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5초

디지털감각지각훈련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손기능과 시각-운동 통합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gital Sensory Perceptual Training on Hand Func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고운;오혜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1-150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capabilities in 3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0) that received digital sensory perception training and a control group (n=10) that did not receive this training. Methods : Training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for six weeks, for 50 minutes a day, twice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hand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Beery VMI-6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capability.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the ability to perform hand functions and visual motor interac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Digital sensory training therefo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 A digital sensory perception training program is an arbitration method that can positively improve the hand function and visual motor integration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창립 20주년 학술대회: PLAY inSIde 캠프 보고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KASI): PLAY inSIde Camp Report)

  • 김은영;최정실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
    • /
    • 2017
  • 목적 : 본 문헌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이하여 개최한 감각통합과 놀이를 연결하는 PLAY inSIde 캠프에 대한 보고이다. 본론 : 캠프의 주요 프로그램은 만 5~6세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에 근거를 둔 그룹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캠프는 오프닝 전체 활동 프로그램, 조별 활동 프로그램, 조별 포스트 활동 프로그램, 클로징 전체 활동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고, 아동들이 놀이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부모들은 감각통합 부모교육에 참여하였다. 캠프에 참여한 치료사들은 사전 모임과 리허설 시간을 가지며 활동을 계획 및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치료사들 간의 토의와 서포터의 지원이 있었다. 캠프 후 설문과 토의를 진행 결과, 치료사와 보호자는 캠프 참여에 만족하였고 공동작업을 의미 있게 경험하였다. 결론 : 캠프를 통해 아동들은 다른 아동들과 함께 놀이 활동을 경험하고, 치료사는 다른 치료사들과 전문성을 나누며 교류하고, 학회는 그간 축적된 자원들을 사회에 기여하였다. PLAY inSIde가 초석이 되어 향후 감각통합에 근거를 둔 사회 참여 활동들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Intervention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or Children in Korea)

  • 박아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0-7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애 및 비장애 아동에게 적용된 그룹 감각통합치료 중재에 대해 정리하고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검색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로 하였으며, 자료 검색을 위하여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대한작업치료학회', '한국학술정보(K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디비피아(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총 11편이 선정되었으며,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11편 중 8편(72.73%)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99명으로 연령은 3세에서 11세까지였으며, 평균 7.39세였다. 그 중 장애아동이 더 많았으며, 진단은 발달장애가 99명 중 40명(40.41%)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중재 회기는 총 5회에서 45회까지였으며, 주 1회 또는 2회, 시간은 60분 제공이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캐나다 작업 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과 또래 놀이 상호작용 평점 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가 각 4회(12.9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치료 중재 목표로는 사회 상호작용 기술이 8편(36.36%)으로 가장 많았다. 치료 중재 결과 8편의 연구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높은 질적 수준을 근거로 한 다양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중재 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여 임상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대근육 운동발달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Gross Motor Develop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of Cerebral Palsy Children)

  • 권혜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99-81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T) on gross motor develop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one-group pre-and post-test design. Subjects of the study were arbitrarily chosen based on predetermined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cerebral palsy children who were treated as out-patients at one rehabilitation hospital in Kyunggi-do. The study was conducted between early April and late July in 2000. Twelve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 five-step SIT program was devised from a combination of SIT programs suggested by Ayres(1985) and Fink(1989), and an author-designed SIT program for cerebral palsy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20 to 30 minutes of SIT per session, two sessions a week for ten-week period.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PC for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gross motor development, post-experimental gross motor scores were higher compared to pre-experimental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2. In respiratory function, post-experimental forced capacity vital scores were higher compared to pre-experimental score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S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gross motor develop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But, for the more effectiveness of SIT on gross motor develop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further studies employing longer-time experiments are recommended.

