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6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developed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This program was totally consisted 9 lessen. there was 6 part in this program. It contained select the subject and small grouping (step 1-2), planing inquiry (step 3), doing inquiry (step 4-6), making a report (step 7), announcing (step 8), evaluation (step 9).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20 participants was selected. These students were attended at a scientific gifted class (3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lsan. First, metacognition test and science process skills test was used to find the effect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WIN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a positive effects on metacognition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t=3.371, p=.001). Second,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a positive effects on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t=3.104, p=.021).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was verified to improve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It will be contribute on the curriculum construction of the gifted school or gifted class.

본 연구는 SGIM(Small Group Inquiry Method: 소집단 탐구기법)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총 9차시(6주간)로 구성하였으며, 탐구절차에 따라 계획단계(3차시), 탐구수행(4차시), 결과발표(2차시) 등으로 운영하였다.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소재 M초등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초등 3학년) 2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결과 분석은 t검증과 ANOVA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t=3.371, p=.003)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t=2.371, p=.028)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능력 신장과 메타인지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초등학교의 지역영재학급이나 공동영재학급에서 운영할 수 있는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으로써 지구과학 영역의 수업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과학교육, 14(3), 251-264.
  2. 김순식 (2010).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 탐구수업이 영재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2), 37-63.
  3. 김영채 (2004a).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4. 김은진 (2007). 과학영재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평가. 경기도: 한국학술정보(주).
  5. 박윤희, 이하룡, 문성배 (2010). IIM을 적용한 SGIML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및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2), 148-157.
  6. 박인숙 (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7. 박종호, 김재영, 배진호 (2001). 자유탐구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0(2), 271-280.
  8. 신명렬, 이용섭 (2011a). I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6.
  9. 신명렬, 이용섭 (2011b).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4(1), 20-31.
  10.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1.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 32(4), 267-275.
  12. 유민아 (2004). 조사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IIM 프로그램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13. 이용섭 (2009). 초등예비교사의 자유탐구 방법에 대한 선호도 및 실행결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40-449.
  14. 이용섭, 이건의 (2011). 과학과의 SGIM 적용 수업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43-56.
  15. 이형철, 문주영, 배진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협동 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한 효과. 초등과학교육, 27(4), 446-454.
  16. 임수진 (2009). 자유탐구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탐구 능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장진아, 전영석 (2010). 초등학생을 위한 자유탐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학생의 과학탐구 기능 및 지속적 피드백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9(2), 207-218.
  18. 전영석, 황현정 (2010). 소집단 자유탐구에서 나타나는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분석. 한국초등교육, 21(2), 227-246.
  19. 주국영, 최성봉 (2008). 영재교육을 위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합습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9(6), 474-486.
  20. Alberto, C. (2005). Contemporary nativism, scientific texture, and the moral limits of free inquiry. Philosophy of Science, 72, 1220-1231. https://doi.org/10.1086/508967
  21. Bailey, B., & Unwin, L. (2008). Fostering "habits of reflection, independent study and free inquiry": An analysis of the short-lived phenomenon of general/liberal studies in english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J785971).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60(1), 61-74. https://doi.org/10.1080/13636820701828861
  22. Keller, J. C. (2005). Fighiting for free-inquiry, limited role for religion in science. Science & Theology News, 5(8), 8.
  23. Koray, O., Presley, A., Koksal, M. S., & Ozdemir, M. (2008). Enhancing problem-solving skill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EJ832123). Asia-Pacific Forum o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9(2), 18.
  24. Loyens, S. M. M., Magda, J., & Rikers, R. M. J. P. (2008). Self-directed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its relationships with self-regulated learning (EJ817571).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0(4), 411-427. https://doi.org/10.1007/s10648-008-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