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 features

검색결과 1,191건 처리시간 0.023초

Monitoring moisture content of timber structures using PZT-enabled sensing and machine learning

  • Chen, Lin;Xiong, Haibei;He, Yufeng;Li, Xiuquan;Kong, Qingzhao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9권4호
    • /
    • pp.589-598
    • /
    • 2022
  • Timber structures are susceptible to structural damages caused by variations in moisture content (MC), inducing severe durability deterioration and safety issue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detect MC levels in timber structures. Compared to current methods for timber MC detection, which are time-consuming and require bulky equipment deployment, Lead Zirconate Titanate (PZT)-enabled stress wave sensing combined with statistic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proposed in this paper show the advantage of the portable device and ease of operation. First, stress wave signals from different MC cases are excited and received by PZT sensors through active sensing. Subsequently, two non-baseline features are extracted from these stress wave signals. Finally, these features are fed to a statistic machine learning classifier (i.e., naïve Bayesian classification) to achieve MC detection of timber structures. Numerical simulations validate the feasibility of PZT-enabled sensing to perceive MC variations. Tests referring to five MC case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Results present high accuracy for timber MC detection, showing a great potential to conduct rapid and long-term monitoring of the MC level of timber structures in future field applications.

방향성 특징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Image Retrieval Using Directional Features)

  • 정호영;황환규
    • 산업기술연구
    • /
    • 제20권B호
    • /
    • pp.207-211
    • /
    • 2000
  • For efficient massive image retrieval, an image retrieval requires that several important objectives are satisfied, namely: automated extraction of features, efficient indexing and effective retrieval. In this work, we present a technique for extracting the 4-dimension directional feature. By directional detail, we imply strong directional activity in the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 present in region of the image texture. This directional information also present smoothness of region. The 4-dimension feature is only indexed in the 4-D space so that complex high-dimensional indexing can be avoided.

  • PDF

TV 시청률과 마이크로블로그 내용어와의 시간대별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Time-dependent Relation between TV Ratings and the Content of Microblogs)

  • 최준연;백혜득;최진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163-176
    • /
    • 2014
  • 소셜미디어 확산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SNS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출하며 다른 사용자들과 상호작용하고 있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는 짧은 문장을 통해 영화, TV, 사회 현상 등과 같은 공통의 주제에 대해 많은 사람이 즉각적으로 의견을 표출하고 교환하는 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TV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의견과 감정을 마이크로블로그를 통해 표출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블로그의 내용과 시청률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지난 공중파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트윗을 수집하고 부적절한 트윗들을 제거한 후 형태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추출된 형태소뿐 아니라 이모티콘, 신조어 등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단어들을 후보 자질로 삼아 시청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 2013년 1월부터 10개월간의 예능프로그램 트윗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국 시청률 데이터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트윗의 발생량은 일주일 중 방송된 요일에 가장 많았으며, 특히 방송시간 부근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것은 전국에 동시간에 방송되는 공중파 프로그램의 특성상 공통된 관심 주제를 제공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횟수 기반 자질로 방송 일의 총 트윗 수와 리트윗 수, 방송시간 중의 트윗 수와 리트윗 수와 시청률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으나 모두 낮은 상관 계수를 나타냈다. 이것은 단순한 트윗 발생 빈도는 방송 프로그램의 만족도 또는 시청률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내용 기반 자질로 추출한 단어들 중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단어들이 발견되었으며, 표준어가 아닌 이모티콘과 신조어 중에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자질이 나타났다. 또한 방송시작 전과 후에 따라 상관계수가 높은 단어가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매주 같은 시간에 방송되는 TV 프로그램의 특성상, 방송을 기다리고 기대하는 내용의 트윗과 방송 후 소감을 표현하는 트윗의 내용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단어에 따라 시청률과 연관성이 높은 시간대가 달라짐을 의미하며, 시청률을 측정하고자 할 때 각 단어들의 시간대를 고려해서 사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표본 추출을 통해 이루어지는 TV 시청률 측정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 검출을 위한 특징 추출 (Feature Extraction to Detect Hoax Articles)

  • 허성완;손경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11호
    • /
    • pp.1210-1215
    • /
    • 2016
  • 스마트 기기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 신문기사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 언론사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조회수를 올리기 위한 낚시성 기사가 범람하고 있다. 낚시성 신문기사는 제목을 통해 올바른 기사의 줄거리가 제공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잘못된 내용을 떠올리게 한다. 낚시성 신문기사는 핵심에서 벗어난 유명인사 인용, 애매한 문장의 마무리, 제목과 내용의 불일치 등의 특징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낚시성 기사를 분류하기 위한 특징을 추출하고 성능을 검증해 본다. 기사에 달린 댓글의 키워드를 활용하여 대용량 학습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섯 가지 분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들은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를 이용한 실험에서 92%의 정확도를 보여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를 분류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제목과 본문의 일관성을 측정하기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고안한 선택적 바이그램 모델은 낚시성 인터넷 신문기사 분류 외에도 일반적인 단문 분석을 위한 전처리 방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BF 신경망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RBF Neural Network)

  • 이형구;유석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3호
    • /
    • pp.145-155
    • /
    • 2002
  • 내용 기반 영상 검색에서 대부분의 기존 방법들은 서로 다른 특징들 사이의 선형 관계를 가정하고 또 사용자가 직접 각 특징의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한다 허나 특징들 사이의 관계가 선형적으로 가정된 하에서는 고차원의 개념과 인간의 지각 주관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에 기반한 영상 검색 모델이 제안된다. 이는 RBFN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기법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접근 방법을 기반으로 구축되었다. RBFN을 이용하여 특징들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를 추출해낼 수 있고 사용자가 처음에 질의 영상을 선택하고 관련성 피드백을 통하여 점차적으로 목표 영상을 찾아나가도록 함으로써 영상의 비교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실험은 145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며 1,015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타베이스를 사용하여 재생과 정도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의 재생과 정도가 각각 93.45%과 80.61%로서, 기존의 선형 결합 방법이나 순위 기반 방법 그리고 역전파 알고리즘에 기반한 방법보다 더 뛰어난 검색 성능을 지님을 보여준다.

