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RF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1초

ITRF에 준거한 정밀 GPS 측위에 관한 연구 (High Precision GPS Positioning Referred to ITRF)

  • 윤홍식;황진상;최윤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1-261
    • /
    • 2000
  • 본 논문은 정밀한 기준좌표계인 ITRF96에 준거하여 GPS 측위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측위 정밀도를 분석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법에 따른 중, 장기선장의 데이터처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Jet Propulsion Laboratory에서 제공받은 정밀궤도력을 사용하여 GPS의 관측오차를 최소화하였으며, GIPSY-OASIS I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관측기선의 비교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데이터 처리방법의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 PDF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Absolute Coordinates of Permanent GPS Site)

  • 윤홍식;황진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5-423
    • /
    • 2001
  • 본 연구는 GPS상시관측소의 기준좌표계별 절대좌표 산정을 위한 적합한 방안의 결정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성균관대학교 구내에 설치된 상시관측소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ITRF97성과는 정밀도 0.001ppm의 정밀단독측위기법으로 GPS 데이터를 해석하여 산정하였고. WGS84와 대한민국 좌표계 성과는 결정된 ITRF97성과를 이미 제공되어 있는 파라메터들로 변환하여 산정하였다. ITRF97 성과의 경우 제트추진연구소에서 개발한 위치결정 알고리즘과 GIPSY-OASIS II(이하 GOA II)를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WGS84와 대한민국 좌표계 성과는 IERS에서 전 지구적으로 계산한 좌표변환 계수와 2000년도 국립지리원에서 시행한 사업인 한국 지구중심 기준좌표계의 결정 사업을 통해 산정된 좌표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이를 지역적인 GPS 데이터 해석을 통해 산정된 성과와 비교하여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지구기준계 실현을 위한 142개 IGS 관측소 정밀좌표 및 속도 결정 (Determination of Precise Coordinates and Velocities of 142 International GNSS Service Stations to Realize Terrestrial Reference System)

  • 백정호;정성욱;신영홍;조정호;박필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3-310
    • /
    • 2009
  • 지구기준계 실현을 위해 최적망 구성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선택된 142개의 IGS 관측소를 선정하고 7년간 GPS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정된 기준좌표와 속도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지구기준좌표계와 ITRF2005와의 변환매개변수를 추정하였으며, 각각의 관측소에서의 좌표와 속도를 비교하였다. 산출한 변환매개변수는 최대 4.3mm 이내에 분포하였고, 좌표와 속도 차의 RMS(root mean square)는 수평성분이 6.7mm와 1.3mm/yr, 수직성분이 13.3mm와 2.4mm/yr로서 ITRF2005와 잘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측지기준계 결정을 위한 자체기술개발에 의의를 가지며 판구조운동 연구와 같은 전지구 관측을 위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자료처리 전략 개발과 더불어 관측소의 개수와 관측기간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지구기준좌표계가 결정될 것이다.

지자기 폭풍 영향에 의한 GPS 위치 변화량 연구 (The influence of Geomagnetic Storms on GPS Positioning)

  • 황학;이동하;윤홍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9-14
    • /
    • 2004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at the geomagnetic storms in the end of October 2003 influenced a positioning of GPS permanent stations. The data that observed in total 23 permanent GPS stations are used, and did a precisely analysis every hour with GIPSY-OASIS II software to produced ITRF2000 coordinates of each stations. After that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ITRF2000 coordinates calculated every hour with public ITRF2000 results of each st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creases of positioning errors showed well when geomagnetic storms happened and the maximum error reached about 0.80m.

  • PDF

제주지역의 국가 기준점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National Control Points in Jeju Area)

  • 정영동;양영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2
    • /
    • 2005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측지망을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Time-series Analysis of Geodetic Reference Frame Aligned to 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 Bae, Tae-Suk;Hong, Chang-Ki;Lee, Jisun;Altamimi, Zuheir;Sillard, Patrick;Boucher, Claude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13-319
    • /
    • 2021
  • The national geodetic reference frame of Korea was adopted in 2003, which is referenced to ITRF (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2000 at the epoch of January 1, 2002. For precise positioning based on the satellites, it should be thoroughly maintained to the newest global reference frame. Other than plate tectonic motion, there are significant events or changes such as earthquakes, antenna replacement, PSD (Post-Seismic Deformation), seasonal variation etc. We processed three years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data(60 NGII CORS stations, 51 IGS core stations) to produce daily solutions minimally constrained to ITRF. From the time series of daily solutions, the sites with unexpected discontinuity were identified to set up an event(mostly antenna replacement). The combined solution with minimum constraints was estimated along with the velocity, the offsets, and the periodic signals. The residuals show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lso affects the time series to a certain degree, thus it should be improved eventually. The transformation parameters to ITRF2014 were calculated with stability and consistency, which means the national geodetic reference frame is properly aligned to the global reference frame.

국가좌표계 변환요소의 개선 (Improved National Datum Transformation Parameters of South Korea)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101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한국경위도원점의 실용성과 및 VLBI 관측점과의 연결에 의한 국제지구기준좌표계94(ITRF94)성과의 결정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원점변환요소를 도출하고 있다. 또한 실용성과와 31점으로 구성된 지구중심좌표계 KTRF94 성과간의 국가변환요소를 가중변수법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변환요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앞으로 KTRF성과를 사용한다면 기선해석의 초기좌표 계산이나 지구중심좌표계의 3차원 성과산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First Results of GPS Measurements Along the Lai Chau - Dien Bien Fault in North-West Vietnam

  • DUONG Chi Cong;YUN Hong-Sic;CHO Jae-Myong;LEE Dong-Ha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5권1호
    • /
    • pp.51-58
    • /
    • 2005
  • GPS measurements from Feb. 2002 through Mar. 2004 were used to estimate recent crustal movement across the Lai Chau - Dien Bien fault system in North-West Vietnam. Four GPS campaign data were processed and combined with appropriate constraints using automatic GAMIT/GLOBK run in order to estimate ITRF2000 coordinates, local horizontal velocity and extensive/compressive strain rates. ITRF2000 velocities are consistent with east-southeastward movement of Sundaland i.e. Indochina. Local velocities show not much left-lateral strike-slip of the fault system and derived strain rates are insignificant from zero at $95\%$ confidence.

  • PDF

GRS80타원체로의 지도변환과 좌표변화량 분석 (Analyses of Coordinates Differences in GRS80 Map Transformation)

  • 이영진;차득기;김상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5-272
    • /
    • 1999
  • 현재 우리나라의 수치지도에서는 동경원점계에 의한 Bessel타원체 좌표계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지구중심좌표계(ITRF)에 의한 GRS80타원체 좌표계와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좌표계의 도입에 따른 지도좌표계의 전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두 체계간의 좌표차와 도엽체계에 대한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고, 두 좌표계간의 지도좌표계 전환모듈을 제시하였다.

  • PDF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 강상구;정영동;양영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4
    • /
    • 2006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 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 가능성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