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canic aspect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The volcanic aspect on determining Site of nuclear power plant in Indonesia: Gap analysis between standard and regulations

  • Widjanarko;Budi Santoso;Rismiyanto;Kurnia Anzhar;Joko Waluyo;Gustini H. Sayid;Khusnul Khotimah;Nicholas Bertony Saputra;Agus Teguh Pranoto;Hadi Suntoko;Siti Alimah;Sriyana;Roni Cahya Ciputra;Alfitri Melian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7호
    • /
    • pp.2875-2880
    • /
    • 2024
  • The development of nuclear power plants is in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a consideration before the decision on the NPP construction program is approved, the second phase is the preparatory work for making contracts and preparing for the construction of NPP after the NPP construction policy is approved, and the third phase is contracting, licensing and building the first NPP. As a volcanically active country, Indonesia contains over 130 active volcanoes that are part of the Pacific Ring of Fire. The volcanic aspect is one of the safety factors considered while deciding the location of an NPP. Research on the potential of natural external risks to the determin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n Indonesia, including the volcanic aspect,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safety reference or safety guide of the IAEA and the Nuclear Energy Regulatory Body (BAPETEN) Regulation.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safety needs have evolved so the existing Indonesia National Standard (SNI) must be updated to comply with BAPETEN regulations. The substance in SNI 18-2034-1990 relating to volcanic features seems less relevant in actual conditions, given that more complete and exact criteria for determining a site guarantee the safety and health of residents and surrounding the environment site. The study intends to conduct a gap analysis of volcanic issues in SNI and volcanic regulations. The method used is identification requirements for volcanic aspects in SNI 18-2034-1990 about Determining Site of Nuclear Reactor Guidance with BAPETEN Chairman Regulation (BCR) number 4 of 2018 about Nuclear Installation Site Evaluation Safety Provisions and BCR number 5 of 2015 about Evaluation of Nuclear Installation Sites for Volcanic Aspects, and analysis uses a qualitative method of inductive technique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applies to suggesting a revision of SNI number 18-2034-1990, especially the volcanic aspect.

강원도 고성-간성일대의 신생대 화산체의 형성과정 (The Formation of the Cenozoic Volcanic Edifice in the Goseong-Ganseong Area, Gangwondo, Korea)

  • 김화성;길영우;이문원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627-636
    • /
    • 2012
  • 강원도 고성군 오봉리에는 6개의 화산체(뒤배재, 오음산, 갈미봉, 249 m 고지, 166 m 고지, 102 m 고지)가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고성산 화산체와 운봉산 화산체가 단독으로 멀리 떨어져 있다. 오봉리의 249 m 고지 화산체는 이 연구에서 새롭게 발견된 것이며, 오봉리에 분포하는 6개의 화산체들을 오봉리 화산체군이라 명명한다. 이 지역 화산체는 여러 연구자에 따라 화산전, 플러그 돔, 원통형 화산통 등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는 화산체의 형태, 화산분출물의 층서 및 특징을 바탕으로 화산활동 양상과 화산체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이 지역의 모든 화산체는 중생대 화강암 위에 현무암류가 분포하고, 기반암에서 상부로 갈수록 산사면의 경사도가 증가하는 돔 형태이다. 특히 3개의 화산체(뒤배재, 166 m 고지, 102 m 고지)에서는 현무암과 기반암 사이에 화성쇄설층이 발견된다. 뒤배재 화산체의 화성쇄설층에서는 기반암 기원으로 추정되는 석영, 장석 및 화강암편과 화산분출물인 스코리아 암편이 분포한다. 그리고 모든 화산체의 현무암내에는 맨틀포획암과 기반암인 화강암류와 하부지각 기원의 반려암류의 포획암을 함유한다. 또한 각진 형태의 감람석, 사장석, 휘석 등의 포획광물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마그마가 지표로 빠르게 상승하였고, 화산활동이 폭발적이었음을 지시한다. 또한 현무암내의 다량의 포획광물 등은 현무암질 마그마의 점성을 증가시켜 돔형의 화산체를 형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화산체가 오랜 시간 동안의 삭박작용을 거쳐 원지형이 파괴되면서, 돔의 심부가 기반암 위에 플러그 돔으로 남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Applied to Geological Survey using the Landsat TM Satellite Image of the Tanggung Area of Southern Part of the Bandung, Indonesia

  • Kim, I. J.;Lee, S.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35-13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is the applied to geology using the Landsat TM satellite image of the Tanggung area of southern part of the Bandung, Indonesia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geological survey. For this, topography, geology and satellite image were constructed to spatial database. Digital elevation, slope, aspect, curvature, hill shade of topography were calculated from the topographic database and lithology was imported from the geological database. Lineament, lineament density, and NDVI were extracted the Landsat TM satellite image. The results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eology and terrain and satellite image. Each sedimentary rock seldom corresponds with geology and analyses of topography but as a whole for sedimentary rocks coincide with them. Tuff and volcanic breccia in the volcanic rocks correspond with the result of terrain analyses. Talus deposits is well matched with the analyses of opography/satellite image.

