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vity data

검색결과 818건 처리시간 0.027초

Improved Free-air Gravity Anomalies by Satellite Altimetry

  • Kim, Jeong-Woo;Roman, Daniel-R.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5
    • /
    • 2001
  • Ocean satellite altimetry-implied free-air gravity anomalies have had the shortest wavelengths removed during the processing to generate the optimal solution between multiple radar altimeter missions. ERS-1 168day mission altimetry was residualized to a reference geoid surface generated by integrating Anderson & Knudsen’s free-air gravity anomalies for the Barents Sea. The altimetry tracks were reduced and filtered to extract the shortest wavelengths (between 4 and 111 km) from both ascending and descending tracks, respectively. These data were recombined using existing quadrant-swapping techniques in the wavenumber domain to generate a correlated, high frequency gravity field related to the local geologic sources. This added-value surface adjusted the reference free-air gravity anomalies to better reflect features in the gravity field at a wavelength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altimetry ground tracks.

해상중력자료를 이용한 서해 중부해역의 정밀지오이드 산정 (Precise Geoid Calculation Using Shipborne Gravity Data of the Mid-Yellow Sea Around KOREA)

  • 최윤수;박병욱;최광선;김진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3-38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이 1999년 '해양2000호'로 측정한 서해 중부해역의 해상중력 자료와 해면고도계 위성자료, 미국 GSFC/DMA에서 제공하는 EGM96 중력모델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산정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해상중력자료와 해면고도계 위성중력자료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EGM96 모델을 167차수로 계산한 광역 지오이드와 적분 반경 27km로 계산한 상대 지오이드를 합성하여 산정한 서해 중부해역의 정밀지오이드는 평균 18.339m이고 최저 13.564m에서 최고 22.785m 사이에서 변화하였다. 해상중력이상과 해면고도계 중력이상을 비교한 결과 해상중력이상의 정밀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차이의 평균은 -0.56mGal, RMSE는 4.195mGal로 나타났다.

The Global Geopotential Models in the Region of Korean Peninsula

  • Yun, Hong-Sic;Adam, Jozsef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6
    • /
    • 1994
  • 지오이드 모델링에 필요한 기준면으로 사용되는 여러가지 지오포텐셜모델들을 시험하여 한반도 주변의 최적기준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시험은 지오포텐셜모델들로부터 계산된 중력이상과 실제측정한 중력 이상의 차를 검토하였으며, 지오포텐셜모델들간의 중력이상과 지오이드고의 차를 비교·검토하였다. 또한 GPS 측량데이타로부터 계산된 지오이드고와 지오포텐셜모델로부터 계산된 지오이드고를 검토하였다. 시험결과 OSU91A 모델이 한반도 주변에서의 기준면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중력 및 지구자기 관련 주요 개념의 분석 (A Main Concepts Analysi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of Earth Science Textbooks in High School)

  • 최광선;양인숙;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2-84
    • /
    • 2008
  •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ain concept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which are introduced in the earth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in 7th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Earth Science textbooks and shows some effective teaching plans by using the latest materials. This study also illustrates the main concepts of gravity and geomagnetics through presenting some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 number of main concepts of six textbooks of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field of gravity, the direction and dimension of gravity, the measurement of gravity, the main reason of gravity anomaly and geoid, earth terrestrial magnetic field, secular variation of goemagnetics. Secondly, most Earth Science textbooks of high school explains the main concepts of the gravity and geomagnetics in similar ways. Those textbooks, however, don't put an emphasis on the essential contents which has been regarded as important thing in terms of the current educational course of study. The high school textbooks also use the material which is too old-fashioned and has some problems of accuracy and validity. Especially, many main concepts of the textbooks and scientific data(such as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measurement of gravity, the main reason of gravity anomaly, the use of geoid, secular variation) are different with those of South Korea, In addition, some materials(graphs and diagrams) are very old ones and they don't have authentic information.Finally, Among the various main concepts, some important ideas (the direction of the gravity and the method of measuring gravity, the measurement and use of gravity anomaly, the definition of geoid and secular variation of geomagnetics) should be corrected by showing the latest and authentic materials.

  • PDF

SGM90d모델을 이용한 달 중력장 분포 및 특징 분석 (Analysis Distribution and Feature of Lunar Gravity Field Using SGM90d Model)

  • 황학;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9-138
    • /
    • 2009
  • 달 중력장은 달의 내부구조와 이분성 및 마그마 바다의 분화 진화과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달의 기원과 진화를 규명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달 탐사의 역사와 달의 중력장 탐지 및 중력장모델의 발전과정을 고찰하였으며, 최근에 임무를 종료한 일본의 SELENE위성의 관측방식을 소개하고, SELENE위성의 궤도추적자료를 처리하여 개발된 달 중력장모델 SGM90d(SELENE Gravity Model)를 이용해 달 전체의 중력이상을 결정하였으며, 기존의 달 중력장 모델인 LP165P모델과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SGM90d를 분석해 본 결과, SELENE위성의 4중 도플러 관측방식은 달 뒷면의 중력장 직접 관측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달 뒷면 중력장의 최초 결정은 달의 메스콘과 같은 중력이상의 상세한 분포를 확인하고 달의 이분성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Distortions of Spherical Data in the Wavenumber Domain

