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bal communication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1초

호스피스에서의 음악치료 (Music Therapy in Hospice Care)

  • 문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0권2호
    • /
    • pp.67-73
    • /
    • 2007
  • 인간에게 있어서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은 인생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하지만 죽음을 앞둔 호스피스 환자들에게 이러한 목표의 달성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위협받는다. 여기에 음악치료는 호스피스 환자나 그 가족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필요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채워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창조적 예술 형태로서의 음악치료는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긴장 완화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여 남아있는 삶을 돌아보며 의미를 찾을 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악은 그 자체로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도구가 되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들을 연결시키고 공감하며 이해하도록 한다. 본 논문은 호스피스 처치에서 음악치료의 필요와 호스피스 분야에서 음악치료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 PDF

서비스 산업의 종업원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Communication, Customers' Positive Emotions and Quality of Life in Service Industry)

  • 진흔;김규배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6호
    • /
    • pp.85-96
    • /
    • 2018
  • Purpose - There are many antecedences and consequences of the positive emotions of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Chinese service companies improve not only the positive emotions of customers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through effectiv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Furthermore, we tried to analyze the moderating role of negative expectancy disconfirmation perceived by customers in thos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eight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we tested them empirically in this research. Four hypotheses were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positive emotion, trust and quality of life. The other four hypotheses were about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expectancy disconfirma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ur variables such as communication, positive emotion, trust and quality of life. A total of 356 samples who had visited the service companies in China were surveyed and 8 hypotheses were tested by empirical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verbal communica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employees in the service company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positive emotions of customers. Second, positive emo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n the customer side as well as the trust on the corporate side. Third, negative expectancy disconfirmation perceived by customers has nega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ositive verbal communication and customers' positive emotion, and it also has a negative moderating role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positive emotion and overall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can be such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managers and employees of service companies can induce positive emotion of customers through effective communication. Second, service companies should try to improve not only the corporate-side performance like trust but also the customer-side performance like quality of life. Third, it will be significant for them to lower the level of negative expectancy disconfirm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not only the positive emotions of customers but also the quality of customers' life.

CVE 디자인을 위한 3D 아바타의 동작 표현 연구 (3D Avatar Gesture Representation for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Design)

  • 이경원;장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22-132
    • /
    • 2005
  • CVE(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는 물리적으로 함께 모이지 못하는 사람들이 서로 의논하고, 공동으로 일할 수 있는 가상공간의 공유된 장(場)을 말한다. CVE에서 참여자들은 가상적으로 그들이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사람의 형상을 닮은 체현(體現), 즉 아바타를 통해 대표된다. 그러나 현재 가상환경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아바타들은 그 아바타의 행동과 사용자간에 일어나고 있는 대화 사이의 자연스러운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간의 대화에 있어서 교환되는 정보의 65% 이상이 비언어적 기호에 의해 전달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CVE 시스템의 아바타에서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바타 제스츄어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의 전달양식을 도출하고 사람과 사람간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신체언어들을 언어와의 관련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후 머리에서 발까지 신체부위별로 흔히 사용되는 동작과 그에 부합하는 언어표현들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방법으로 CVE에서 사용자들이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바타의 동작표현을 제안하고 있다.

  • PDF

부모의 리더십과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o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9-259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o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The sample included 202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5 and their mother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index of parental leadership, an index of parental verbal control, and an inventory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test,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child's age.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person-oriented control mod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nd imperative control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modes had nega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In particular, parents' communication skill, relationship skill, group activity skill, person-oriented control mode,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mod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가상 캐릭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구어 대화를 유도하는 대화형 에이전트 (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Using a Virtual Character to Induce Children's Verbal Communication)

  • 최지영;정기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96-1306
    • /
    • 2020
  • Childhood verbal communication impacts children's language skills and has a positive effect as partners use more vocabulary. But reduction in family time, caused by lowered age for private education and so on, has reduced the chance for children to speak with partners who have a proficient language skill. This vacancy was naturally occupied by the media, which has become one of the cornerstones of the growth of kids' contents. Kids contents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expand the breadth of services. But most contents still focus on unilateral visual information delivery yet, so there is a limit to satisfy the vacancy of conversation partne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n ECA(Embodied conversational agent) to induce children's spoken conversation using a virtual character frequently used in kids contents. This system is implemented by the voice bot and agent model produced using an IBM assistant and Unity. As a result of using ECA for 66 children of 5-9 years old, it showed meaningful results in terms of induction of verbal communica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새로운 길 #1 -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 - (The new paths of user interface #1 - The non-verbal communication for the interactive media -)

