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gure transformation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도형의 변환학습의 순차성 고찰 (A Study of the Sequence of Figure Transformation Learning)

  • 박성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13
    • /
    • 1979
  • This study aimed at studying the sequence of the Figure Transformation Learning, inquiring relationship among these transformations and then researching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of the learning ability or not between by teaching them as it is independent and by teaching them as it is contains. (Hypothesis 1) It may be more effective to teach The Sequence of Transformation Learning by beginning with peculiar field, ending with general field than vice versa At the result of verification-C $R_{M}$=2.59, 0.005$R_{M}$=5.19, p<0.005-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It is proved more effective to teach the Figure Transformation Learning the way it contains than the way it is independent. Synthesizing two hypothesises of the above, the conclusion is following The Figure Transformation Learning should be taught by beginning with peculiar field. ending with general field (congruent transformationlongrightarrowsimilar transformationlongrightarrowprojective transformationlongrightarrowtopological transformation). To teach it the way it contains is more effective.ive.

  • PDF

일차변환 관점에서의 도형의 성질 이해 및 학교수학에의 시사점 (Understanding the properties of geometric figures through the linear transform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school mathematics)

  • 홍갑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4호
    • /
    • pp.437-445
    • /
    • 2008
  • On the basis of the meaning and general process of geometric proof through transformation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 geometric properties of linear transform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entroid of geometrical figure and certain properties of a parabola and an ellipse in school mathematics can be explained as a conservative properties through linear transforma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is is a good example of showing the process of how several existing individual knowledge can be reorganized by a mathematical concept. Considering the fact that mathematical usefulness of linear transformation can be revealed through an invariable and conservation concept, further discussion is necessary on whether the linear transformation map included in the former curriculum have missed its point.

  • PDF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An Analysis of Fifth Graders' Solution Methods in Finding the Area of Plane Figure)

  • 유연자;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3호
    • /
    • pp.443-461
    • /
    • 2008
  • 본 연구는 주로 공식을 통한 계산 위주로 학습되는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반하여 탐구 중심의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충분한 시간과 조작 활동 자료를 제공한 후 학생들이 주어진 도형의 넓이를 어떻게 구하는지를 자세하게 탐색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다양한 해결 방법과 이에 관한 면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지도 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n the Undentanding of Spatial Sen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성미;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3호
    • /
    • pp.273-29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understood the main contents related to spatial sense in the Seven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ain contents of congruence transformation (slide, flip, turn), mirror symmetry, cubes, congruence and symmetry.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the subjects included 483 stud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congruence transformation, whereas students had high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on questions concerning slide, they had lower percentages on questions concerning turn.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on flip question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ades. In addition, most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cribing the changes of shapes. Second, students understood the fact that the right and the left of an image in a mirror are exchanged, but they had poor overall understanding of mirror symmetry. The more complicated the cubes, the lower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Third, stud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congruences, but they had difficulties in finding out congruent figures. Lastly, they had a poor understanding of symmetry and, in particular, didn't distinguish a symmetric figure of a line from a symmetric figure of a point.

  • PDF

조선시대 영당(影堂)의 건립 경향과 예학(禮學) 확산 이후의 변화 (Research on the Tendency of Young-Dang Construction and Changes after spreading the Study of Confucian Courtesy in Joseon Dynasty)

  • 배창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4호
    • /
    • pp.17-29
    • /
    • 2021
  • Young-dang(影堂) is a ritual pavilion where figures of a dedicated person is enshrined. According to literature, establishment of Young-dang architecture is thought to have the affinity with Buddhist tradition in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A tradition of enshrining figure could be found especially in Buddhism. Until the mid Joseon dynasty, enshrining figure made of wood, clay and bronze was quite often at Young-dang. In Confucian ritual tradition, a pavilion where enshrining ancestor's sprit tablet called Sadang(祠堂) or Myo(廟). In regarding portrait is a sort of figure, it has to be concerned with Buddhist ritual tradition. For this reaseon, Young-dang started to be distinguished from older aspect of existence in mid Joseon dynasty when the study of Confucian courtesy widely spread. It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Young-dang architecture from Buddhist tradition to Confucian tradition in J oseon dynasty.

다각형의 등주문제: Geometer's Sketchpad로 수학적 추론과 정당화하기 (On the Isoperimetric Problem of Polygons: the mathematical reasoning and proof with the Geometer's Sketchpad)

  • 최근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57-273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영재학생들을 위한 학습 자료의 관점에서, 선행연구(최근배, 2009, 2011; 이재운, 최근배, 2015)에서 미비한 점이 있는 짝수 각형의 등주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Geometer's Sketchpad로 추론하고 정당화하는 아이디어를 논의하고 있으며, 주된 아이디어는 두 가지의 변형([그림 III-1]과 [그림 III-3])을 사용하는데 나타나는 수학화의 과정이다. 여기에 사용된 아이디어는 제주대학교 영재교육원 수학반 심화과정 프로그램 (등주문제 또는 디도여왕의 문제, 2004년부터 현재까지) 운영 중에 도출된 것이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된 불확정성의 특성과 의미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determinacy in Fashion Illustrations)