  • Kim, Jeong-Woo;Lee, Dong-Che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1-179
    • /
    • 2002
  • Sampling rates become inconsistent when spatial data in the spherical coordinate are resampled with respect to latitudinal or longitudinal degree for mathematical processes such as Fourier Transform, and this results in distortions of the processed data in the wavenumber domain. These distortions are more evident in the polar regions. An example is presented to show such distortion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of free-air gravity anomalies from ERS-1 satellite radar altimeter data from the Barents Sea in the Russian Arctic, and a method is presented to minimize the distortion using the Lambert Conformal Conic map projection. This approach was found to enhance the free-air gravity anomalies in both data and wavenumber domains.

탄성파 자료의 해양분지 구조 해석 결과 향상을 위한 인공위성 중력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해석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Sparsely Obtained Seismic Data Combined with Satellite Gravity Data)

  • 박계순;오석훈;이희순;권병두;유해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0권4호
    • /
    • pp.252-2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복합 탐사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하여 고비용의 탄성파 탐사 자료를 관심 지역 전체에서 획득하지 못했을 경우 인공위성 중력을 이용한 구조 해석 결과의 향상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번 연구에 이용된 탄성파 자료는 우리나라 황해에서 획득된 정밀한 탄성파 자료로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자료 중 일부만을 추출하여 인공위성 중력자료와 복합해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탄성파 속도와 밀도 분포는 좋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 이용된 탄성파 자료의 수가 적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심도역산 결과와 탄성파 주시 자료의 상관관계를 획득하기 위하여 비선형지시자 변환 기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주시 자료와 중력 자료로부터 변환된 주시 자료를 통하여 잔차 해석 및 지역 평균을 이용한 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여 복합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획득된 해석 결과를 정밀하게 이루어진 탄성파 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한 결과, 해양의 분지 기반암 구조를 해석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Capillary Waves on Steep Gravity Waves

  • Lee, Seung-Joon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4권4호
    • /
    • pp.45-55
    • /
    • 2000
  • A formal solution method using the complex analysis is given for the problems derived by Longuet-Higgins(1963). The same method is applied to a new perturbation problem of higher approximation. Interpretation of its solution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ough agree-ment of Longuet-Higgins\`s prediction with experimental data of Cox(1958) wa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gravity effect in the perturbation problem was neglected for the case when the basic gravity wave not sufficiently steep.

  • PDF

CHAMP-GRACE 인공위성 데이터와 해상 측정 중력 데이터에 나타난 황해안 지역의 남중국과 북중국판의 대륙 충돌대 위치 (Tectonic Link between NE China, Yellow Sea and Korean Peninsula, revealed by interpreting CHAMP-GRACE satellite Gravity Data and sea-surface measured gravity data)

  • 최승찬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4
    • /
    • 2005
  • 황해안 대륙붕 지역의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의 위치와 퇴적분지의 지하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자원 연구원 탐해 2 호에 의해서 2000 년부터 2002 년까지 측정된 중력 데이터에 의한 3 차원 지하구조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황해안 연구지역 내의 중력 이상은 주로 퇴적층과 기반암 사이 경계면의 밀도 및 깊이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륙 충돌대라고 여겨지는 고밀도 지각구조는 황해안 퇴적분지의 남쪽으로 부터 북동 방향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며, 퇴적 분지 내의 현저하게 밀도가 낮은 물질의 총 부피는 약 $20000\;km^3$ 정도로 추정되었다.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경계인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는 황해안 퇴적분지 남쪽과 북쪽 지역을 지나 각각 임진강 벨트와 충남 홍성 지역으로 연결되며, 북북동 구조선을 따라 동해안 쪽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ravity Variation Estimation of the 2011 Tohoku Earthquake

  • Kim, Kwang Bae;Lee, Chang Kyu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7-506
    • /
    • 2015
  • Gravity variations due to the 2011 Tohoku (M9.0) earthquake, which occurred at the plate boundaries near the northeastern coast of Japan, were estimated through the GRACE spherical harmonic (Stokes)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CSR. About -5 μGal gravity variation by the GRACE data was found in the back-arc basin area with respect to a reference gravity model. The mean gravity variations in the back-arc basin area and the Japan Trench area were -4.4 and -3.2 μGal in order. The small negative gravity variations around the Japan Trench area can be interpreted by both crustal dilatation and the seafloor topography change in comparison with the large negative gravity variations in the back-arc basin area by co-seismic crustal dilatation of the landward plate. From the results of the gravity variations, vertical displacements generated from relatively short wavelength caused by the earthquake were estimated by use of multi-beam bathymetric measurements obtained from JAMSTEC. The maximum seafloor topography changes of about ±50 m were found at west side of the Japan Trench axis by the earthquake. The seafloor topography change by the megathrust earthquake can be considered as the results of the landslide of the seafloor throughout the landward 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