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선미(2010). 초등학생의 그룹 창의성 증진을 위한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슐로모샤란과 예일샤란의 '집단탐구 모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강인애.정은실(2010).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교육방법연구, 22(3), 67-95. https://doi.org/10.17927/TKJEMS.2010.22.3.67
- 곽병선(2001). 미래 사회와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 19(1), 1-13.
- 김보경(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49-71.
- 김청자(2011).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 목표동기 및 가정환경 간의 관계구조 분석. 청소년시설환경, 9(4), 97-108.
- 김혜숙(2009).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성향, 과제관련지식,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환경 변인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3(1), 15-34.
- 문선영(2016). 집단 창의성 기반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사고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인숙(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송인섭.김혜숙(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3, 93-117.
- 안중민(2016). 창의성이 요구되는 문제해결과 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경재.한윤경.하주현(2011). KEDI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4), 217-247.
- 유지원.류다현(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 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7(2), 153-178.
- 이경화.김은경.유경훈(2013). 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동기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3(1), 125-139.
- 이석재(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과제보고서.
- 이종연 외(2007).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reative Problem Solving) 기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의 효과성 분석. 교육공학연구, 23(2), 105-133.
- 정명화.신경숙(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3), 287-301.
- 최민지.김선미.김재경(2016). 예술기반 팀 프로젝트가 팀워크 형성과 신뢰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403-430.
- 최석봉(2012). 셀프리더십, 창의적 인성, 혁신행동 및 학업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대학조직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1(4), 611-638.
- 최윤미(2011).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연구재단보고서.
-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수업 혁신 전략 12가지. KICE 연구.정책브리프.
- 한순미 외(2005). 창의성. 학지사.
- 한지영.방재현(2011).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 구성요소의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8-37.
- 한지영.방재현(2015).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8(2), 43-51.
- 황순희(2017).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20(2), 39-49.
- 황지영(2018). 팀 프로젝트 기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만족, 팀 몰입 효과 검증.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hn J.(2003). Personality of learners and group collaboration developments in E-learning.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Chesapeake, AACE: 1455-1458.
- Chen, S., & Caropreso, E.(2004). How Does Personality Influence Collaborative Online Discussion?.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Chesapeake, AACE: 2844-2851.
- Davis, M. A.(2009).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creativity: a meta-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08(1), 25-38. https://doi.org/10.1016/j.obhdp.2008.04.001
- Davis, M. H.(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https://doi.org/10.1037/0022-3514.44.1.113
- Fredrick, T. A.(2008). Facilitating better teamwork: Analyzing the challenges and strategies of classroom-based collaboration. Business Communication Quarterly, 71(4), 439-455. https://doi.org/10.1177/1080569908325860
- Ge, X., & Land, S. M.(2004).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affolding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es using question prompts and peer intera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5-22. https://doi.org/10.1007/BF02504836
-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 Hughes, R. L., & Jones, S. K.(2011). Developing and assessing college student teamwork skills.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2011(149), 53-64. https://doi.org/10.1002/ir.380
- Iiskala et al.(2011). Socially shared metacognition of dyads of pupils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es. Learning and Instruction, 21(3), 379-393.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10.05.002
- Jonassen, D. H.(2000). Integrating problem solving into instructional design. In Reiser, R. A. & Dempsey, J.(Eds.). Trends and issu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 Lent, R. W., Schmit, J., & Schmit, L.(2006). Collective efficacy beliefs in student work teams: Relation to self-efficacy, cohens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1), 73-84. https://doi.org/10.1016/j.jvb.2005.04.001
- Lingemann, L. S.(1982). Assessing creativity from a diagnostic perspective: The creative attribute profi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 Martindale, C.(1989). Personality, Situation, and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Boston, MA: Springer. 233-242.
- OECD(2017).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2015%0Collaborative%20Problem%20Solving%20Framework%20.pdf
- Parnes, S. J.(1999). Programs and courses in creativity. In Encyclopedia of Creativity, 2, 456-477.
- Salas, E. et al.(1992). Toward an understanding of team performance and training. In R. W. Swezy & E. Salas(Eds.), Teams: Their Training and Performance. Norwood, NJ: Ablex. 3-29.
- Salas, E., Sims, D.E., & Burke, C.S.(2005). Is there a "Big Five" in teamwork?. Small group research, 36 (5), 555-599. https://doi.org/10.1177/1046496405277134
- Surowieki, J.(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New York, NY, US: Doubleday & Co.
- Wong, S. S. (2004). Distal and local group learning: Performance trade-offs and tensions. Organization Science, 15(6), 645-656. https://doi.org/10.1287/orsc.1040.0080
- Yeh, Y.-C.(2004).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three ecological systems on R&D employees technological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1), 11-25.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1601_2
Cited by
- 일상적 창의성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공학계열 대학생의 팀워크역량과 자기주도학습력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vol.23, pp.6,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