  • 류제성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49-58
    • /
    • 2000
  • 현재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는 모든 사용자들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여 사용하도록 유도, 강요하는 일반화된 형태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요구는 매우 다양하며 일반 환경과는 쉽게 부합될 수 없는 사용자 환경을 가지는 계층이 존재한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인간의 여러 행동 양식 중 입을 통한 '불기(blowing)'를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에 적용시키는 것인데, 이것은 세 가지의 형식으로 제안되었다. 첫 번째는 그림을 그리는 프로그램이고, 두 번째는 아케이드 형식의 게임이며, 세 번째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인터랙티브 북이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들이 향후,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기능론적 관점에서 본 애니메이션의 신체언어 연구 - 뮬란, 미녀와 야수, 알라딘, 신밧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Body Language in Animation as Functional Aspects -Focusing on Mulan, Beauty and the beast, Aladdin, Sinbad-)

  • 정미강;이미영;김성희;김재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55-64
    • /
    • 2007
  •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조하고 대체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 중 신체언어는 몸을 통한 의사소통 전반을 말한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시나리오 전달에 있어서 캐릭터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와 같은 신체언어 연출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애니메이션의 의사소통 구조는 일반적인 의사소통 구조와는 달리 이중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가지는데, 첫째는 화자 캐릭터와 청자 캐릭터 사이의 의사소통이고, 둘째는 영상과 관객 간의 의사소통으로 이는 첫 번째 의사소통 구조까지 모두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중적 구조에 기반하여 애니메이션의 의사소통 구조를 담화내적, 담화외적 구조로 나누고, 기능적 분류법을 이용하여 캐릭터의 신체언어를 적응, 상징, 설명, 조정, 감정표현 행위로 분류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 애니메이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설명행위는 화용론적 분류인 발화 행위론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각각의 신체언어를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되는 신체언어의 특징을 규명하고, 효과적인 시나리오 전달과 관객의 감정이입을 도울 수 있는 효율적인 신체언어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스트푸드점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ervice Providers's Nonverbal Communication on Brand Image,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 Focused on Fast Food Restaurants)

  • 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19-331
    • /
    • 2018
  • 본 연구는 패스트푸드점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의 패스트푸드점 이용고객 309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의 빈도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패스트푸드점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표정언어, 외모적언어, 의사언어, 공간적 행위의 4 구성요소로 확인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결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4 구성요소는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각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해 패스트푸드점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과 이론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원격로봇학습과 원격화상학습에 대한 아동 반응 비교 (Is a Robot better than Video for Initiating Remote Social Connections among Children?)

  • 김누리;한정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13-519
    • /
    • 2014
  •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is increasingly used in classrooms to introduce children to people from other countries and cultures in order to provide a wider learning experience. However, with traditional screen-based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research has shown that it is easy for students to miss non-verbal cues that play a key role in developing human relationship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interact differently when their interactions are mediated through screen-based video communication versus robot-mediated communication, we conducted a study with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comparing the use of both technologies to introduce classroom students with peer-aged individuals in America. Our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displayed more positive emotions during certain tasks and exhibited more interest and intimacy to remote participants in the context of robot-mediated communication than with video-mediated communication.

Flanders 언어상호작용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수학영재 수업에서의 교사 발언 사례 분석 (Analysis on Teacher's Discourse in Math Gif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Program)

  • 김미환;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85-415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 수업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살펴보면서 수업 중 교사와 학생의 발언 흐름과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히 일어나는 상황에서의 교사 발언 유형의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의 언어흐름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Flanders 언어상호작용분석 프로그램으로 수학영재지도의 현장 교육 경력이 많고 수학영재교육분야의 전문가 추천을 받은 한 명의 우수 교사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학급 수업에서의 경향과 다른 양태였으며, 수학적 의사소통의 수준이 높고 활발하게 일어나는 과정은 대부분 (질문)${\rightarrow}$(활동 및 사고 대기)${\rightarrow}$(넓은 답변)${\rightarrow}$(활동)의 언어 흐름 형태였으며, 수학적 의사소통을 가장 활발하게 하는 교사 발언의 유형은 비지시적 발언 중 '아이디어 수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영재학급에서의 효과적인 언어 상호작용의 흐름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