  • 김순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1-703
    • /
    • 2015
  • Indeterminacy maintains that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object location and speed is theoretically impossible. This study present indeterminacy as a theoretic tool to interpret a variety of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at seem disorderly in recent fashion illustration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indeterminacy as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This study reviews concepts and related theories on indeterminacy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indeterminacy expressed in the arts and fashion; subsequently, indeterminacy characteristics found in fashion illustrations are analyzed. In expressing the fashion figure, indeterminacy finds expression in a distorted figure transformations that include a hybridized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forms that dismantle and reconstruct the human body. The hybridized body of combined machines, animals and plants indicates an indeterminate body endlessly transforming itself. Indeterminate space expression finds expression in space expression by projection with the overlapping and juxtaposition of irrelevant constituent elements as well as a space expression from the insertion of unexpected images. An unclarified inconclusive open space provides space with fluidity, causes space expansion and conveys inconclusive meaning. Indeterminate expressions found in fashion illustrations reveal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a post-modern society with polysemous aesthetic values and the expanded visual concepts of fashion illustrations.

대구시 여고생의 교복변형에 대한 태도 분석 (The Analysi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Uniform Transformation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 박효은;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고등학생의 교복변형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교복변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청소년들에게 만족스러우면서도 유행흐름에 부합하는 교복을 제안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교복착용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교복착용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찬성의 이유로는 또래집단과의 동질성을 들었다. 둘째, 교복만족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만족이 불만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교복변형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교복변형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교복 상의의 경우 주로 품과 길이를 줄여 입으며, 하의의 경우 스커트 길이를 늘이고 주름을 뜯어 늘여 입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심층면접을 통해 교복변형의 원인을 조사한 결과, 크게 미적욕구 충족을 위한 변형, 유행을 따라가기 위한 변형, 맞음새를 위한 변형, 실용성을 위한 변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미적욕구충족을 위해 변형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맞음새를 위한 변형, 유행을 따르기 위한 변형 순으로 나타났다. 교복 디자인시 고려사항으로는 '맞음새'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디자인', '활동성' 순이었다. 이상과 같이 각급 학교에서는 학생의 의견을 교복선정에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의 교복변형을 줄이고, 학생뿐 아니라 교사 학부모들도 모두가 만족하는 교복을 만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PDF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 기법 도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rivation of Appropriate Geodetic System Transformation Schemes for Spatial Data)

  • 윤성현;이흥규;송진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61-57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에 사용하는 3차원 변환기법 Helmert, Molodensky-Badekas, Standard Molodensky 그리고 2차원 변환기법 Abridged Molodensky, Conformal, Affine, NTv2 (National Transformation version 2)의 적용 가능 좌표 형식, 변환계수 등 이론적 특징을 조사·비교하였다. 이들 기법을 4가지 각기 다른 특징을 갖는 공간정보 좌표 집단에 적용하는 변환 실험을 실시해 잔차 분포, 정확도, Student-T 분포에 대한 가설검정 결과를 분석하였다. 동일 측지기준체계를 달리 구현한 측지기준프레임 사이 변환 시 지각변동을 고려한다면, 그 범위가 아시아-오세아니아로 넓어지더라도 3차원 변환기법들의 적용 결과에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2차원 변환기법 중에서는 NTv2 기법이 지역적으로 불균질한 공통점의 상대정확도를 반영할 수 있어 가장 높은 변환 정확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의 공간정보의 측지기준체계 변환 이론과 실험적 고찰을 통해 향후 신규 측지기준프레임 도입에 따른 통합기준점 등 측량기준점 변환은 Helmert 기법 그리고 수치지형도·지적공부 등 2차원 공간정보 변환에는 NTv2 변환기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츠카모토 신야의 <철남(鐵男)>(1989)을 통해 살펴 본 기계적-몸 이미지 (Metal-Body Images in Shinya Tsukamoto's (1989))

  • 권수진;권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68-178
    • /
    • 2015
  • 본 연구는 츠카모토 신야의 영화 <철남>(1989)의 기계적-몸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 탈인간화 하는 몸 그리고 욕망에 대한 해석을 시도 하였다. <철남>에서 살펴본 기계적-몸 이미지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 그로테스크적 이미지,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로 관찰되었다. 기계적-몸의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철남>의 변화과정에서 보이는 변용, 파괴, 착란, 그리고 환상에 대한 과장으로 파악되었고, 그로테스크적 이미지는 인물의 일상적인 공간에서 기괴한 형태로의 변형으로 인간의 내재된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엽기성과 나약함이 혼합된 이미지로 관찰 되었다.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는 불완전한 존재가 완전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스스로의 파괴와 재탄생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위의 세 가지 이미지 유형에 대한 분석은 세계정복을 꿈꾸는 과부화된 인간의 욕망이 탈인간화된 기계적-몸으로서 비유기체로의 시각화로 귀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