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ng Management Crises and Resilience of the Game Industry in Daegu

대구 게임산업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분석

  • Jeon, Ji-Hye (Industrial Loc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
  • Lee, Chul-Woo (Department of Geography, Institute of Regional Developmen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전지혜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
  • 이철우 (경북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지리학과)
  • Received : 2021.09.24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crisis, the level of resilience, and the alternatives based on the companies' self-evaluation of the game industry in Daegu. The Daegu game industry, which started spontaneously in the late 1990s, grew rapidly until the late 2000s wi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supporting organizations. However, from the mid-2010s, it has entered a period of recession due to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failed to respond to the saturation of the mobile game market and fierce competition at home and abroad. In response, some game companies turned the crisis into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by pursuing challenging strategies for product differentiation and pioneering new markets. On the other hand, companies that were passive in responding to the crisis have not get out of the management crisi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resilience level of game companies in Daegu, the level of immediate response to shock(rapidity) and replacement of the damaged part(redundancy) was low, but the level of mobilizing sufficient resources internally(resourcefulness) was high. However, as the Daegu game industry is facing more complex multi-spatial-scale environmental changes than in the past, its resilienc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trategies that can compensate for weaknesses in terms of the game industry ecosystem beyond individual company-level efforts.

본 연구는 대구 게임산업을 대상으로 그 기업들의 자체 평가에 기초하여 경영위기 특성과 회복력 수준 그리고 그 대안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말 자생적으로 태동한 대구 게임산업은 정부와 지원기관의 지원 하에 2000년대 후반까지 급격히 성장하였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모바일게임 시장의 포화상태 및 국내외 치열한 경쟁 상황에 대응하지 못한 기업이 속출하면서 침체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에 대해 일부 게임업체들은 제품 차별성 추구와 새로운 판로 개척을 위한 도전적 전략을 취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로 만든 반면, 위기 대응에 소극적이었던 기업들은 경영위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회복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구 게임업체들은 충격에 즉각적으로 대응(신속성)하고 타격받은 부분을 대체(대체성)하는 수준은 낮지만 내부적으로 충분한 자원을 동원(자원동원성)할 수 있는 수준은 높았다. 하지만 대구 게임산업이 과거에 비해 더욱 복잡한 다중 공간적 스케일의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회복력은 개별기업 차원의 노력을 넘어서 게임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을 통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학년도 경북대학교 국립대학육성사업 지원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국토연구원, 20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 연구, 국토연 2014-15.
  2. 권기정.노미진, 2005, "대구지역 게임 산업 육성 방안 - 온라인 게임 육성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6(3), pp.295-324.
  3. 김기범.최연경.이효정, 2018, 게임산업을 둘러싼 10대 변화 트렌드, 삼정KPMG 경제연구원, ISSUE MONITOR 제89호.
  4. 김미나, 2003, "한국 게임산업정책의 제도적 지체와 경로 의존적 변화," 한국정책학회보 12(3), pp.143-170.
  5. 김영수.정준호.박창귀, 2016, "충남경제의 성장요인 및 회복력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0(3), pp.323-338.
  6. 김재성.이태영.김태규.정형원, 2015, "한국 게임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3(1), pp.439-447. https://doi.org/10.14400/JDC.2015.13.1.439
  7. 남기찬.이병민, 2011, "인천지역 게임산업단지 설립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지 11(4), pp.117-126.
  8. 디지털데일리, 2016.07.21., "모바일게임 평균수명, 6개월 남짓...국내는 더 짧아,"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45516(최종열람일: 2021년 8월 12일)
  9. 문화체육관광부, 2020, 2019 콘텐츠 산업백서.
  10. 박경숙.이철우, 2010, "클러스터의 가치사슬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601-622.
  11. 박용훈.한현옥, 2019, "기업의 기술혁신활동에 관한 슘페터 가설 검정: 국내 게임산업을 대상으로," 산업경제연구 32(3), pp.1239-1262.
  12. 산업연구원, 2016, 대구 콘텐츠산업 중장기 로드맵 수립 연구.
  13. 서울경제, 2010.02.18., "대구 게임산업 불황 모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2049810 (최종열람일: 2021년 8월 12일)
