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al-Body Images in Shinya Tsukamoto's (1989)

츠카모토 신야의 <철남(鐵男)>(1989)을 통해 살펴 본 기계적-몸 이미지

  • 권수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화이론전공) ;
  • 권하진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5.04.13
  • Accepted : 2015.05.22
  • Published : 2015.06.28

Abstract

This article analysis the aesthetics of metal-body of (1989) and its metamorphosis of dehumanization through visual desires expressed by body images.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aesthetic view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anings. The research categorizes three types of images; surreal image, grotesque image and eros image from the metamorphosis of dehumaniza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out the film. As the surreal image, the metamorphic process of transformation, demolition, derangement, illusion, and human desire continues to reflect the evil side of a human in everyday life. It also visualizes the images of exaggeration through weakness and bizarre side of metal-body. The grotesque image of body metamorphosis displays and symbolizes double-sides of bizarre and weak side of human in the everyday environment when malformation reaches its peak when Tetsuo finally shows his transforming figure. Finally, the eros image is analogized as a man's inner self and self-destruction in surreal world and a grotesque figure when overwhelming desire of transforming into rebirth of a perfect metal-body, Tetsuo. The surreal image, grotesque image, and eros image portraits human desires inner and outer-self into visualized image and that represents the means of excessive desire for dreaming of world domination with merging non-organic medium of metal and organic body to create a perfect body-image.

본 연구는 츠카모토 신야의 영화 <철남>(1989)의 기계적-몸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 탈인간화 하는 몸 그리고 욕망에 대한 해석을 시도 하였다. <철남>에서 살펴본 기계적-몸 이미지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 그로테스크적 이미지,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로 관찰되었다. 기계적-몸의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철남>의 변화과정에서 보이는 변용, 파괴, 착란, 그리고 환상에 대한 과장으로 파악되었고, 그로테스크적 이미지는 인물의 일상적인 공간에서 기괴한 형태로의 변형으로 인간의 내재된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엽기성과 나약함이 혼합된 이미지로 관찰 되었다.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는 불완전한 존재가 완전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스스로의 파괴와 재탄생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위의 세 가지 이미지 유형에 대한 분석은 세계정복을 꿈꾸는 과부화된 인간의 욕망이 탈인간화된 기계적-몸으로서 비유기체로의 시각화로 귀결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원방, 몸이 기계를 만나다: 뉴미디어 아트의 미학, 도서출판 예경, 2014.
  2. 김재기, 철학, 섹슈얼리티에 말을 건네다: 인간의 성에 대한 체계적이 전면적인 철학적 성찰, 향연, 2011.
  3. 전영운, 류신, "'그로테스크'의 형식.내용.수용", 인문학연구, 제31집, 2001.
  4.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2008.
  5. 피종호 편저, "후기 구조주의의 '몸'과 재현의 위기", 몸의 위기, 까치, p.92-110, 2004.
  6. "I Am Iron Man! Tetsuo And The Cinema of Shinya Tsukamoto," http://thequietus.com/articles/10305-tetsuo-kotoko-shinya-tsukamoto-third-window-dvd
  7. M. Bakhtin, trans, Helene Iswolsky, Rabelais and His World, Indiana, 1984.
  8. E. Breton, 송재영 옮김, 초현실주의 선언, 성문각, 1978.
  9. E. Auerbach, 김우창, 유종호 옮김, 미메시스, 민음사, 2012.
  10. F. Bradley, 김금미 옮김, 초현실주의, 열화당, 1978.
  11. G. Bataille, 조한경 옮김, 에로티즘, 민음사, 2009.
  12. G. Delueze, 김상환 옮김,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13. W. Kayser, 이지혜 옮김, "그로테스크 개념의 확장", 미술과 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 아모르문디, 2011.
  14. K. Sato, "Shinya Tsukamoto," Midnight Eye In terview, published 2002.10.23. (http://www.midnighteye.com/interviews/shinya-tsukamoto/)
  15. N. Walters, "The Femme Fatale and the Exotic Queer within Shinya Tsukamoto's Tetsuo: Gender as Narrative Tool within an Allegory for Post WWII Japan's Industrialized Identity Crisis," Anthos 2011, Vol.3, Issue.1, Article.7. (http://pdxscholar.library.pdx.edu/anthos/vol3/iss1/7/)
  16. P. Brooks, 이봉지, 한애경 옮김,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2013.
  17. S. T. Brown, Tokyo Cyberpunk: Post humanism in Japanese Visual Culture, Macmillan, 2010.
  18. T. Mes, Iron Man: The Cinema of Shinya Tsukamoto, FAB Press, 2005.
  19. W. Henkmann and K. Lotter, 김진수 옮김, 미학사전, 예경, 1998.
  20. http://en.wikipedia.org/wiki/Eros_(concept)
  21. M. Foucault, 이상길 옮김, "유토피아적 몸",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pp.33-34, 2014.
  22. M. Foucault, 이상길 옮김, "유토피아적 몸",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pp.27-39,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