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검색결과 766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다면체 관련 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eaching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이영지;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405-438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and discussed instruction methods of polyhedr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by using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By further segmenting instruction methods, we analyzed the period and order of teaching of polyhedrons, its definitions and presentation methods, and how instruction methods has changed so far.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 choose the part where polyhedrons are introduced as the search-target, and analyzed instruction methods in these textbooks by using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of polyhedrons were systemized when the system of Euclid geometry was introduced,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ondition of students, and the instruction period and order had been refin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definition took into consideration both the academic systems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Also, the subject of learning has changed from textbook and teachers to students. Polyhedrons were connected to real life and students could build up their knowledge by themselves. Constructions were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of contents, rather than at itself. Through these analyses, we have some suggestions on the teaching of polyhedrons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ors' Response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 Ryang, Do-Hyoung;Thompson, Tony;Shwery, Crai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9-250
    • /
    • 2011
  •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is one of the most popular instruments used to measur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teaching. The instrument was, however,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is perhaps not appropriate for other cultures.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carefully reviewed by Korea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professors. Analysis of the review indicated that eight out of the 21 items were appropriate while the others needed to be revised. Items were identified as inappropriate due to awkwardness, multiple meanings, tense disagreements, and vagueness. These items were modified to better fit the Korean context. The instrument was revised with two versions: one for elementary and the other for secondary pre service teachers.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elid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 류현아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03-227
    • /
    • 2020
  • This study is observed in this paper that how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re reflected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ctual mathematics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senio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ir mathematical beliefs and analyzing their actual mathematics classes in a teaching practicum,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the mathematical belief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generally shown in a similar tendency. The beliefs formed by the students' experience and the beliefs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o become teachers have coexisted. Second, the teachers' belief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he teaching practices are largely inconsistent. Third, wh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lan and implement their mathematic classes,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guidanc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ir own mathematical beliefs.

초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에 따른 수업용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Effective Use of Teaching Aids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 안병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1호
    • /
    • pp.39-53
    • /
    • 2018
  • 지금까지의 수학 교구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에서 제시한 교구의 활용을 통하여 나타난 학업성취도의 변화나 수학에 대한 자신감과 태도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구 활용에 대한 변화 내용 보다는,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중에서 교구의 활용에 적합한 성취기준을 조사하여, 그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의 제시하고, 현재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교과서에 제시된 교구를 조사하고 비교하여 앞으로 교구의 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성취기준에 알맞은 교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2017)에서 수학 수업용 교구 표준안에 제시한 교구를 기준으로 앞으로 수학 수업에서 교구의 효과적인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및 초등 교사와의 인식 비교 (School Administrators' Perspectives of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and Comparison to Teachers' Perspectives)

  • 권미선;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9권4호
    • /
    • pp.329-347
    • /
    • 2016
  • 본 연구는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와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 관리자 32명을 대상으로 자유기술식, 등위식, 척도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교 관리자의 인식 조사 결과, 자유기술식 설문에서는 구체적 조작물을 활용하는 수업,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이 좋은 수학 수업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등위식 설문에서는 대영역 중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중영역 중 교육과정 구성이 좋은 수학 수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척도식 설문에서는 학생 수준에 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한 수업, 수학과 기본 개념 사이의 연계성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등은 매우 좋은 수학 수업으로, 계산을 능숙하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물리적 환경이 잘 조성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등은 상대적으로 덜 좋은 수학 수업이라는 인식이 드러났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각 요소별로 실시한 t 검정 결과 총 48개 중 20개의 요소에서 학교 관리자와 초등 교사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학교 관리자의 인식과 초등 교사와의 인식 차이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 교과서에 제시된 속력 개념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e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 최은아;정연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3-47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속력 개념 지도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속력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비례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속력 개념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초등수학에서의 속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과서 분석틀을 마련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들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속력 개념의 지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수학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1-178
    • /
    • 2011
  •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미래를 살아가야 할 학생들에게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이를 표현하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2006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의사소통과 관련하여 교수 학습방법으로 3가지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정교육과정의 교수 학습방법에서 제시한 3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수학적 표현에 대한 조사와 개정교육과정 발표 이후인 2007년도부터 현재까지 수학적 의사소통 관련 주요 논문들에 나타난 내용의 특징을 조사 분석하여 앞으로 효과적인 수학적 의사소통지도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 PDF

미국 초등학교 교사의 학생중심 수학교실문화 형성사례 및 교수법 개발에 관한 소고 (An Americ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ward student-centered mathematics classroom culture)

  • 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15-433
    • /
    • 2002
  • The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ty is seeking to change a teacher-centered class-room culture to a student-centered culture. However, the real transition is not easy, even for teachers who are eager and willing to teach differently. The challenge for teachers is to use the social structure of the classrooms to nurture students' development toward mathematical ways of thinking and communicating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ocesses. By introducing a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long with her classroom episodes, this paper is to make strides toward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s in which students ma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develop conceptual under standing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his paper first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assroom flow in terms of general social norms and sociomathematical norms in order to explore how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have established such a student-centered math-ematics microculture. This paper then analyzes the teacher's teaching approach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초등수학 예비교사들의 분수에 대한 표상의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 이대현;서관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7권1호
    • /
    • pp.31-41
    • /
    • 2003
  • Representation has been main topic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for a long time. Moreover, teachers' deficiency of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results in teaching algorithms without conceptual understanding. So, this paper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size the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epresentation about fraction. 38 element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only model of a fraction that was familiar to the preservice teachers was the part of whole one. And research showed that, they solved the problems about fraction well using algorithms but seldom express the sentence which illustrates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Specially, the division aspect of a fraction was not familiar nor readily accepted. It mena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used to using algorithms withou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operation by a fraction. This results give us some implications. Most of all, teaching programs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have to devise to form a network among the concepts in relation to fraction. And we must emphasize how to teach and what to teach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course. Finally, we have to invent the various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educate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we want to improve the mathematical ability of students, we will concentrat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