  • PDF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 Systematic Review)

  • 박엄지;신중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44-15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감각통합 중재가 어떤 영역에서 효과가 나타나는지 객관적인 근거를 찾고자 함이다. 연구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 Medline과 EMBASE에 "Occupational therapy",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ensory processing", "Weighted vest", "Wilbarger protocol"를 검색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구 중 감각통합 중재 효과를 보고한 14개의 연구를 분석하여 PICO원리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수준I과 근거수준V의 연구가 각각 4개(28.6%)로 가장 많았고, 중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빈도 분석한 결과 GAS와 VABS-II가 4개(11.8%)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분석 연구들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들이 71.4%로 주요 대상군이었으며, 감각통합 중재가 운동수행, 감각처리, 행동, 학습과 관련한 교육, 작업수행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각통합을 중재 계획으로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폭넓은 재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감각통합 중재 효과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여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Brotherhood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박지훈;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1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만 7~8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8주간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A 3회기, 중재기 B 16회기, 기초선 A' 3회기로 총 22회기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ESI(Evaluation Social Interaction)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매 회기 중재 후 실시한 자유놀이에서 대상 아동 모두 기초선 A의 평균과 2표준편차 밴드 이상인 값들이 두 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Sibling on Play Level and Tim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Chang, Ki-Yeon;Kim, Ki-Jong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
    • /
    • 2021
  • Purpose :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field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those that have seen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siblings through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T).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IT with siblings through the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 (RKPPS) and playtime. Methods :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disabled children, and 10 normal siblings of the disabilities joined the program as a helper. In addition, 10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ducted the intervention as a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whether they participate with their sibling or not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 SIT for 40 minutes per week fo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had 10 minutes of an interview with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0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10 weeks.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ce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pretense/symbolic, participation, and total scores.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results in the participation and the total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post comparison results. The comparison of post-intervention between both groups of the RKPPS and playtim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 The sibling SIT showed better play level and time than the individual therapy. However,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level of play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in participation and total scores in the control group. Clinically, it is recommended to make good use of sibling relationships when applying SIT, and if that is not possible, continuous observation is needed that children who received treatment become familiar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be treated.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능력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 김은영;박윤이;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7
    • /
    • 2009
  • 목적: 본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통해 학령기 감각통합장애 아동의 실행,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7~13세의 학령기 아동 5명으로, 실2험기간은 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 회7기 당 0분씩 총 26회기의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실행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Bruininks-Oseretasky Test of Motor Proficiency(BOT-2), 사회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성 기초기능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을 사용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BOT-2,(Wi사회성 기초기능척도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 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학령기 아동의 실행능력,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학령기 아동에게 그룹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효과를 제시하여 학령기 아동의 그룹치료에 대한 초기연구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감각통합 치료적용이 보다 확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를 늘리고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평가기준을 사용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yres의 감각통합(Ayres Sensory Integration®) 그룹 놀이 활동이 저소득층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 사회적 기술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Play Activities Based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Social Skill Ability and Self-Esteem of Low-Income Children With ADHD)

  • 이나핼;장문영;이재신;강제욱;여승수;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Ayres의 감각통합(Ayres Sensory $Integration^{(R)}$) 그룹 놀이 활동이 저소득층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 사회적 기술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G시 교육복지학교 3개교의 2학년과 3학년 저소득층 ADHD 아동으로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이다. 평가도구에서 감각처리능력은 단축감각프로파일(SSP)과, 사회적 기술능력은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SRS)와 자아존중감은 Rosenberg의 자아 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재 방법은 실험군은 Ayres의 감각통합 그룹 놀이 활동을 6주간 주 2회(총 12회), 매 50분씩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중재를 하지 않았다.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효과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COVA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 ${\alpha}$는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 Ayres의 감각통합 그룹 놀이 활동을 적용한 결과는 사회적 기술척도(F=4.443, p=.05)와 하위영역인 협동(F=5.328, p=.035), 자아존중감 (F=5.358,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Ayres의 감각통합 그룹 놀이 활동은 저소득층 ADHD 아동의 사회적 기술척도와 하위영역인 협동,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감각통합중재가 일반학교에서 적용될 수 있다는 근거와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 박지훈;이은정;노종수;이향숙;차정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0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