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Situations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만들기' 활동에 대한 고찰 (A Note on the 'Sentence Posing' Activities in the Third Grade Mathematics Textbooks)

  • 백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37-51
    • /
    • 2013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수학 교과서에는 '약속'으로 제시된 용어의 수학적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문장 만들기'가 신설되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문장 만들기 활동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바탕으로 문장 만들기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전반적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문장 만들기의 역할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장 만들기는 약속으로 제시된 용어를 실생활에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안으로 활용되어야 하며, 약속의 개념을 확인하기 위한 역할은 약속의 개념에 따라 선별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었다.

  • PDF

예비교사의 미분영역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2호
    • /
    • pp.233-25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미분영역 수학내용 지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사가 알아야 할 수학내용 지식을 학교수학의 내용지식과 과정지식,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으로 구분하고, 이를 교육과정과 연결하여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예비교사 70명이었으며 연구결과 어떤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지에 따라 예비교사의 수학내용 지식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익숙하지 않은 문제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값 정리의 활용에 관한 문제나 미분의 활용 문제에서 해석학적 수준으로 볼 때 어려운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정답률이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제 중심 학습(PBL)에 기반한 수업 지도 내용 탐색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관련 이론을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al Content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College)

  • 황혜정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29-251
    • /
    • 2020
  • Problem Based learning(PBL)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ncrease mathematical ability and help achiev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 problem solving using the learner's mathematical prerequisite knowledge. In addition, the recent instructional situations or environments have focused on the learner's self construction of his learning and its process. In spite of such a quite attention, it is not easy to apply and execute PBL program actually in clas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actually applying and practicing PBL in the area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not only secondary school but also in college. Its reason is that in order to conduct PBL instruction constantly in real or experimental class there is no more concrete and detailed instructional content during the consistent and long period. However, to whom is related to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instructors called scaffolders, investigation and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the learner's acquisi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and strategies is an very important work. By the reason,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content was to be explored and developed to be conducted during 15 weeks in one semester, which wa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the subject of the theories relevant to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ollege of education.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비례적 사고가 필요한 수학 개념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al concepts for proportional reasoning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권오남;박정숙;박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3호
    • /
    • pp.315-329
    • /
    • 2007
  • The concepts of ratio, rate, and proportion are used in everyday life and are also applied to many discipline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Proportional reasoning is known as one of the pivotal ideas in school mathematics because it links elementary ideas to deeper concepts of mathematics and scienc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proportionality in contextualize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mathematical concept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s connected with ratio, rate, and proportion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roportional reasoning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including ratio, rate, and proportion o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examines mathematical concepts (direct proportion, slope, and similarity) presented in a middle school textbook by exploring diverse interpretations among ratio, rate, and proportion and by comparing findings from literature on proportional reasoning. Our textbook analysis indicated that mechanical formal were emphasized in problems connected with ratio, rate, and proportion. Also, there were limited contextualizations of problems and tasks in the textbook so that it might not be enough to develop students' proportional reasoning.

  • PDF

환경 교육과 수학 교육의 접점을 탐색 (How To Implement Environmental Issues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 박경미;김정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2권1호
    • /
    • pp.172-188
    • /
    • 1999
  • Mathematics has been usually recognized as value-neutral and anti-ideological subject, and as a result, it has not dealt with environmental problems clearly. Also, it is not easy to find any environment-related content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However, because mathematics is also precious human products and essence, in any ways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 social issues in the mathematics subject which speak for human mental activities. If this need is admitted to change the mathematics contents to the direction of social issues, environmental problems can stand out and be dealt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Among the 6 domains in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dealt with in the domains of ‘numbers and operation’, ‘letters and formulas’, ‘regularity and function’, ‘chances and statistics’, ‘measurement’ except in the domain of ‘diagrams’. Also, the '문장제들' which takes up a considerable part of mathematics textbooks needs the authentic situation, and thus it will be possible to take environmental situations as mathematical materials. Furthermore, one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s that it suggested further study in each level of each domain, the representative pattern of which is the application of the mathemantics contents to the daily life. With this kind of mathematics further study contents, environmental problems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s for the further study. From this viewpoin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will be increased in the mathematics subject.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mathematics subject cannot be an exception in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this study has studied some concrete plans and examples for how th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can deal with environmental Problems.

