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standard analysis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초

학점은행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Credit Bank System)

  • 김재춘;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68-7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of the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CBS). With the growth of the system,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ACBS turned out to have many problems which have to be solved for securing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the system.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ACBS, the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ACBS according to three criteria: the organization of subjects in the six liberal arts curriculum areas, the completion of liberal arts and the exchange subjects between majors and the liberal 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In the futu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explore ways to implement the proposed standard liberal arts curriculum of the ACBS in real contexts.

한국 치위생(학)과 표준교육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 원복연;장계원;황미영;김설악;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2013
  • Objectives : In order to make a proposal of a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the job description of the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was analyzed to prepare a job analysis matrix of dental hygienist to select required core competency. Methods : Data were analyzed to test the job validity of dental hygienist and categorize the duties of dental hygienist. A proposal of a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was mapped out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urses necessary for American authorization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existing proposals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offered by domestic three-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Results : Basic medicine courses were reinforced or newly offe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ransfer to a domestic four-year university or to a foreig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linical dental hygiene and practice, preventive dentistry, prophylaxis and practice were integrated, and the names of the related courses were unified to give a chance for students to engage in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practice. There were different courses for dental clinical science at present. In this proposal, students should earn 125 credits in total. Conclusions :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was required by three-year and four-year colleges across the nation. To make it happen, the original names of dental hygiene courses should be used, and the dental hygien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institute that is under the umbrella of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hould lay out the standard of the KSDHEP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the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ies curriculum based on overseas higher Informatics standard curriculum)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38
    • /
    • 2017
  • 미국(CS2013)과 일본(J07-CS)은 고등교육의 수준에서 변화하는 사회를 반영하는 표준 정보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고등 정보교육과정 표준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의 표준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 교육과정 구성 현황 분석 및 내용 지식에 근거하여 과목을 구성하였다. 연구 진행 결과 미국의 고등 정보교육과정은 변화하는 컴퓨팅 환경을 반영하는 교육과정으로 진화하고 있었다. 국내 대학의 정보교육과정은 CS2013의 지식영역을 52% 정도만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의 교육과정 과목 구성방침에 근거하여 과목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으며, 대학의 표준 정보 교육과정이 없는 상황에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있다.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A Study on Pres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

  • 이영환;서현아;윤정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4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국가수준 보육과정의 발전과정과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보육목표와 내용 분석을 통하여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의의를 살펴보고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는 국가수준 보육과정으로서, 표준보육과정이 2007년 제정, 공포되어 그동안 보육의 질 향상에 긍정적 역할을 해 왔으며, 2011년 5세 누리과정, 2012년 제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3-4세 누리과정 제정 및 5세 누리과정 개정, 2013년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개정에 이르기 까지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은 어린이집을 다니는 영유아가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계적인 보육과정으로서 구성함으로써 0~5세 영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의 특성을 반영하였다. 2013년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7년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표준보육과정의 필요성과 그 내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표준보육과정 보급 이후 보육현장에서 표준보육과정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으며 어느 정도 적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 표준보육과정의 활용도를 높이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3-5세 보육과정(누리과정)의 연령별 구성에 대한 연구와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실천적 연계를 위한 노력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Posner 이론을 적용한 여성건강간호학 교육과정 분석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Analysis using Posner's Theory in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Education)

  • 김현경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5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in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from one nursing schoo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 nursing school in A city, Korea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4 domain of Posner's curriculum analysis. Results: Curriculum documentation and origins were based on the nursing standard from Korean Accreditation Nursing Board Education and the learning goal of maternal nursing from Korean Nursing Association.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were composed with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deductively and multidisciplinary. Conclusion: The continuity, sequence, integration, and articulation were advantage of the curriculum. The concept map of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can contribute to share the objective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 PDF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은경;이영선;감경원;차지혜;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3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 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 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 '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 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Guidebook(for 2 years) for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Fine Arts)

  • 김순희;이순복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83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fine arts were reflected in art related activities in the teacher's manual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a period of 2 years.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lements of fine art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Kim and Gang(2011) and the same was done for the principles of fine arts based on Lee et al(2015).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contents according to life theme in art related activities, 'artistic expression' appeared the most in all nine life the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2 years based on the elements of fine arts, plane, texture, shape, color, volume, line, spot, space, composition, light and shade appeared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on the principles of fine arts, movement, emphasis, variety, unity, rhythm, proportion, balance and pattern appeared in ord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childcare activities have to be devo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balanced experiences with fine arts activities.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김지영;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3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제를 조사하고,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내용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2세를 담당하는 영아교사 205명이다. 연구도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적용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보육과정의 연구동향 및 운영실태 관련 연구 분석: 제3차 표준보육과정 시행 이후 연구를 바탕으로 (Research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Trends and the Operation Status of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Based on Research After the 3r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 김세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7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ndency of research in relation to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and then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 about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Methods: The analytic data utilized in this research contains a total of 45 research results about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Results: First, the research methods were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Regarding research topics, the status of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and contents and programs of Childcare Curriculum received high attention. Second, while, childcare teachers showed an awareness of the Childcare Curriculum, they made few effort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it in depth. It was reported that a lack of multiple support systems would serve as an obstacle to the operation of Childcare Curriculum. Conclusion/Implications: There is a need for childcare centers, academic circles and the government to pay an even greater deal of attention to the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In addition, structural and policy support is required, such as revitalizing case-based teacher training, lowering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infant teachers.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hange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Geometry Domain)

  • 김현미;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의 내용 및 성취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기초로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형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51%이고, 학년 및 영역의 변동 없이 지속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소멸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0.4%이고, 제3차의 수학 현대화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도입되었던 학습 내용들이 제4차 교육과정에서 삭제되면서 가장 많이 소멸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단계형 교육과정과 학년군의 도입으로 학습 내용이 통합되거나 중학교로 이동되면서 소멸되었다. 추가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8.6%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기르기가 도입되면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다. 도형 영역에서 추가형 성취기준이 소멸형 성취기준보다 많은 것은 학습 내용 축소라는 교육과정 개정의 큰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맞는 기하 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새로운 성취기준의 구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