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Industrial Crisis Area: Industrial Environment and Crisis Status in Gumi Region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실태

  • Jeon, Ji-Hy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Chul-Woo (Department of Geography,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전지혜 (경북대학교) ;
  •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지리학과)
  • Received : 2019.09.24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Gumi region and the status of the industrial crisis in the Gumi area amid such changes. The Gumi region is experiencing a more turbulent period than ever in the environment changes at the international, national and local levels, such as the transi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weakening of the competitiveness of key industries including mobile devices and displays, and the moving-out of core companies such as Samsung and LG Group. Accordingly, efforts have been made to diversify the industrial structure by fostering industry of automobile parts, high-tech medical devices and carbon materials to cope with and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at the regional level. However, the Gumi region is still locked in to the mono-cultural, large enterprise-dependent industrial structure centering on the mobile and display sectors, failing to overcome the regional industrial crisis and stagnating the overall local economy. The relocation of large companies began to increase in the 2010s, reducing the protection of large corporations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at the corporate level. As a result, the crisis factor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gradually expanding to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ale and working more complexly, which is beyond the level they can afford.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urrent industrial crisis will deep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to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overcoming the industrial crisis in Gumi reg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novation capabilities and diversify businesses based on convergence and complex technologies at the enterprise level, and to be selected as a special crisis response area aimed at creating an innovative ecosystem through autonomous resonance of companies and industries at the local level.

본 연구는 구미지역을 둘러싼 산업 환경의 변화와 그러한 환경 변화 속에서의 구미지역의 산업위기 실태를 분석하였다. 구미지역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전환, 모바일기기 및 디스플레이 업종을 비롯한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 그리고 삼성과 LG그룹 등 중핵기업의 역외 이전과 같은 국제적 국가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환경 변화 속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한 격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지역 차원에서는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하기 위해 자동차부품, 첨단의료기기 그리고 탄소소재 산업 등의 육성을 통해 산업구조를 다각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구미지역은 여전히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을 중심으로 하는 모노컬쳐적이고 대기업 의존적인 산업구조에 지나치게 고착되어 있어 지역산업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지역경제가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다. 기업차원에서는 2010년대 들어 대기업의 역외 이전이 활발해지면서 각종 환경 변화에 대한 대기업의 보호막이 축소되었다. 그 결과 영세한 중소기업들의 위기 요인들이 점차 국가적 국제적 스케일로 확대되고 보다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면서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고 있어 현재의 산업위기가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미지역은 산업위기 극복에 있어서 환경 변화에 대응 적응할 수 있는 회복력의 강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차원에서 융 복합 기술에 기반한 혁신역량의 향상 및 사업다각화의 실현과 지역차원에서 기업과 산업의 자생적인 공진화를 통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는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제도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미시, 2018, 2018년 제조업체 조사결과.
  2. 나중규.임규채, 2017, "포항.구미를 '산업위기대응특별 지역'으로," 대경 CEO BRIEFING 510, pp.1-12.
  3. 대구경북연구원, 2017, 구미 국가산업단지 新구조고도화 추진방향.
  4. 산업연구원, 2017, 제4차 산업혁명이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주요 과제.
  5. 오정숙, 2017,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및 업체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 29(17), pp.1-8.
  6. 우정석.이승철, 2014, "거제시 조선산업에 대한 지역경제의 잠김효과," 국토지리학회지 52(4), pp.567-580.
  7. 이정노.전호승, 2014, "디스플레이산업 현황 및 R&D 추진 전략,"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지 15(6), pp. 18-22.
  8. 이종호.당의증.이철우, 2018, "구미 IT산업 클러스터의 혁신생태계와 지역산업정책 방향," 대한지리학회지 52(6), pp.863-884.
  9. 이철우.전지혜, 2018, "구미IT산업클러스터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평가: 기업 차원의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4), pp.604-619.
  10. 전지혜.이철우, 2018,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진화 과정의 특성과 그 동인,"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4), pp.303-320. https://doi.org/10.23841/egsk.2018.21.4.303
  11. 정도채, 2011, 분공장형 생산집적지의 고착효과 극복을 통한 진화: 구미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한국산업단지공단,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산업단지의 미래.
  13. 한국산업단지공단, 2018, 산업위기지역 내 기업실태와 지원과제.
  14. IBK경제연구소, 2016, 재도약의 기로에 선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15. 대경일보, 2018.07.23., "구미삼성엘지 협력업체 대기업 낙수효과 있나" (http://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220).
  16. 매일신문, 2019.01.21., "구미산단 가동률 하락세 심각, 전국 산단 중 하위 수준" (https://news.imaeil.com/Economy/2019011816593856706).
  17. 조선비즈, 2019.07.14., "[르포] 구미공단의 눈물...삼성. LG 떠나고 中企 가동률 32.2%로 추락"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12/2019071202384.html).
  18. http://kostat.go.kr.
  19. http://www.kicox.or.kr.

Cited by

  1.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vol.22, pp.3,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37
  2.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vol.23, pp.2,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2.125
  3.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감성분석에 따른 지역 산업생태계 위기 예측 - 광주 지역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 vol.20, pp.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0.20.08.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