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수원은 도청소재지로서, 서울의 인접도시로서, 수도권의 주요도시로서 다양한 가치를 가지고 존재하고 있다. 이 땅의 어느 곳에나 먼 옛날부터 여러가지 사연들을 가지고 사람들이 살아왔겠지만, 수원은 200년전 어떠한 사연으로 여기에 사람들이 모여 살게 되었고, 도시의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오늘까지 어떻게 지내왔는가 하는 것이 다른 도시보다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는 드문 도시로서 그 탄생과 성장의 역사를 후손들이 들추어 볼 수 있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왔다. 더구나 1997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문화유산으로 수원의 화성이 등록되면서 다시 성곽이라는 물리적 요소와 200년이라는 세월 속에 이루어진 공간과 역사는 이 도시의 존재가치와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진지하게 모색하도록 하였다. 조선조말에 접어들면서 이 땅에서 우리 나름대로 근대의 싹이 돋아 나오던 시절, 새로운 바람이 지식인들과 통치자들 사이에 일어, 수원에 계획도시를 건설하였다. 새로운 사회와 체제를 시도하고 이에 대한 도전을 찬찬히 진행하면서 이 도시의 형상을 갖추어 갔다. 중앙으로부터 시작된 개혁과 변화는 큰 힘을 얻지 못하였고 정조 이후의 수원은 서울과 지방을 잇는 통과도시로서만 역할을 하였다. 근대화하는 과정에서는 농업기술개발의 중심지로서, 산업화 과정에서는 섬유ㆍ전자산업의 본산으로서 도시의 세를 넓혀 나갔다. 최근 들어 우리들의 삶이 문화에 눈을 돌릴 정도로 성숙해져서 이 고장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고 많은 사람들이 찾아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일상생활과 상관없던 시민들이 생각하고, 새로 맞는 또한 세기에는 화성과 맞먹는 이 시대의 수원다움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것이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과제일 것이다. 숱한 과제가 건축사들에게 주어져 있지만 언제나 힘겨운 것이었고 시원한 답을 만들지 못하였다. 그만큼 우리는 눈을 늦게 떴고, 그러는 사이에 도시는 풀어내기 어려운 상태로 변화되어 갔다. '건축사'의 기획 시리즈 수원편을 통하여 지나온 과거를 정리하고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고, 이제부터 우리가 해야 할 일들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