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resilienc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원도심 활성화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서구 원도심의 지역 회복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ld Down-town Activation Indicator -Focusing on Improving Urban Resilience in the Old Down-town of Seo-gu, Incheon-)

  • 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61-569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진단하여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하게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천시 서구 원도심지역의 회복력향상을 위한 활성화 지표개발을 위해 도시재생의 범주에서 활용중인 회복력 유사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의견조사를 통해 지표의 적합성과 중요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도시회복력 향상을 위한 활성화지표는 인구의 안정성, 사회적 포용성, 산업의 다양성, 지역의 생산성, 환경적 지속성, 사회기반의 편의성 등 총 6개 구성영역으로 정립하였다. 도출된 60개의 예비지표를 기준으로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선정된 지표는 42개로 경제활동가능 인구의 확보, 생활형인프라 구축과 정주환경개선, 그리고 산업단지가 포함된 서구의 특성을 반영한 산업의 고도화 및 다양화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지표의 객관성을 보완하고 회복력 지수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정량적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지역의 쇠퇴진단에 주목하는 기존연구를 보완하며, 회복력의 개념을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현실적 대안을 제시한 점은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다.

적응순환계와 패나키의 적용을 통한 혁신도시의 리질리언스 분석 -울산 우정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Resilience of Innovation C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aptive Cycle and Panarchy - Focusing on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 조해송;김충호
    • 지역연구
    • /
    • 제40권3호
    • /
    • pp.109-126
    • /
    • 2024
  • 중앙정부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수도권 과밀화 및 국토의 난개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를 추진하였다. 공공기관의 지역 이전을 통해 건설된 10개의 혁신도시는 경제 활성화, 인구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으나, 아직까지 불확실성과 다양한 외부효과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혁신도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울산 우정혁신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자연적·사회적·경제적·제도적 차원의 도시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응순환계(Adaptive Cycle)와 패나키(Panarchy)를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적 환경은 각각 보존, 재구성, 성장의 적응적 순환 단계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한민국과 울산광역시, 울산 우정혁신도시 간의 상호작용과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울산 우정혁신도시는 중앙정부의 혁신도시 시즌2와 재정적 지원, 장현첨단산업단지 건설,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등의 기회를 지역 여건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and Regional Development Bank Profitability: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ANDAIYANI, Sri;HIDAYAT, Ariodillah;DJAMBAK, Syaipan;HAMIDI, Ichs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829-837
    • /
    • 2021
  •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Counter-Cyclical Buffer Policy (CCB) on regional development bank profitability in Sumatra, Indonesia. CCB requires banks to hold capital at times when credit is growing rapidly so that the buffer can be reduced if the financial cycle turns down or the economic and financial environment becomes substantially worse. This study employs time series data of regional development banks (RDBs) in Sumatra Island, Indonesia. The methodology applied in this study is a panel dynamic model with Generalized Methods of Moments (GMM).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capital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CB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DBs' profit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tivation and implementation of CCB lead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and cost of loans to companies but do not affect the profitability of RDBs. The value of a Non-Performing Loan (NPL) proved to have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bank profitability. The CCB policy aims to overcome the pro-cyclicality of credit growth and improve bank resilience through increased capital which is expected to reduce excessive credit growth as a source of systemic risk. This causes a lack of lending to the community so that the profits obtained by the bank decrease.

지역특성을 반영한 지진손실평가 (Earthquake Loss Estimation Inclu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김준형;홍윤수;유은종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311-320
    • /
    • 2023
  •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severity of damage is determined by natural factors such as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the epicenter distance, soil properties, and type of the structures in the affected area, as well as th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population,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d economic power of the community. This study evaluated the direct economic loss due to building damage and the community's recovery ability. Building damage was estimated using fragility functions due to the design earthquake by the seismic design code. The usage of the building was determined from the information in the building registrar. Direct economic loss was evaluated using the standard unit price and estimated building damage. The standard unit price was obtained from the Korean Real Estate Board. The community's recovery capacity was calculated using nine indicators selected from regional statistical data. After appropriate normalization and factor analysis, the recovery ability score was calculated through relative evaluation with neighboring cities.

Viral Metatranscriptomic Analysis to Reveal the Diversity of Viruses Infecting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in Korea

  • Hae-Jun Kim;Se-Ryung Choi;In-Sook Cho;Rae-Dong Je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115-124
    • /
    • 2024
  • Citrus cultivation plays a pivotal role,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global fruit production and dietary consumption. Accurate identification of viral pathogens is imperativ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lant viral disease in citrus crops. High-throughput sequencing serves as an alternative approach, enabling comprehensive pathogen identification on a large scale without requiring pre-existing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employed HTS to investigate viral pathogens infecting citrus in three different regions of South Korea: Jejudo (Jeju), Wando-gun (Wando), and Dangjin-si (Dangjin). The results unveiled diverse viruses and viroids that exhibited regional variations. Notably, alongside the identification of well-known citrus viruses such as satsuma dwarf virus, citrus tatter leaf virus, and citrus leaf blotch virus (CLBV), this study also uncovered several viruses and viroids previously unreported in Korean citru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majority of identified viruses exhibited the closest affilations with isolates from China or Japan. However, CLBV and citrus viroid-I-LSS displayed diverse phylogenetic positions, reflecting their regional origins. This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citrus virome diversity and regional dynamics through HTS, emphasizing its potential in unraveling intricate viral pathogens in agriculture. Consequently, it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disease management strategies, ensuring the resilience of the citrus industry.

