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Fine Arts Activities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Guidebook(for 2 years) for Teachers Based on the Elements and Principle of Fine Arts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 김순희 (위덕대학교, 예쁜꼬마어린이집) ;
  • 이순복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6.15
  • Accepted : 2018.08.10
  • Published : 2018.08.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fine arts were reflected in art related activities in the teacher's manual on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a period of 2 years.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lements of fine arts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Kim and Gang(2011) and the same was done for the principles of fine arts based on Lee et al(2015).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contents according to life theme in art related activities, 'artistic expression' appeared the most in all nine life them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2 years based on the elements of fine arts, plane, texture, shape, color, volume, line, spot, space, composition, light and shade appeared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rt related contents on the principles of fine arts, movement, emphasis, variety, unity, rhythm, proportion, balance and pattern appeared in ord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childcare activities have to be devo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balanced experiences with fine arts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 (2011). 미술요소를 중심으로 한 통합 유아미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경희, 강성빈 (2011). 미술의 기본요소에 따른 0-5세 보육프로그램 미술 활동 분석. 사고개발, 7(1), 91-115.
  3. 김길권, 오치영 (2006). 미술의 기본요소와 조형원리에 기초한 아동미술의 이해와 지도. 서울: 양서원.
  4. 김미덕 (2004). 미술요소에 기초한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연 (2015). 오감발달을 위한 영아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란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희 (2017). 미술의 요소와 원리에 근거한 만 2세 표준보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분석.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선월 (2012). 자연의 미적요소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 미술표상능력,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론집, 16(5), 533-555.
  8. 김진희 (2000). 유치원 미술 감상교육의 현황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찬미 (2017). 만 2세 사랑반의 미술활동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현정 (1999). 유아미술교육의 실태 비교-유치원과 미술학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류혜경 (2002). 초등미술교육에서 조형요소와 원리의 학습적용 연구: 평면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2013). 0-2세 연령별 표준보육과정 지침서. 서울: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13. 보건복지부 (2013).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 2세 1-3권. 서울: 경성문화사.
  14. 박근주 (2011). (미술이 아닌) 영아미술. 서울: 창지사.
  15. 박슬기 (2013). 오감발달재료를 활용한 영아미술프로그램 개발 : 25-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춘화 (2008). 초등미술 교과서의 입체표현 재료에 관한 연구 : -3,4,5,6학년 교과서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희정 (2000). 미술요소에 기초한 이야기나누기 경험이 유아의 만들기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미영 (2004). 명화변형활동을 통한 조형요소와 원리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원영, 임경애, 김정미, 강유진 (2015). 유아미술교육. 서울: 학지사.
  20. 이정환 (1995). 유아미술교육의 통합적 과정. 서울: 창지사.
  21. 이주연, 김현정, 박은덕 (2006). 미술과 교육내용체계화를 위한 학교급별 미술용어 분석 연구 결과보고서. 한국연구재단.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35202&res=y.에서 2018년 5월 30일 인출
  22. 이진희, 임진형 (2016).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2세 영아보육프로그램의 미술 관련 활동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6(2), 155-175. doi:10.21213/kjcec.2016.16.2.155
  23. 정미경 (1999). 미적 요소에 기초한 활동중심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표현 능력 및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조나라 (2015). 조형원리를 활용한 창의적인 미술 표현 프로그램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최영란 (2016). 미술요소에 기초한 자연친화 활동이 유아의 미술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Lasky, L., & Mukerji, R. (1990). Art basic for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EYC.
  27. Lewenfeld, V., & Brittain, W. L. (1975). Creative and mental growth(6th ed). NY: Macmillan.
  28. Schirrmacher, R. (200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4th ed.). Albany, NY: Thomson Delmar Learning.
  29. Schirrmacher, R., & Fox, J. E. (2009). Art &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6th ed.). Clifton Park, NY: Thomson Delmar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