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 resin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8초

집성재(集成材)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국내산(國內産) 주요수종(主要樹種) 집성재(集成材)의 접착성능(接着性能)- (Studies on Laminated Wood(4) -Gluing faculties of laminated wood made of important species in our country-)

  • 김수창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1-1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종비나무(Picea Koraiensis Nakai) 두 수종(樹種)의 침엽수(針葉樹)와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ey),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 Linne) 및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er) 등(等) 3수종(樹種)의 활엽수(闊葉樹)를 선정(選定)하여 Urea formaldehyde resin, Melamine formaldehyde resin 및 Urea-melamine formaldehyde resin 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제재판(製材板)에 일면도포(一面塗布)로 $200g/m^2$ 하고 압체압력(壓締壓力)은 $10kg/cm^2$, 상온(常溫)에서 48시간(時間) 압체(壓締)하여 전단강도(剪斷强度) 및 목파율(木破率), 인장강도(引張强度), 휨강도(强度)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접착성능(接着性能)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접착제별(接着劑別)의 차이(差異)는 없으나 각(各) 수종별(樹種別)의 차이(差異)는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목파율(木破率)은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관계(關係)없이 종비나무재(材)가 크게 나타난 것은 목재강도(木材强度) 보다 접착력(接着力)이 좋은 것이다. 3. 인장강도(引張强度)는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무관계(無關係)하며 잣나무재(材)만 최소치(最少値)로 나타났다. 4. 휨강도(强度)는 활엽수(闊葉樹)인 아카시아재(材)가 현저(顯著)하게 크게 나타났다.

  • PDF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합판(合板)의 토란증량(土卵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aro Extension of UF and PF Resin Bonding Plywoods)

  • 이필우;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제조시(合板製造時) 증량제(增量劑)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소맥분(小麥粉)을 토란(土卵)으로 대체(代替)하기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糾明)하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토란(土卵)과 소맥분(小麥粉)은 건조기내(乾燥器內)에서 전건상태(全乾狀態)로 건조(乾燥)시킨 후(後) 실험용(實驗用) 분쇄기(粉碎機)로 80~100 mesh로 분말화(粉末化)하여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다. 합판제조(合板製造)에는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하였으며 각수지(各樹脂)에 증량재료(增量材料)를 10, 20, 30, 50%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어진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모든 증량비율(增量比率)에서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을 훨씬 능가(能加)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란(土卵)은 소맥분(小麥粉)을 대체(代替)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다. 2)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분(小麥粉)이 토란(土卵)보다 높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의 경우 30%와 50%의 증량(增量)에서는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보다 좋은 접착력(接着力)을 보였다.

  • PDF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배합비율의 영향 및 휨 진동법에 의한 정적 휨 강도성능 예측 (Effect of Green Tea Content on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Green Tea and Wood Fibers, and Prediction of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by Flexural Vibration Test)

  • 박한민;이수경;석지훈;최남경;권창배;허황선;변희섭;양재경;김종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6호
    • /
    • pp.538-54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녹차와 목재섬유를 복합한 친환경 복합보드를 건축내장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목재섬유에 대한 녹차의 배합비율을 달리한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를 제작하였고, 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에 미치는 녹차의 배합비율 및 바인더로 사용한 접착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은 녹차를 넣지 않은 대조보드(control boards)의 그것보다 적었고, 녹차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보드제조에 사용된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동적탄성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E_1$급의 요소수지가 $E_0$급의 요소수지보다 1.06~1.54배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녹차의 배합비율이 커질수록 양자의 차이는 커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녹차-목재섬유복합보드의 동적탄성률과 휨 강도성능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일부 편차가 큰 조건을 제외하고 동적탄성률로부터 정적 휨 강도성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Formaldehyde Release from Medium Density Fiberboard in Simulated Landfills for Recycling

  • Lee, Min;Prewitt, Lynn;Mun, Sung Ph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97-604
    • /
    • 2014
  • Laboratory-scale landfills (simulated landfill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formaldehyde released into air and leachate from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Simulated landfills were constructed using cylindrical plastic containers containing alternating layers of soil and MDF for a total of five layer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was found in the air and leachate from the MDF only treatment compared to treatments containing MDF and soil. At the end of the study (28 days), formaldehyde concentrations in air and leachate from treatments containing MDF and soil decreased by 70 percent and 99 percent, respectively, while the treatment containing MDF only still released formaldehyde into the air and leachate. Therefore, waste MDF after storing 4 weeks in water may be recycled as compost or mulch based on formaldehyde leaching. Also, these data indicate soil restricts formaldehyde release into air and leachate and provides new information about the fate of wood-based composite waste containing UF resin disposed in landfills.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초속경 분사시공 도막 방수재료의 내화학 특성 분석 -폴리우레아, 폴리우레탄·우레아, 폴리우레탄 수지계 방수재료를 중심으로- (Chemically Resistant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Liquid-Applied Membrane Waterproofing Materials of Rapid Hardening Spray Type Applied on the Concrete Structure)

  • 김윤호;최은규;박진상;김수연;송제영;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68-169
    • /
    • 2013
  • In this study, the chemical resistance of polyurea resin waterproofing and anti-corrosion materials that is applied to the social infrastructure was analyzed. The result in this study will be utilizing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quality standards which are able to judge the chemically resistant characteristic of polyurea resin waterproofing and anti-corrosion materials.