Disaster Cooperation Strateg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Sendai Framework

  • CHOI, Junho;LEE, Dongkwan;CHOI, Choongik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6호
    • /
    • pp.509-515
    • /
    • 2020
  • TThe cooperation on disaster prevent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mostly focused on cooperation at the recovery stage, such as emergency relief supplies and equipment support.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future practical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disaster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inter-Korean cooperation, the Framework for Inter-Korean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was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The framework consists of understanding and sharing disaster risks, building back better, strengthening community resilience, and supporting regional disaster action plans for continuous action. Inter-Korean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requires sharing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n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and support social vulnerability to North Korean disasters. Above all, it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disaster action plans from a humanitarian perspective needs. A medium-to-long term resilience reinforcement plan that North Korea can resolve on its own is also needed. Since North Korea is also deeply interested in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it should b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Sendai Framework.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inter-Korean cooperation, a path for North Korea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Effect of Earthquake Disruptions of Freight Transportation in A Megacity: Case Study for The Los Angeles Area

  • Abadi, Afshin;Ioannou, Petros;Moore, James E. II;Bardet, Jean-Pierre;Park, Jiyoung;Cho, Sungb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110-147
    • /
    • 2022
  • Many megacities are exposed to natural hazards such as earthquakes, and when located in coastal regions, are also vulnerable to hurricanes and tsunamis. The physical infrastructur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have become so complicated that very few organizations can understand their response to extreme events such as earthquakes and can effectively mitigate subsequent economic downfalls. The technological advances made in recent years to support these complex systems have not grown as fast as the rapid demand on these systems burdened by population shift toward megacit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isks imposed on and recoveri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as the result of extreme events such as an earthquake. First, the physical damag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oss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 loss from disruptions to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is evaluated. Then, traffic flows are re-routed to reduce vehicles' delay due to earthquakes using a microscopic traffic flow simulator with an optimization model and macroscopic terminal simulator. Finally, the economic impact of the earthquake is estimated nationwide. Southern California is regarded as the region of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model and provide what and how to prepare innovative resilience policies of urban infrastructure for a natural disaster occurrence.

공간적 범위의 차이에 의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 적용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ult of Application of Designation Criteria for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Zone by the Spatial Range)

  • 이종휘;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67-573
    • /
    • 2020
  • 본 연구는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 기준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이 기본 범위인 읍면동 범위와 통계상 제공되는 공간적 범위의 최소 단위인 집계구 범위의 적용이 어떠한 차이의 결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적 범위의 차이에 의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의 기본 범위인 읍면동 단위의 공간적 범위가 집계구와 같은 보다 정확한 공간적 범위로 바뀌어야 한다. 둘째, 현재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이 현재 세 가지 부문의 다섯 가지 세부기준에서 보다 정밀하게 부문과 세부기준을 세워야 한다. 셋째, 집계구와 같은 일정하지 않은 공간적 범위보다 격자형식과 같은 일정한 공간적 범위의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지정 할 때 더욱 정확한 기준과 공간적 범위가 필요하다는 것이 예상되며, 향후 정밀한 공간적 범위를 선정하는 것과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지정기준에 대한 세부적인 수치들에 대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대구 게임산업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분석 (Analysing Management Crises and Resilience of the Game Industry in Daegu)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3-329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게임산업을 대상으로 그 기업들의 자체 평가에 기초하여 경영위기 특성과 회복력 수준 그리고 그 대안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말 자생적으로 태동한 대구 게임산업은 정부와 지원기관의 지원 하에 2000년대 후반까지 급격히 성장하였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모바일게임 시장의 포화상태 및 국내외 치열한 경쟁 상황에 대응하지 못한 기업이 속출하면서 침체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에 대해 일부 게임업체들은 제품 차별성 추구와 새로운 판로 개척을 위한 도전적 전략을 취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로 만든 반면, 위기 대응에 소극적이었던 기업들은 경영위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회복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구 게임업체들은 충격에 즉각적으로 대응(신속성)하고 타격받은 부분을 대체(대체성)하는 수준은 낮지만 내부적으로 충분한 자원을 동원(자원동원성)할 수 있는 수준은 높았다. 하지만 대구 게임산업이 과거에 비해 더욱 복잡한 다중 공간적 스케일의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회복력은 개별기업 차원의 노력을 넘어서 게임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을 통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ndustrial Crisis Area: Industrial Environment and Crisis Status in Gumi Region)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91-303
    • /
    • 2019
  • 본 연구는 구미지역을 둘러싼 산업 환경의 변화와 그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의 구미지역의 산업위기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전환, 모바일기기 및 디스플레이 업종을 비롯한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그리고 삼성과 LG그룹 등 중핵기업의 역외 이전과 같은 국제적 국가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환경 변화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지역 차원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하기 위해 자동차부품, 첨단의료기기 그리고 탄소소재 산업 등의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다각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구미지역은 여전히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모노컬쳐적이고 대기업 의존적인 산업구조에 지나치게 고착되어 있어 지역산업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다. 기업차원에서는 2010년대 들어 대기업의 역외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각종 환경 변화에 대한 대기업의 보호막이 축소되었다. 그 결과 영세한 중소기업들의 위기 요인들이 점차 국가적 국제적 스케일로 확대되고 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어 현재의 산업위기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미지역은 산업위기 극복에 있어서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의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차원에서 융 복합 기술에 기반한 혁신역량의 향상 및 사업다각화의 실현과 지역차원에서 기업과 산업의 자생적인 공진화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