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Tendency of Young-Dang Construction and Changes after spreading the Study of Confucian Courtesy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영당(影堂)의 건립 경향과 예학(禮學) 확산 이후의 변화

  • Received : 2021.04.21
  • Accepted : 2021.07.12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Young-dang(影堂) is a ritual pavilion where figures of a dedicated person is enshrined. According to literature, establishment of Young-dang architecture is thought to have the affinity with Buddhist tradition in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A tradition of enshrining figure could be found especially in Buddhism. Until the mid Joseon dynasty, enshrining figure made of wood, clay and bronze was quite often at Young-dang. In Confucian ritual tradition, a pavilion where enshrining ancestor's sprit tablet called Sadang(祠堂) or Myo(廟). In regarding portrait is a sort of figure, it has to be concerned with Buddhist ritual tradition. For this reaseon, Young-dang started to be distinguished from older aspect of existence in mid Joseon dynasty when the study of Confucian courtesy widely spread. It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Young-dang architecture from Buddhist tradition to Confucian tradition in J oseon dynasty.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0년도 한국연구재단 연구비 지원에 의한 결과의 일부임.(과제번호: NRF-2020R1I1A1A01052132)

References

  1. 「高峯集」
  2. 「孤雲集」
  3. 「東國輿地備考」
  4. 「鳳岡影堂營建日記」
  5. 「分江書院創院日記」
  6. 「泗濱誌」
  7. 「常變通攷」
  8. 「崇惠殿誌」
  9. 「承政院日記」
  10. 「新增東國輿地勝覽」
  11. 「輿地圖書」
  12. 「朝鮮王朝實錄」
  13. 菊竹淳一,「고려시대 裸形男子倚像-고려 태조 왕건상 試論」, 「美術史論壇」, 21호, 2005
  14. 권행가, 「高宗 皇帝의 肖像 : 近代 시각매체의 流入과 御眞의 변용 과정」,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5. 김성환, 「고려시대 태조(太祖)의 진전(眞殿)과 봉업사(奉業寺)」, 「선사와 고대」, 57권, 2018.
  16. 김우진, 「숙종의 강화도 축성과 御眞의 奉安」, 「朝鮮時代史學報」, 90호, 2019
  17. 김우철(외)역주, 「여지도서」, 디자인흐름, 2009
  18. 김종호, 「崇惠殿誌」, 숭혜전지 편찬위원회, 1987
  19. 박남수, 「진전사원(眞殿寺院)의 기원과 신라(新羅) 성전사원(成典寺院)의 성격」, 「韓國思想史學」, 41권, 2012
  20. 박정미, 「16세기 星州 李氏 影堂寺刹 安峯寺의 규모와 운영」, 「泰東古典硏究」, 31권, 2013, 57-84쪽.
  21. 박정애, 「조선시대 주자 숭모열과 그 이미지의 시각화 양상」, 「대동문화연구」 제93집, 2016
  22. 배창현, 전봉희, 「문헌자료를 통해 본 조선후기 안동지역 영당(影堂) 건립의 성격」, 「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6
  23. 始興郡誌編纂委員會, 「始興金石總覽」, 1988
  24. 안선호, 「조선시대 진전(眞殿) 건축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5. 유미나, 「조선 시대 기자(箕子)에 대한 인식과 기자(箕子) 유상(遺像)」, 「강좌미술사」, 44호, 2015
  26. 이성훈, 「조선후기 생사당(生祠堂) 건립과 생사당 봉안용 초상화의 제작: 평양(平壤)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화」,90호, 2020
  27. 이성훈, 「조선후기 사대부 초상화의 제작 및 봉안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8. 이윤선,「여수 영당의 역사와 지속가능한 민속경관전략」, 「남도민속연구」, 14권, 2007
  29. 이철헌, 「密陽 儒林의 表忠祠 守護」, 「韓國佛敎學」, 48권, 2007
  30. 장우영, 「경주 북천 옛 물길과 유적 형성과정의 기초연구」, 「新羅文化」, 제57호, 2020
  31. 조인수, 「조선 초기 태조 어진(御眞)의 제작과 태조 진전(眞殿)의 운영 -태조, 태종 대를 중심으로」, 「미술사와 시각문화」, 3권, 2004
  32. 황인규, 「청계산 청계사의 역사와 위상」, 「보조사상」, 39권, 2013
  33. Chang Hyun Bae, BongHee Jeon, 「The Origins And Changes Of YOUNG-DANG Architecture As An Intermediate Ritual Pavilion」, 「Eeat Asian Architectectural history Conference 2017 」,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