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 요인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노인의 옥외환경 이용에 대한 Push and Pull 요인 연구 - 전주시 도시재생 테스트베드 사업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sh and Pul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utdoor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 Focus on the Case of Testbed in Jeonju)

  • 안소미;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141-150
    • /
    • 2013
  • As longevity of human-beings is extended and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increases, diverse issues related with the aged people are presented. The neighborhood space for the aged people is required to be designed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of such difficulties of the elderly and the public outdoor environment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resource that can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in underprivileged area without burdening them economically.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in underprivileged urban area and their utilization styles of outdoor environments in order to find out the push factors and pull factors that induce the aged people to use the outdoor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an interview survey upon 69 elderly residents and surveyed on 363 elderly residents of low income class who are aged 60 and over and living in decaying area in Jeonju.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analysis were accomplished. As results of study, the elderly in underprivileged area use such outdoor environments as resting facilities, exercise equipment, parks, farming gardens and waterfronts, and the push factors for them to use the outdoor environments were sordid indoor spaces, sense of isolation or loneliness, and the desire for maintaining good health. And the pull factors for them to use the outdoor environments were natural factors, opportunities for social interactions, space for exercise. The obstacles that hinder the elderly in using outdoor environments were the bad health of the elderly, lack of facilities, accessibility and weather condition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outdoor environment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elderly in urban underprivileged area and to relieve the burdensome problems related with ageing societies.

SNS 이용자의 폐쇄형 SNS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SNS Users' Switching Intention Toward Closed SNS)

  • 박현선;김상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5-160
    • /
    • 2014
  • SNS는 소통의 매체이자 공유와 인맥관리를 위한 도구로서의 긍정적인 측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개방형 SNS에서 불특정 다수와의 소통에 대한 피로감과 사생활 노출에 대한 불안감 증가와 같은 부정적인 측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SNS 이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중단을 결정하거나 특정 지인들과 그룹을 형성하여 소통하는 폐쇄형 SNS로 서비스 전환을 결정한다. 하지만 개방형 SNS가 약한 연결 관계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관계를 확산시키고 다양한 정보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경제 및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SNS 이용자들이 개방형 SNS에서 폐쇄형 SNS로 이동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이주를 설명하는 유용한 프레임워크로 알려진 Push-Pull-Mooring 모형을 근거로 SNS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SNS의 부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푸쉬 효과의 약한 연결성과 프라이버시우려, 폐쇄형 SNS의 긍정적 요인으로 제안한 풀 효과의 즐거움, 소속감이 폐쇄형 SNS으로의 전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 이용자의 상황적 요인으로 제안한 무어링 효과 중 SNS 피로감은 푸쉬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그리고 사용자저항은 풀 효과와 SNS 전환의도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가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을 제안하고 이용자들의 인식 전환을 유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ver The Top(OTT) 서비스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Push-Pull-Mooring 요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Push-Pull-Mooring Factors Affecting on Switching Intention to Over the Top(OTT) Services)

  • 박현선;김상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4호
    • /
    • pp.71-9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impacts of factors, representing Push-Pull-Mooring(PPM) on switch intention to OTT(Over-The-Top) service in demand for content and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deriving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switch on OTT service based on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and researches on OTT service. To test the hypothesis, a total of 357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s with experience in using OTT service and analyzed using SPSS26 and SmartPLS3.0.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ush, pull, and mooring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witching intention on OTT service.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both low switching cost and need for variety had a significant effect except for hypothesis H8.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 내 사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 Focused on Temples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21-630
    • /
    • 2011
  • 본 연구는 관광동기로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오대산국립공원 내 월정사와 치악산국립공원 내 구룡사의 2개 사찰의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152명을 대상으로 국립공원내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이유(추진요인)와 참여결정시 영향을 주는 요인(유인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객 특성과 유사성을 보였다. 요인분석결과 추진요인으로는 '자아실현', '건강추구', '자연동화감', '관계고양', '종교적 체험', '여가체험'의 6개 요인이, 유인요인으로는 '휴식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질', '사찰의 특성', '이용 편리성', '관광체험거리', '접근성과 교통' 등 6개의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리커르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4.71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적합한 지역으로는 강원도가 89.2%로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관광과 문화관광, 종교관광의 성격을 아우르는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다원적 참여동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경쟁력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연환경 기반의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가 지닌 웰니스지향적 추진요인과 유인요인들은 향후 보다 정교화된 후속연구를 통해 일반화될 것이 요망된다.