  • PDF

폴리우레아 도자기 복원 재료의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y-Urea for Porcelain Restoration)

  • 한원식;위광철;오승준;이영훈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9
    • /
    • 2018
  • 도자기 복원을 위한 폴리우레아를 합성하여 메움제로 제조한 후 이를 도자기 보존 처리과정에 필요한 성형에 적용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아는 이액 반응형 경화 재료로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없고 무황변 소재로 제조되었다. $180kg/cm^2$의 접착 강도와 $200kg/cm^2$의 전단 강도를 비교하여 볼 때, 기존의 시판 에폭시 퍼티의 수준으로 제조되었으며, 구조상 유사 형태인 우레탄 복원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기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경화 시간과 가사 시간도 첨가되는 반응 촉매의 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었다. 현대 유물 복원에 사용된 조성의 폴리우레아의 경우 가사 시간 약 1 시간, 완전 경화 시간 ($T_{90}$) 12 시간 정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2{\times}2{\times}2cm$ 크기의 시편을 xylene에 첨가하였을 때 약 2 시간 후에서부터 분리가 시작되어 24 시간 후에는 용액 내에서 완전 분말화가 이루어져서 가역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를 직접 현대 유물에 적용하여 복원 가능성과 편리성, 채색성 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옥촉서간(玉蜀黍幹), 송수피(松樹皮), 소맥(小麥), 리기다송엽(松葉), 잣나무엽(葉) 및 목분말(木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合板)의 접착증량(接着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Utilization of Corn Stalk, Pine Bark, Pine Leaves, Wheat and Wood Flour as an Extender for Plywood Bonding)

  • 이필우;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1-50
    • /
    • 1981
  • 본연구(本硏究)의 목적(目的)은 현재(現在) 증량제(增量剤)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인소맥분(導人小麥粉)을 국내(国內)에서 값싸게 생산(生産)할 수 있는 다른 증량제(增量剤)로 대체(代替)키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하는데 있다. 증량재료(増量材料)는 옥촉서간(玉蜀黍幹), 송수피(松樹皮), 소맥(小麥), 리기다송엽(松葉), 잣나무엽(葉) 및 목분말(木粉末)을 택(択)해서 $103{\pm}2^{\circ}C$에서 24시간(時間)동안 전건(全乾)시킨 다음 60~100mesh로 분쇄(粉碎)하였다. 증량방법(増量方法)에 있어서 요소수지(尿素樹脂)는 10, 20, 30, 50%로 증량(増量)하였으며 수용성석탄산수지(水溶性石炭酸樹脂)는 5, 10, 15, 20%로 증량(増量)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에 있어서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2. 요소수지(尿素樹脂)에 있어서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10%와 20%증량(増量)의 경우 소맥분(小麥粉)보다 목분(木粉)이 더 양호(良好)하였으나 이들 사이의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는 없었다. 3.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에 있어서 5%증량((増量)의 경우 잣나무엽분(葉粉)이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나 10, 15, 20% 증량((増量)의 경우는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에 있어서는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5.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에 있어서 15와 20%증량((増量)의 경우 옥촉서간(玉蜀黍幹)이 소맥분(小麥粉) 다음으로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 PDF

제지 슬러지 - 합성 섬유 - 목섬유 복합재의 개발 (A Study On Paper Sludge - Synthetic Fiber - Wood Fiber Composites)

  • 이필우;이영규;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2
  • 제지 공정중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중의 하나로써 목질보드 원료 대체 재료로써의 그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지 슬러지, 합성 섬유, 목섬유의 혼합비를 각각 5:5:90, 15:15:70, 25:25:50으로 PMDI와 요소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목표비중 0.7, 0.8, 0.9인 복합재를 제작하여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제지 슬러지와 합성 섬유를 30%~50%를 혼합하여 복합재를 제조하여도 기존의 보드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Phenol-Formaldehyde (PF) Resin Bonded Medium Density Fiberboard

  • Park, Byung-Dae;Riedl, Bernard;Park,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64-71
    • /
    • 1999
  • 본 연구는 통상적으로 충밀도 섬유판 제조에 사용되고있는 요소수지를 페놀수지로 대체함으로써 그 장단점을 찾아 보기 위해 실행되었다. 페놀수지을 이용해 제조한 중밀도 섬유판의 성능은 표준 요건을 충족시켰으며 높은 내구성을 보였다. 아울러 24 시간 냉수 침적후 두께팽창은 2 퍼센트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요소수지를 페놀수지로 대체했을 경우 단점들은 비교적 높은 수지함량 (8% 섬유전건종량기준)과 긴 열압시간 (7 분)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페놀수지을 사용한 중밀도 섬유판제조시 열압공정의 최적화가 되어야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