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마지순 (원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안라리 (광양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선애 (김포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6.14
  • Accepted : 2018.08.01
  • Published : 2018.08.29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on job performance. Methods: The subjects were 380 teachers employed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happiness, social support and job performa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job perform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happiness. The highest correlation sub-variable was purpose in life. Next were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and autonomy. And the last w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eachers' job perform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social support. The highest correlation sub-variable was evaluative support. Next were affective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nd the last was informative support. Second, teachers'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ed job performance. Evaluative support, which was a sub-variable of social support,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personal growth, purpose in life, and self-acceptance, which were sub-variables of happin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eacher's happiness and social support were important factors for teachers job performance.

Keywords

References

  1.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권상철 (1991).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권화숙 (2012).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57-174.
  4. 김경의, 정영실, 이선경 (2014).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3), 323-341.
  5. 김동춘 (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보경, 이경님 (2016).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5(1), 109-133.
  7. 김선희, 신재흡 (2010).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화 지향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4(3), 197-223.
  8. 김수연 (2012). 유아의 정서조절 전략 관련 변인들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세기 (1984). 학교 조직건강과 교사의 직무만족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아령 (2015).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민감성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영희, 안효진 (2016). 유아교사의 행복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8(4), 235-250.
  12. 김재덕 (2006). 학교상황에 따라 학교장의 도덕적 지도성이 학교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김창걸 (1983). 교장의 지도성 행위 상황 및 조직효과성간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마지순, 안라리, 강영식 (2016). 교사리더십이 유아교사의 조직 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240-245. doi:10.5762/KAIS.2016.17.2.240
  15. 명준희 (2006).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민하영, 권기남 (2009).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 정서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역할갈등간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91-99.
  17. 박은주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박은주, 문태형 (2011). 유아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2), 75-98. doi:10.18023/kjece.2011.31.2.004
  1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방경선 (2013).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배성희 (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22. 송진숙, 김규수, 송진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5, 105-123.
  23. 신미정 (201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신원 (2006). 고등학생의 행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포부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오현숙 (2013).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 및 행복감에 따른 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교수창의성의 차이: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유영란 (2012).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유은경 (201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유효근 (2008). 감성지능이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0. 이경민, 최윤정 (2009). 유아교사의 행복, 강점, 직무만족도의 관련성 탐색 연구. 유아교육연구, 29(3), 215-235.
  31. 이경애 (2010). 유아교사의 행복과 직무관련 변인의 관계분석;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역할수행능력,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이미란 (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주영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4. 이혜숙 (2017). 긍정심리학 기반 강점 활용이 지각된 성과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5. 임영규 (2011).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보기술(IT)활용도의 매개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6.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정다우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81, 49-70.
  38. 정명자 (2016). 유아교사의 인성 및 교사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9. 정순희 (2013). 영유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정은주 (2015). 영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서울: 집문당.
  42. 조민기 (2007). 학교구성원에 대한 교사의 신뢰와 교사 헌신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44.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45. 조휘일 (1991). 한국 사회복지분야의 자원봉사 행동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18, 117-150.
  46. 진경희 (2011). 보육교사의 유머감각과 임파워먼트 및 직무성과 간의 인과모형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19-137.
  47. 최미숙 (2012). 보육교사의 업무수행에 따른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국공립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8. 하은옥, 황해익 (2003). 유아교육기관의 동료장학 실행수준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론총, 12, 99-114.
  49. 홍자영 (2015).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의 감성지능,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0. 황해익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51.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eartz, J. (2002).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1), 84-93. doi:10.1037//1076-8998.7.1.84
  52. Carpentier, J., Mageau, G.A., & Vallerand, R. J. (2011). Rumminations and flow: Why do people with a more harmonious passion experience higher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3), 501-518. doi:10.1007/s10902-011-9276-4
  53. Cherniss, C. (1980). Staff burnout: Job stress in the human servic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doi:10.1077/002248718103200418
  54.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1), 34-43. doi:10.1037//0003-066x.55.1.34
  55. Diener, E., & Biswas-Diener, R. (2008). Happiness: unlocking the mysteries of psychological wealth.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3), 234-236. https://doi.org/10.1080/17439760.2011.565605
  56. Diener, E., Sue,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y Bulletin, 125(2), 276-302. doi:10.1037//0033-2909.125.2.276
  57. DeMulder, E. K., Denham, S., Schmidt, M., & Mitchell, J. (2000). Q-sort assessment of attachment security during the preschool years: Links from home to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6(2), 274-282. doi:10.1037//0012-1649.36.2.274
  58. Frese, M. (1999).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ors and psychological dys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with objective measur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4(3), 179-192. doi:10.1037//1076-8998.4.3.179.
  59. Kinman, G., Wray, S., & Strange, C. (2011). Emotional labou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UK teachers: The role of workplace social support. Educational Psychology, 31(7), 843-856. doi:10.1080/01443410.2011.608650
  60. Ho, V. T., Wong, S., & Lee, C. H. (2009). A tale of passion: Linking job passion and cognitive engagement to employee work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8(1), 26-47. doi:10.1111/j.1467-6486.2009.00878.x
  61.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doi:10.1111/1467-8624.00164
  62.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6), 803-855. doi:10.1037/0033-2909.131.6.803
  63. Millar, K. I. (1998). The development and field-test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university, Arlington, USA.
  6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doi:10.1037//0022-3514.57.6.1069
  65. Seligman, M. E. P. (2009).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긍정심리학(김인자 옮김). 경기도: 물푸레(원판 2002).
  66. Segiovanni, T. J (1987). The principalship: A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 Newton, MA: Allyn & Bacon. doi:10.1177/019263658707150139
  67. Yee, S. Mei-Ling. (1992). Careers in the classroom: When teaching is more than a job.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100(2), 272-274. doi:10.1086/444017

Cited by

  1.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와 동료지지 매개 효과 중심으로 vol.21, pp.2, 2018,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