  • PDF

인도네시아 반둥 남부 지역에서의 지형/위성영상 분석결과와 지질과의 상관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errain/satellite image and geology of the southern part of the Bandung, Indonesia)

  • 김인준;이사로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2호
    • /
    • pp.133-1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도네시아 반둥 남부지역에 대하여 지질조사 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형 및 위성영상 분석결과와 지질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 지질 및 위성영상에 대한 공간 DB를 구축하였고, 지형자료로부터 지형, 고도분포도, 경사도, 경사방향도, 곡률도 및 음영기복도를, 위성영상으로부터 선구조, 선구조 밀도 및 식생지수를 추출하여 공간 DB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공간 DB와 지질과의 상관성 분석 결과 본 연구지역에서 는 지질 분포가 지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퇴적암층들은 지형분석과 지질과의 관계를 볼 때 각 층에 대하여서는 일치하지 않으나 전체적으로 놓고 볼 때는 매우 잘 일치함을 볼 수 있다. 화산암층에서는 응회암층과 화산각력암층이 지형분석결과와 잘 일치됨을 볼 수 있다. 테일러스층은 지형 및 위성영상 분석과 매우 잘 일치함을 나타내고 있다.

옥천지향사대(沃川地向斜帶) 동남대(東南帶)에서의 화성활동(火成活動)(III)(나주(羅州)-남창지역(南倉地域)을 중심(中心)으로) (The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in the Southeastern Zone(SE-zone) of the Ogcheon Geosynclinal Belt,Korea(III) (with the Igneous Activity between Naju and Namchang Area))

  • 김용준;박영석;주승환;오민수;박재봉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61-276
    • /
    • 1991
  • The main aspect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igneous activity of igneous rocks, which is a member of various intrusives and volcanics exposed in Naju-Namchang area of southern central zone of Ogcheon Geosynclinal Belt, southern part of Youngdong-Kwangju depression zone of tectonic provinces in Korea. Naju-Namchang area are subdivided into three rock belts based on occuring of Cretaceous granites. Three rock belts consist of foliated granites, Jurassic granites and Cretaceous granites in central granitic rock belt (C-C), and acidic tuff and lavas in northwest volcanic rock belt(C-NW) and southeast volcanic rock belt(C-SE). Chemical composition of these igneous rocks show mostly similar trend to the Daly's values on Harker diagram and correspond to VAG + Syn-COLG region on Pearce's discrimination diagram. These igneous rocks vary wide range in total REE amount(37.4-221.3ppm) characterized by enriched LREE content and steep negative slope in Eu(-) anomaly. It is concluded each synchronous granites which composed of serveral rock facies is considered to formed by differentiation of co-magma at continental margin, and igneous activity of study area are two more Pre-Cambrian Orogenies, Songrim Disturbance, Daebo Orogeny and Bulkuksa Disturbance.

  • PDF

GIS를 이용한 거제도 지형 및 하계 분석 (Landform and Drainage Analysis in Geoje-Do Using GIS)

  • 김우관;임용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35
    • /
    • 1997
  • 본 연구는 최근 지리학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GIS를 지형분석에 적응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남해안에 위치하는 거제도를 해상으로 지형 및 하계망의 특성 및 지질과 지형, 지질과 하계망, 지형과 하계망과의 관련성을 GI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으로 상용 Data인 DTED와 지형도상의 Data를 같이 사용하고 이를 비교하여 봄으로써 장차 지형분석에 GIS의 이용 가능성과 DTED를 이용한 지형 및 하계분석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거제도의 자연 환경을 지형도 Data와 DTED를 이용 GIS Tool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 결과 GIS Tool로 지형분석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GIS자체가 지형분석을 위해 만들어진 Tool이 아니기 때문에 방법상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지형도상의 Data와 DTED의 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 DTED가 지형도 Data에 비해 정밀도가 떨어지고 좌표상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가 있기는 하나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DTED가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GIS 기반 우도비를 이용한 호남지역 암괴류와 애추지형의 분포 특성 분석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lock Stream and Talus Landform by Using GIS-based Likelihood Ratio in the Honam Region)