전통민속마을 방문의 추진 요인 및 유인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주 양동민속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Satisfaction by Visitors' pull factors and push factors - Focusing on Yangdong Ethnic Village in Kyeong-Ju -)

  • 강영은;양병이
    • 농촌계획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push, pull motiv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ho visited Yangdong village in order to maintain, conserve and seek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is vill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was that 'personal relations'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the pursuit of knowledge'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Secondly,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desire to new experience' have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sh factor generally. Physical environment was a only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ll factors. Thirdly,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a only factor t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recommend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is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pull and push factor to enhance the tourist attraction of Yangdong village.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preliminary data for planning and conservation guidance of traditional village.

작업 요인이 push-pull strength와 근육 동원 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work factors on push-pull strength and muscle recruitment pattern)

  • 심정훈;이상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3
    • /
    • 2002
  • Push-pull strength has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work factors such as height, distance, repetition, duration, posture and individu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work factors on push-pull strength and muscle recruitment pattern. Work factors were consisted of grip height(elbow, shoulder), grip distance(100%, 50%, and 25% of maximum grip distance) and shoulder angle(neutral($90^{\cire}$), and abduction($45^{\cire}$, $0^{\cire}$)) during sitting wo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rmalized strength and EMG value were higher at the elbow height than the shoulder height, and increased with grip distance and shoulder adduction. The results of ANOVA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muscle recruitment patterns among the task condi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ork factors as well as strength to prevent workers from work-related injuries.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6개 시·군을 대상으로 -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Making of People Migrated to Rural Area for Farming - Case of Gyeongsangbuk-do -)

  • 우성호;이성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101-11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people who have returned to rural areas for farming and resid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return farmers of six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buk-Do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11th 2013. For data analysis, researchers used 280 answered sheets and utilized two-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which are pull to rural area, push from city, and policy factor. The highest scores of factor is pull to rural area (2.93), the second one is push from city (2.31), and the lowest score is politic factor (2.18). In addition, thes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are elucidated by environmental variable, economic variable, and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factor of pull to rural area is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 and the factor of push from city is affected by economic variable. Lastly, politic factor pertains to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중고령자 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사회정책학적 연구 (A comparative social policy study on determinants of work of old adults)

  • 김수완
    • 한국사회정책
    • /
    • 제19권2호
    • /
    • pp.69-97
    • /
    • 2012
  • 이 연구는 중고령자의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국가비교적 관점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특히 계층효과, 일에 대한 관점, 노동시장 구조의 배출효과와 사회보장제도 등의 유인요인 효과 등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국제인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8개국에 대한 다층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층과 관계없이 대다수의 고령자들이 일하기를 원하며, 따라서 대다수 중고령자의 비근로는 일을 하지 않으려는 자발적인 선택이 아닐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둘째, 55-64세 집단에 있어서는 계층이 높을수록 일을 계속할 가능성이 높은 계층간 불평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근로여부와 근로시간 선호는 사회보장제도의 관대성보다는 시간제 근로비중 등 고령자에게 적합한 유연한 일자리가 제공되느냐에 더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적어도 국가 비교적 관점에서 볼 때 고령자 근로의 핵심적인 문제는 노동공급측의 문제(즉 고령자의 근로의욕)라기보다는 노동수요측의 문제, 퇴직 유인의 문제보다는 일자리 상황과 구조의 문제라고 보여진다.

블록체인 기반 공급망관리 정보시스템으로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n the Switching Intention to the Blockchain-based Supply Chai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오경상;이동명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11-2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공급망관리 정보시스템으로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변수 선정 및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TOE 프레임워크와 PPM 모델을 활용해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Push 요인, Pull 요인이 블록체인 시스템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Mooring 요인인 전환비용을 통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에 소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320개 응답 자료를 표본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Push 요인인 사회적 영향과 Pull 요인인 경영진의 혁신의지가 전환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전환비용 인식 수준이 높고 낮은 집단 간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공급망관리 정보시스템의 구현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SCBM(supply chain & blockchain management)의 개념 및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여자역도 인상종목의 경기력 결정요인 산출 (Determination of Performance Determinant Factors in Snatch Weightlifting)

  • 문영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1-2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determinant factors through analysis of 65 snatch skill kinematic factors of Athletics participated in 2001 Asian weightlifting competetion. The conclusion were as follows ; 1. In order to enhance snatch skill, when barbell move on knee position, One should be flex knee joint to 105-110 degree, and In pull motion, One should be move powerful extension of knee and hip joint. 2. In last pull motion, One try to make more lock out motion than extra extention motion of hip joint 3. In order to enhance snatch skill, It is inportant that elevate barbell highly by last pull motion through powerful knee extention, poweful hip flextion and One should be make lock out motion fast in the same time. 4. In order to enhance snatch skill, anterior-posterior movement width of shoulder joint should be small. 5. In order to enhance snatch skill, Hip joint should be move vertically on start and lock out phase, but In pull phase, extension motion of hip joint shoulde be performed more largely and power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