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efficacy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6초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 김영실;김연화;한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57-57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crea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their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he subjects were 269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the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Measurements consisted of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Park & You, 2000), self-efficacy(Lim, 1999), and teachers' role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Guliford, 1956).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Duncan's post-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1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teacher's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n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general background. Second, it appeared that teacher's creativity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meaningfully influenced the teacher's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eacher's curiosity, and self-efficacy on self-regulation affects teacher's role in improving children's immersion/ durability, flexibility and delicacy.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박남심;박보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3-160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Method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seven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50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reported their teaching efficacy, their interaction with preschoolers,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through teacher-child interaction. In other words,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teaching efficacy ha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preschoolers, which led to preschoolers showing a high level of school readin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ers' high teaching efficacy and high-quality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preschoolers to improve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by which teachers' teaching efficacy influences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보육교사의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 유능성, 그리고 가정연계 효능감이 부모-교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to Enlist Parental Involvement on Parent-Teacher Partnerships)

  • 김유정;박지혜;안선희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1-8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and the ways this influences their abilities to promot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s. 266 early child car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teacher partnerships,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efficacy in enlisting parental involvement were measured by means of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and selected elements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teacher partnershi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acher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type and quality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In conclusi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teacher partnerships seems heavily dependent upon the quality and personal abilities an beliefs of early child care teachers.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군집유형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소진 (Early Childhood Teacher Self-Efficacy and Burnout by Types of Perfectionism)

  • 손고은;김연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fectionism typ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the types of perfectionism.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9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Seoul, Gyeonggi-do, Daejeon, Se-jong, Kim-Cheon, and Hong-Sung, South Korea.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surveyed regarding perfectionism,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K-means cluster analyses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Cluster analyses with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s cluster variables resulted in three types of perfectionism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self-other directed perfectionism(33.0%)', 'other directed perfectionism(35.0%)' and 'non perfectionism(32.0%)'. Educators with self-other directed perfectionism reported higher teacher self-efficacy and lower teacher burnout than educators with other directed perfectionism or with non perfectionism. Conclusion/Implications: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fectionism may be a significant personality trait linked to quality of education and care in real education settings.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in middle school teacher)

  • 박진희;유평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67-4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중학교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F 검증을 하고,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 수준은 여교사, 평교사, 21년 이상 교사, 사립학교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간에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직헌신도보다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전체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41%). 결론은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소, 교직헌신도의 교육애 요소를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학교상황이 27%, 학교장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상호작용이 28%로 나타났다. 추후 교사들의 능력을 학교에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정책수립이 필요하다.

공학계열 예비 교사의 공학 태도와 공학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 박기문;이규녀;김소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7-103
    • /
    • 2013
  • 이 연구는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을 파악하고 그 차이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공학계열 예비 교사교육의 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의 공학 태도는 보통(3.00)이하,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3.00)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 학년은 공학 태도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특정한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공학계열 예비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공학적 특성인 실천 및 행동적 특성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예비 교사들이 그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한다면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은 졸업 시까지 점차적으로 향상 될 것이다. 또한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여성 또는 남성 예비 교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유아교사의 진포포부에 대한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교사효능감의 영향력 검증: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erifying the Impact of Department and Major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Career Aspir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1-52
    • /
    • 2024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포부에 대한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118명의 자료가 수집 및 분석되었으며,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학과 및 전공만족도는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일반적 만족도가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사효능감 및 그 하위변인인 일반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은 모두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교사효능감은 학과 및 전공만족도와 진로포부 사이를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교육에서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학과 및 전공만족도 향상과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한 대안적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Happiness from Childcare Teacher :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Result of Job Stres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김은숙;이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보건교사의 서번트 리더십, 학생의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과 변인 간의 관계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th about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 권상순;강경석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24-239
    • /
    • 2017
  • Purpose: Maintaining a lifelong health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erception of youth about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Methods: This study used surveys of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subjects were 1,286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in the data analysi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subjec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youth about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school level, establishment type, and grade.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youth about student's self-efficacy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 In addition, student's self-efficacy serves as a positive mediator to the effects of health teacher's servant leadership on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needs to implement the human resources and policy support for th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teache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health promotion of students in curriculum.

예비 과학교사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 김준희;임성민;이소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3-271
    • /
    • 2024
  • 학교교육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 교육 전공이 아닌 일반 교과교육 맥락의 예비교사교육에서 이에 대한 준비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조사하고 응답자 변인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을 대비하는 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이란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을 포함한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는 실천 능력에 대한 자기 믿음으로 정의되며, 이는 통합교수 효능감, 협력 효능감, 문제행동중재 효능감의 3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에서는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 for Inclusive Practices)'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과학교사 총 61명의 응답 자료를 얻었으며, 이 자료로부터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하위 요인별 분포와 응답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의 통합교육 실천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모든 하위 차원에서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통합교수 효능감과 협력 효능감이 높고 문제행동중재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예비 과학교사의 성별, 장애인 봉사 경험, 통합교육 경험, 특수교육학 과목 이수 정도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집단에 따른 차이의 일부 경향성은 보이지만 모든 하위 차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