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atisfaction Learning Self-Efficacy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2초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Non Face to Face Real 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103
    • /
    • 2022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후 교육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고 소방학교 역시 대면교육을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 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생(소방공무원)의 교육효과는 떨어지고 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시스템 환경운영,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사이에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추가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가 좋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적 일수록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졌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이 높아지면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육설계자 혹은 교수자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면 교육콘텐츠를 제공해야하고 비대면 교육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호흡기계 표준화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시나리오 학습이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learning scenario using standardized repiratory pati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clinical skil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Health-related department students)

  • 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00-2108
    • /
    • 2015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보건계열 학생에게 적용한 후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과 비교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J시에 소재한 D대학 보건계열 3학년 학생 50명이 참여하였다. 실험군 25명에게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진행하였고 대조군 25명에게는 전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2013년 11월부터 180분간 주 1회씩 총 2회의 교육과 1회의 평가로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호흡기계 환자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기존의 시뮬레이션 교육보다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 적용하여 보건계열 학생들의 전문직 역량 강화를 위해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ith Gather Town)

  • 김나랑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1호
    • /
    • pp.219-23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 interaction level, presenc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ch are learning fa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A questionnaire survey technique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5, 2021,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non-face-to-face classes using Gather Town and a total of 11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Win ver.23.0 was used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AMOS 22.0 was used for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interest and interaction levels had effects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presence, self-efficacy o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find variables for improving learning immersion by conducting classes based on metavers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terest and interaction, which are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susta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mersion and increase presence thereby enhancing learning satisfaction so that the possibilities of metaverse as a next generation education platform passing the limit of existing real time video platforms can be peeped.

표준화 환자 시뮬레이션 실습교육기반의 간호교육에서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 효과 (The effects of Pre-briefing Team-based Learning in Standardized Patients Simulation)

  • 김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71-279
    • /
    • 2020
  •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임상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간호교육에 활용하고 있으나 새로운 교수법에 대한 부담과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면서 불안과 소극적인 실습참여는 실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는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72명으로, 연구기간은 2019년 10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다. 연구결과 사전브리핑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은 자기효능감과 시뮬레이션 실습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팀 기반 학습을 사전브리핑 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중요한 학습전략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확대 적용 및 사전브리핑 단계를 표준화하여 효과성을 확인하는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aract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정미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02-31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5월 22일부터 6월 8일까지 J도에 소재하는 396명의 간호대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Dunnett T3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인성 평균 $3.93{\pm}0.47$점, 간호전문직관 평균 $3.83{\pm}0.48$점, 자기효능감 평균 $3.53{\pm}0.59$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평균 $3.63{\pm}0.51$점이었다. 인성,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고,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업참여도, 전공만족도, 주도적 삶에 대한 인식, 자아통제, 의지 및 능력, 습관 및 자기효능감이었다. 그러나 간호전문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성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내에 자아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술기실습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rsing Skills Practice using VR(Virtual Reality) on Competency and Confidence in Nursing Skills, Learn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하영옥;권수진;김주이;송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7-55
    • /
    • 2022
  • 본 연구는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술기실습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전후 설계의 실험연구로서 간호학과 3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35명에게는 VR을 활용한 술기실습을 적용하였고, 대조군 35명에게는 모형을 활용한 전통적인 술기실습을 적용한 후 두 군 모두 간호술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자료수집은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VR을 활용하여 술기실습을 한 실험군과 전통적인 술기실습을 한 대조군 간 간호술 수행자신감, 학습자기효능감, 수행능력, 실습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의 유치도뇨와 기관절개관 관리 수행 자신감은 실습 전보다 실습 후 모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실험군(p=.000, p=.000), 대조군(p=.007, p=.000))가 나타났다. 학습자기효능감도 각 군에서 실습 전보다 실습 후에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p=.000)가 나타났다. 따라서, VR을 활용한 술기실습은 감염병 등으로 전통적인 술기실습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학생의 간호술 실습 시 활용 가능한 교육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persistence of students in health-related fields)

  • 이단비;김진영;송보희;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3-10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siste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a health-related field,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persist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grade health-field students at Daej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self-report, and a URL was sent by text message to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after reading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sults: Major satisfaction was 4.23 on average, academic self-efficacy was 4.15, and academic continuity was 4.25. Grad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the factors correlat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persistenc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seen between satisfaction with major (r=.637, p<.001) and academic self-efficacy (r=.563, p<.001); higher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led to higher academic persistence. Conclusion: A more systematic management approach needs to be conducted by developing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and applying customized counseling management and support programs by grade to improve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persistence of students in health-related fields.

자아성찰 자율실습이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through Writing Self-Reflective Journal on Basic Nursing Performance ability, Confidence in performance, Learning self-efficacy and Practice satisfaction)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93-306
    • /
    • 2017
  • 본 연구는 동영상을 활용하여 자아성찰을 통한 자율실습 후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사후설계 유사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G지역 일개대학 간호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7명, 대조군 5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4월1일부터 6월 14일까지였다.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은 ${\chi}^2$ test, t-test 및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변수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test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간호 수행능력 및 수행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t=15.304, p<.001), 실습만족도(t=15.304, p<.001)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점수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기본간호 자율실습 시 동영상을 촬영한 후 자아성찰을 통한 실습방법은 자율실습 참여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높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실습참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본간호 술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다양한 실습에 적용해볼 것을 제안한다.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Middle Age Adults)

  • 송선희;노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19-32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자기주도학습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지역평생학습기관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40세에서 64세인 중년기 성인학습자 2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교육만족도전체에 34.5%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참여동기 중 활동지향 동기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이 교육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35.5% 설명력이 있었다. 셋째, 평생학습 참여 동기 중 목표지향 참여동기, 자기주도학습 중 인성요인이 정적으로 활동지향 참여동기는 부적으로 교수자 만족도에 영향이 있었으며 24.7%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이 학습자 지원 서비스 만족도에 28.3%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인지요인만 교육환경 및 시설에 대한 만족도에 24.7%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평생학습사회 속에서 중년기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성향을 고려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이 요구된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학습동기,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전이동기-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Nursing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Learning Outcome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elf-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Transfer Motivation-)

  • 김남석;송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59-26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며 자료수집은 J소재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95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학습동기(t =-2.011, p =.046), 학습자기효능감(t =-2.225, p =.027)과 학습만족도(t =-3.428, p =.001), 전이동기(t =-2.628, p =.009)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가 평가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으로 분석한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과 관련된 단어는 상황, 경험, 연기, 의사소통, 시나리오, 정신간호 임상실습 등이 있으며, 만족도와 관련된 단어는 실제, 도움, 반응, 이해, 다양 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였고 다양한 사례를 적용한 정신시뮬레이션 실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실습 교육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현장 적응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적극 활용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