  • PDF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 설정 (A Study on Constructing the Model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View of Situated Learning)

  • 신현성;윤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01-413
    • /
    • 2007
  • 이 연구는 변화하는 산업사회의 요구에 알맞은 창의적이면서 자기 주도적인 교실의 수업환경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보다 구체적인 목표는 학교에 알맞은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실험하여 그 효과를 논하는데 있었다. 기존의 PBL 모델을 파일럿 실험을 거쳐 우리 교실 환경에 알맞게 수정하고, 이 모델을 중학교 심화 반 36을 대상으로 8주간 실험했다. 그 결과 이 모델을 적용한 실험 반 학생이 문제해결 검사지 와 문제해결 태도 검사지에서 비교 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양한 상황 선정을 해석하여 상황의 단순화(수학적 의미부여)로 가는 능력이 탁월했다. 또, 이해를 생성하는 기법이 독특했으나, 문제 설정활동에서 학교성적 중간수준의 학생의 효과는 부정적이었다.

  • PDF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A Study on Students' Conjecturing of Geometric Properties in Dynamic Geometry Environments Using GSP)

  • 손홍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1호
    • /
    • pp.107-12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GSP(The Geometer's Sketchpad)를 이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이 학생의 기하학적 성질의 추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피면, GSP 환경에서 학생들은 문제 상황에서 주어지지 않은 새로운 조건들을 생성하고 그 조건하에서 성질을 추측하는 활동이 활발하고, 문제의 조건이 너무 적은 개방적인 문제 상황에서는 추측 활동이 미약하였다. 또한 GSP 환경에서 추측한 성질은 지필환경에서 추측한 성질보다 복잡하였고 증명하기 어려웠으며 GSP의 다양한 기능 중 'Alt' 키를 이용하여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은 측정과 계산 기능 등 과 같이 기하적 성질의 추측에 요긴하게 사용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기하적 성질을 증명할 때보다 스스로 기하적 성질을 발견하였을 때 더 자부심을 갖게 되며 더 기쁘게 생각하였다.

  • PDF

비례식 a:b=c:d의 의미 분석과 학습 지도에의 시사점 (Meaning of the Expression a:b=c:d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 임재훈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식 a:b=c:d의 의미 구조를 분석하고 학습 지도에의 시사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식 a:b=c:d는 다음과 같은 다중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한 상황에 내재된 다른 비 구조, 다른 상황에 내재된 공통된 비 구조, 다른 상황에 내재된 제3의 수량의 같음. 식 a:b=c:d의 의미 학습 지도에서 단위를 유연하게 설정하여 한 상황에서 다른 구조 보기와 다른 상황에서 같은 구조 보기, 이중테이프 모델 사용, 양의 속성의 차이에 따른 비율의 의미와 그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a:b=c:d의 전체 의미 구조에 비추어 보면,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져 온 비례식 의미 학습 지도는 식 a:b=c:d의 의미의 한정된 부분을 제한된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

  • PDF

구체물의 추상화와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Primary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alysis of Between Abstraction of Concrete Materials and Concretization of Abstract Concepts)

  • 임영빈;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59-173
    • /
    • 2016
  •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구체적 맥락에서 추상화하는 과정과 반대로 추상화된 개념을 먼저 가르치고 구체적인 문제 상황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 즉, 추상적 지식을 구체화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Freudenthal은 이런 상황을 반교수학적인 전도라고 표현하며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낸 바 있지만 모든 수업상황이 구체적 상황이나 구체물에서 출발하는 추상화로 진행될 수 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물을 추상화하여 추상적 개념을 형성하는 과정과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상황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그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위해 AiC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구체물의 추상화 과정에서의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고, AiC의 분석틀을 토대로 연구자가 구안한 방식으로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과정에서의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두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구체물의 추상화 과정만큼이나 추상적 개념의 구체화 과정에서도 유의미한 수학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TRODUCTION TO DIFFUSIVE LOGISTIC EQUATIONS IN POPULATION DYNAMICS

  • Taira, Kazuaki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9권2호
    • /
    • pp.459-51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areful and accessible exposition of diffusive logistic equations with indefinite weights which model population dynamics in environments with strong spatial heterogeneity. We prove that the most favorable situations will occur if there is a relatively large favorable region (with good resources and without crowding effects) located some distance away from the boundary of the environment. Moreover we prove that a population will grow exponentially until limited by lack of available resources if the diffusion rate is below some critical value; this idea is generally credited to Thomas Malthus. On the other hand, if the diffusion rate is above this critical value, then the model obeys the logistic equation introduced by P. F. Verhuls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