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NS counsel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1초

코로나19로 인한 지도교수의 비대면 상담 사례 연구 - 포토보이스 기법을 활용한 SNS 상담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culty Advisor's non Face-to-face Counseling during Coronavirus Incubation Period - SNS Counseling Applied Photovoice-)

  • 곽현주;고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2-209
    • /
    • 2020
  • 코로나19로 인해 일반대학에서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어 상담도 비대면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생각과 경험을 잘 표현하는 사진과 찍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정리하는 포토보이스 방법과 SNS 소통 방법을 혼합한 상담을 시행한 사례 분석으로 비대면 교육상황에서 지도교수의 상담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SNS 상담을 수도권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10명을 대상으로 6회기 상담 및 FGI를 실시하였다. 학생의 상담에 대한 인식과 상담내용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포토보이스 기법을 적용한 SNS 상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비대면 일상과 학업에 대해 점차 적응하고 긍정적 측면을 평가하였으나, 진로 및 취업에서는 두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한 비대면 상담 전략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대학생들의 SNS 이용동기, 대인관계지향성이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SNS(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Proneness Addition tendencies)

  • 박종순;이종만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5-16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usage motivation of S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MSNS) addi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including MSNS addition Proneness scale, usage motivation of SNS scal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cale were administered to 250 college students in Seou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The Usage motivation of SNS showed influences of MSNS addiction prone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ientation showed partial influence MSNS addiction pronen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level of MSNS addiction tendencies needs to be considered for counseling with used of SNS motives. This study findings would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SNS addiction and improvement program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llege students. Futhermore, exploration of various ways to satisfy motiv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 would be helpful to reduce SNS addiction tendenc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of finding,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외로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Loneliness)

  • 고민정;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00-310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SNS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 관계를 살펴보고, 남녀중학생의 외로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지역 중학교의 남녀청소년 259명을 대상으로(남학생 134명, 여학생 125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가 남녀중학생 모두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에게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사회적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support on cyber violence in college students)

  • 정은영;유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07-415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NS 중독 경향성은 평균 $1.81{\pm}0.55$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평균 $4.00{\pm}0.78$으로 높은 수준이며, 사이버폭력에서는 평균 $1.38{\pm}0.59$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 경향성 및 SNS 게시 빈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와 학년에서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중독 경향성이 증가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감소할수록 사이버폭력이 증가하였고, 1학년에 비하여 2학년, 3학년에서 사이버폭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대학생에 알맞은 사이버 사용 교육 및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하며 자기 통제력을 길러 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사회적 배제감의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The mediation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 이성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21-30
    • /
    • 2023
  • 본 논문은 사회적 배제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때 정서조절곤란이 매개변인으로 기능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298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반적 사회적 배제감은 정서조절곤란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배제감의 하위 차원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후 정서조절곤란을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았다. 무시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부분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거절 경험은 정서조절경험을 완전히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배제감을 설정할 때 전반적인 요인으로 설정하는 것뿐 아니라 개별적인 요인으로 나누어서 접근하는 것도 의미가 있음을 말해준다.

SNS 이용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차이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Impulsivity depending on Hours Spent on SNS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소영;전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607-7616
    • /
    • 2015
  • 본 연구는 청소년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시간에 따른 우울 및 충동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3년 12월 27일부터 2014년 1월 3일까지 수집된 '2014년 청소년 전자기기 과몰입 실태와 예방방안' 연구 설문 중 서울지역 중 고등학생 1,008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 중 SNS 이용시간 상위 33%(N=364)와 하위 33%(N=319)의 자료를 추출하여 두 집단을 구성하였고, 성별을 통제한 후 두 집단의 우울 및 충동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Mplus 7.31 프로그램을 사용해 최대우도법 추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SNS 이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우울 및 충동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 우울과 충동성에 성별이 미치는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수준은 SNS 이용시간 하위집단 보다 SNS 이용시간 상위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SNS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학습태도에 관한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Undergraduates'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 백유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31-2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line through scatter diagram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learning attitudes, figure out the knee point influencing learning attitudes negatively in detail, and examine influence among subareas. To address the goal, study questions ar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this author did screening on the data of variables measured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Second, this researcher produced the trend line by drawing a scatter diagram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ies, withdrawal symptom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learning attitudes exploratorily. Third, to explore correlation between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the sub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ies, this author drew a scatter diagram and analyzed the threshold of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the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and learning attitude scale were applied to 30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their learning attitudes are influenced by SNS addiction tendencie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and they are not influenced by withdrawal symptoms that much. Second, excessive communication, a factor of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self-evaluation and developmental attitudes, factors of learning attitudes, show positive correlation to some extent and indicate negative correlation after the threshold. However, excessive communication and learning participation are found to show no correl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rrelation with learning attitudes by dividing them into excessive communication and excessive time wasting groups with the knee point of 1.40, as the symptom of excessive communication is found more, it influences self-evaluation, learning participation, developmental attitudes, and learning attitudes more negatively in general.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oundational material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undergraduates' excessive SNS use and SNS addiction which can be used in the scenes of counseling or education.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 권여은;이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5권2호
    • /
    • pp.17-29
    • /
    • 201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ove variables. 567 students who were registered in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D city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contro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research model (complete mediating effect) and the competing model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bootstrappin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with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hile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did not directly have an effect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e self-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the research model was selected as a final model which impli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rd,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high school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rather than a direct effect through self-control on high school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SNS addiction tendency rate of high school student can be lowered, by mediating self-contro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licit points on counseling methods to remedy self-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shortcomings and limits of this study and advice for follow-up studies all be discussed.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mily Strength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 강우정;박정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4호
    • /
    • pp.19-33
    • /
    • 2023
  •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8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살펴보면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별, 가족과의 연락 빈도,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 가족건강성 중 질적 유대감, 자아탄력성 중 통제성이 유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Peer Attachment on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Missing Out)

  • 한다정;김빛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43-261
    • /
    • 2020
  •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 두려워 남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하고 싶은 욕구를 의미하며, 특히 소셜미디어 분야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 중독과 밀접한 변인으로 조명되어 왔으나, 어떤 경로를 거쳐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청소년의 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517명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관련 척도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부모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및 또래와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며, 또래애착의 경우 이러한 관계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