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ifted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m-Based Learning

팀기반학습이 영재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7.25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eam-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gifted education, because that improve decision making, coordin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shapely team activity. So, when a program that founded on Team-Based Learning applied to gifted students, investigated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ed programs consisted of total 10 times and were conducted the lesson for 13student (male 3, female 10) of 4, 5th grade gifted students class in S elementary school, Sancheong-gun. The improved eff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elected as the self-checking tool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ue to a small number of students, nonparametric test has done with the results of before and after, it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s in significance level of 5%.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eld of divergent thinking, critical logical thinking. Therefore, the programs based on Team-Based Learning are effective for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they will be used widely in the classroom to requir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of gifted students.

팀기반학습은 짜임새 있는 팀활동을 통해 구성원들의 의사결정능력, 조정능력, 협동심,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영재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래서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영재학생들에게 적용시켰을 때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향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경남 산청군의 S 초등학교 4,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3명(남 3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10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형태의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적은 학생 수로 인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비모수통계처리한 결과 유의수준 5% 이내에서 유의미한 향상효과가 있었다. 특히 확산적 사고, 비판적 논리적 사고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이처럼 팀기반학습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이므로,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필요로 하는 영재학급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주).
  2. 김미숙 (2005). 중학생 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교육심리연구, 19(2), 477-504.
  3. 김민주 (2010).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4. 박은숙 (2010). 팀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의 대학수업에서의 적용. 기독교교육정보, 27, 171-199.
  5. 설단희 (2010). 수학영재의 자기보고식 행동특성검사 점수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6. 신재필 (2003). STAD 협동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7. 심미자 (2009). 팀기반학습 전략. 공학교육연구, 16(3), 57-60.
  8.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9. 이유미 (2008). 학습양식에 따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창의적문제해결력의 차이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0. 조형정, 이영민 (2008).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6(2), 27-42.
  11. 정은영 (2008). Squeak Etoys 기반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정한호 (2011). 대학수준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선행변인과 팀 성과. 교육공학연구, 27(1), 37-73.
  13. 포항공대신문 2004. 11. 24일자 특집기사: 거대학과학의 과학사적 의미.
  14. 한국교육개발원 (2003). 수탁연구 RM 2004-4 교육청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Fink, L. D. (2004). Beyond small groups: Harnessing the extraordinary power of learning teams. In L. K. Michaelsen, A. B. Knight, & L. D. Fink (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pp. 3-26).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LLC.
  16. Kurtzberg, T. R. (2005). Feeling creative, being creative: An empirical study of diversity and creativity in team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285-294.
  17. Michaelsen, L. K. (2004). Team-Based Learning in large classes. In L. K. Michaelsen, A. ht Knight, & L. D. Fink (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pp. 153-168). Sterling, VA: Stylus.
  18. Michaelsen, L. K., Knight, A. B., & Fink, L. D. (2009). 팀기반학습 [이영민, 전도근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19. Paulus, P. B. (2000). Groups, teams, and creativity: The creative potential of idea-generating group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9(2), 237-262. https://doi.org/10.1111/1464-0597.0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