  14. 신동호, 2017,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70-83.
  15. 영남일보, 2020.10.04., "(주)KOG-(주)나다디지탈...대구 게임산업 '희망의 불씨' 살리나,"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01004010000167(최종열람일: 2021년 8월 23일)
  16. 원도연, 2008, "지역 게임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연구," 지역사회연구 16(3), pp.93-121.
  17. 위정현, 2019, "정부의 게임산업 정책 효과에 대한 평가 분석 - 문화체육관광부의 게임 규제와 진흥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지 19(6), pp.15-24.
  18. 이병민, 2006, "디지털화에 따른 문화콘텐츠유통의 발전과 정책적 시사점 -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지 6(2), pp.33-44.
  19. 이병민.이원호, 2014,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의 문화변동과 지역발전: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15-230.
  20. 이원호, 2016,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역회복력과 장소성: 지역경쟁력의 대안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pp.483-498.
  21. 이철우.전지혜, 2018, "구미IT산업 클러스터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평가: 기업 차원의 자체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4), pp.604-619.
  22. 이해미, 2018, 게임 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 및 전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슈리포트 2018-제49호.
  23. 전지혜.이철우, 2017,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89-213.
  24. 전지혜.이철우, 2018, "클러스터 진화에 있어서 회복력의 의의와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pp.66-82.
  25. 전지혜.이철우,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의 현 주소: 구미지역 산업 환경과 위기 실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91-303.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91
  26. 최중빈.권택민, 2016, "4차 산업혁명과 국내 게임산업 발전방향 연구," 한국게임학회지 16(6), pp.29-38.
  27. 탁연숙, 2017, "우리나라 게임 산업의 정책방향에 대한 연구 - 폭력성 게임의 영향에 대한 긍정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중독범죄학회보 7(2), pp.81-98.
  28.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6, 문화산업클러스터 지형도 작성을 통한 지역문화산업 육성방안.
  2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2014 대한민국 게임백서.
  30.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2015 대한민국 게임백서.
  31.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2017 대한민국 게임백서.
  3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a, 2019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33.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b,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
  34.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a, 2020 콘텐츠산업 중장기 시장전망 연구.
  35.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b, 2020 대한민국 게임백서.
  36. 헤럴드경제, 2019.01.31., "게임사 80% "韓 게임업계 위기 직면","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90131000532(최종열람일: 2021년 8월 21일)
  37. 홍진환, 2014, "한국 모바일게임 산업의 성장사 연구," 경영사학 29(2), pp.29-49.
  38. Bruneau, M., Chang, S.E., Eguchi, R.T., Lee, G.C., O'Rourke, T.D., Reinhorn, A.M., Shinozuka, M., Tierney, K., Wallace, W.A. and Von Winterfeldt, D., 2003,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19(4), pp.733-752. https://doi.org/10.1193/1.1623497
  39. Holm, J.R. and Ostergaard, C.R., 2015, "Regional employment growth, shocks and regional industrial resilience: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nish ICT sector," Regional Studies 49(1), pp.95-112. https://doi.org/10.1080/00343404.2013.787159
  40. Martin, R. and Sunley, P., 2014, "On the notion of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conceptualization and explanation,"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5(1), pp.1-42. https://doi.org/10.1093/jeg/lbu015
  41. Martin, R., 2012, "Regional economic resilience, hysteresis and recessionary shock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2, pp.1-32. https://doi.org/10.1093/jeg/lbr019
  42. O'Rourke, T.D., 2007, "Critical infrastructure interdependencies, and resilience," Bridge-Washington-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37(1), pp.22-29.
  43. Pollock, K., 2016, Resilient Organisation or Mock Bureaucracy: Is Your Organisation "Crisis-prepared" or "Crisis-prone"?, Emergency Planning College Occasional Papers New Series.
  44. https://kostat.go.kr(최종열람일: 2021년 8월 23일)
  45. https://www.dip.or.kr(최종열람일: 2021년 8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