내용기반 음악장르 검색에서 시계열 패턴 인덱스 화일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Time-series Pattern Index File for Content-based Music Genre Retrieval)

  • 김영인;김선종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27
    • /
    • 2006
  • 음악 데이타의 양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음악 데이타베이스의 오디오 특정을 이용한 내용기 반 음악 장르의 효율적인 유사도 검색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시계열 패턴인 오디오 특징을 인덱싱 할 수 있는 인덱싱 기법과 데이터마이닝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덱싱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유사 장르 음악 검색 시스템의 개발에 대하여 논의한다. 먼저, 시계열 패턴 인덱싱 기법과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내용기반 음악장르 검색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오디오 특정을 이용한 유사 장르 검색의 성능을 보이기 위하여 시계열 패턴 인덱스 화일을 구축하고 성능 분석 을 제시한다. 실제 데이타의 특정값을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특징벡터의 차원축약 기법을 이용한 2단계 내용기반 이미지검색 시스템 (Two-stag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the Dimensionality Condensation of Feature Vector)

  • 조정원;최병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7C호
    • /
    • pp.719-725
    • /
    • 2003
  • 내용기반 이미지검색 시스템에서는 색인과정으로 색상, 형태 및 질감 등의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전체 검색 시스템 내에서 탐색이라 함은 특징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질의이미지와 유사한 특징정보를 갖는 이미지를 찾아나가는 부분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이미지검색 시스템에서의 새로운 2단계 탐색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질의를 입력한 후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반응시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사도 비교시간인 탐색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Cauchy-Schwartz 부등식의 특성을 이용하여 미리 특징벡터의 차원을 축약하여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여 검색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검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해 차원축약 기법을 이용하는 2단계 검색방법으로 기존 상세검색 방법과 비교하여, 동일한 검색 적합성을 보장하면서 대용량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월등한 탐색속도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특징벡터가 더욱 고차원화 되고 이미지의 수가 더욱 늘어날수록 효과적이었다.

판별분석을 통해 살펴본 영어 능력 수준을 구별하는 어휘의 정교화 특성 (Lexical Sophistication Features to Distinguish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Using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91-696
    • /
    • 2022
  • 본 연구는 영어 능력 수준을 구별할 수 있는 어휘적 정교화 특징이 무엇인지를 자동화된 어휘 분석 프로그램인 TAALES를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300명의 한국 대학생이 쓴 총 600개의 에세이가 ICNALE 코퍼스에서 추출되었고 SPSS 프로그램의 판별 분석이 수행되었다. 판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을 상. 중. 하의 세 개의 영어 능력 수준으로 유의미하게 구분하는 어휘 특성은 SUBTLEXUS 코퍼스의 내용어 빈도, 내용어의 어휘 습득 연령, 기능어의 어휘 결정 반응 평균 시간, 상위어 동사로 나타났다. 영어 능력 수준이 높은 상 수준 학생은 SUBTLEXUS 코퍼스에 빈번하게 나오는 어휘는 많이 사용하지 않았고, 어휘 습득 연령이 높고 어휘 결정 과업에서 평균 반응시간이 길게 나타난 정교화된 어휘와 구체적인 동사를 많이 사용한 특징이 있다.

Assessment of Questionnaire of Physical Activity at Workplace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PAWPQ-SCT): A Psychometric Study in Iranian Gas Refinery Workers

  • Kamel Ghobadi;AhmadAli Eslami;Asiyeh Pirzadeh;Seyed Mohammad Mazloomi;Fatemeh Hossein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4호
    • /
    • pp.358-367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ssess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Physical Activity at Workplace Questionnaire (PAWPQ)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SCT) to evaluate employees' physical activity (PA) behaviors at the workplace. Methods: This psychometric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455 employees working in one of the gas refineries in Iran.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2019. The data collection tools were a demographic information questionnaire, the short form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and a questionnaire developed based on the SCT, whose psychometric featur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22 and AMOS20 software. Results: The first version of PAWPQ-SCT had 74 items. After evaluating content and face validity, nine items were removed.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index (0.98), content validity ratio (0.86), and impact score (3.62) were acceptable for the whole instrument.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fter removing seven items-58-item final version of the scale-six factors could explain 73.54% of the total variance.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e acceptable fit of the model into the data (RMSEA = 0.052, CFI = 0.917, NFI = 0.878, TLI = 0.905, IFI = 0.917, CMIN/DF = 2.818).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were 0.90 and 0.86,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sychometric features of the 58-item final version of PAWPQSCT constructs were acceptable in a sample of Iranian employees. This questionnaire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to evaluate Iranian employees' PA behaviors and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workers and managers.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게임콘텐츠 전망 연구 (A Prospective Study of Game Content based on Wearable Device)

  • 백재용;장효진;김영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45-155
    • /
    • 2015
  • The game industry has changed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device technology. The wearable, a recently appeared device will create new demand in this saturated age of the smart devices. The game industry's content targeted towards the wearable devic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main driving source.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studies the development aspect and the current technical capabilities of games' platforms and contents by analyzing the contrast between the results of features and current situations of the wearable market. Consequently, we define the prospects of game content for wearable device. We also expect that the new style of the game content, combined with cloud game, augmented reality game and virtual reality game will appear in the next generation platforms gearing towards the wearabl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