교육은 중요하다. 특히 정보 교육은 일반적인 문제해결능력 뿐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한 문제해결능력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를 정의하고자 하였다. 정보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는 문제해결능력과 창의력의 구성요소를 교차한 결과를 이용하고,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문제 이해 및 분석'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 민감성, 재구성력이 선정되었고, '문제 해결 방안 탐색'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이 선정되었다. '문제 해결 방안 설계' 단계와 '구현'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에 적합한 창의력 요소는 융통성, 정교성이 선정되었다.

  • PDF

학교내 무한상상실을 활용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 손경옥;이형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55-6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For research, we secured 18 perio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with 5 categori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integrated these activities into an elementary maker education program in school maker space.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is maker education program to assess the changing in participa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maker education program meaningfully impro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interview with the students, we could know that this program made the students have self-confidence and gave them favorable im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