  • 장동호;김찬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4
    • /
    • 201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properties of the locational environment for each debris type by calculating likelihood ratio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s for each type of debris landform. A total of 8 thematic maps, like as elevation, slope, aspect, curvature, topographic wetness index (TWI), soil drainage, geology, and landcover including with GIS spatial information generally used in this type of debris landfor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lock stream had a high likelihood ratio compared to talus in area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concerning slope, the block stream had a high likelihood ratio in a relatively low region than talus. Concerning aspect, a clear correlation could not be analyzed for each debristype, and concerning curvature,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developed slope on the more concave valley than the talus. Analysis concerning TWI,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higher likelihood ratio in wider sections than talus, and concerning soil drainage, the talus and block stream both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regions with well-drained soil. The talus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the order of metamorphic rocks, sedimentary rocks, and granite, while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the order of volcanic rocks, granite, and sedimentary rocks. In addition, concerning landcover, the likelihood ratio had the most concentrated distributed compared to natural bare land only concerning talus. Based on the likelihood ratio resul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xtracting the possible areas of distribution for each debris type through the GIS spatial integration method.

지진해일 중 해안안벽 주변의 부유체 거동에 관한 2차원 입자법 시뮬레이션 (Two-Dimensional Particle Simulation for Behaviors of Floating Body near Quaywall during Tsunami)

  • 박지인;박종천;황성철;허재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2-19
    • /
    • 2014
  • Tsunamis are ocean waves generated by movements of the Earth's crust. Several geophysical events can lead to this kind of catastrophe: earthquakes, landslides, volcanic eruptions, and other mechanisms such as underwater explosions. Most of the damage associated with tsunamis are related to their run-up onto the shoreline. Therefore, effectively predicting the run-up process is an important aspect of any seismic sea wave mitigation effort. In this paper,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behaviors of a floating body near a quaywall during a tsunami is conducted by using a particle method. First, a solitary wave traveling over shallow water with a slope is numerically simulat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s and other numerical results. Then, the behaviors of floating bodies with different drafts are investigated numerically.

제주도 북서부 지역 화산암체의 지질공학 특성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Northwestern Cheju Island, Korea)

  • 김영기;최옥곤
    • 지질공학
    • /
    • 제1권1호
    • /
    • pp.19-37
    • /
    • 1991
  • 제주도 북서부 지역의 지질은 제4기 플라이스토세에서 홀로세에 형성된 현무암류의 용암체와, 해안변을 따라 분포하는 화산쇄층성 집적층인 성산층, 그리고 기생화산(cindercone)이 30 여개나 분포하고 있다. 이 현무암류(표선리 및 시흥리 현무암 등)들은 주상절리가 심히 발달하고, 다량의 기공을 형성하고 있다. 이 용암들 사이에는 용암공동(lavacave)이 발달하고 있으며, 용암공동에는 화산쇄층물 및 점토층이 협재되어 있다. 내재물들이 지하수에 의해 유거되면, 주상절리가 발달된 이 용암체는 부식, 함역 및 침하를 일으킨다. 특히 이들 용암체의 기공상(크기, 모양, 방향성)은 암체의 공학적 성질(암석의 강도 등)을 좌우하게 된다. 이 기공상은 본 현무암체의 피상강도지배요소가 되어, 이 암체에 대한 유효강도비(Ke, Ke=0.30-0.72)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Ke값이 적을수록 낮은 내부응력을 의미한다. 본역에서는 저위지편보다 고위지편일수록 암체강도가 낮은 성향을 보인다. 또한 피상강도각($\phi$)은 $\phi$=30$^{\circ}$-$10^{\circ}$의 범위로서, 본 화산암체는 대체로 낮은 피상강도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암체의 피상 극한한계치인 0.33을 기준으로 할 때, 거의 대부분이 Ke>0.33이 되어 지질공학적 불안정영역에 속하는 암체라 할 수 있다.

  • PDF

남한지역 지질특성과 지열류량의 상호 관련성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eat Flow Relationship in South Korea)

  • 김형찬;이사로;송무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4호
    • /
    • pp.391-40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남한의 지열류량 총 247개 자료와 지질 및 지질시대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지열류량 공간 DB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1:1,000,000지질도 공간 DB와 GIS를 이용하여 교차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한의 평균 지열류량은 64$\pm$14mW$m^{-2}$의 값을 보였다. 암석의 종류별 비교에서는 퇴적암류 분포지역에서 74mW$m^{-2}$로 가장 높은 지열류량을 보였으며, 변성암류 분포지역에서 약간 낮은 61 mWm$^{-2}$ 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화산퇴적암류나 심성암류 분포지역에서는 각각 62, 63mW$m^{-2}$의 지열류량을 보였다. 지질시대별 지층과 지열류량간에서의 관계에서는 가장 신기에 속하는 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에서 가장 높은 91mW$m^{-2}$의 지열류량값을 보였으며, 중생대, 고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65mW$m^{-2}$이며, 고기인 원생대, 시생대 지층이 분포하는 지역이 각각 55, 61mW$m^{-2}$로 가장 낮은 지열류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