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Volume 8 Issue 1
- /
- Pages.27-40
- /
- 2010
- /
- 1738-0405(pISSN)
- /
- 2384-115X(eISSN)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Sensory Integration Therapy) after School on Functional Task Performance in School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 Park, Ji-Hoon (Institute of child & Adolescent Develoment,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 Lee, Eun-Jung (Han Wool Children Health Development Institute) ;
- Noh, Jong-S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 Lee, Hyang-Suk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 Cha, J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aeJeon Health Science College)
- 박지훈 (대전보건대학 아동발달연구소) ;
- 이은정 (한울 아동 건강발달연구소) ;
- 노종수 (대전보건대학 작업치료과) ;
- 이향숙 (대전보건대학 작업치료과) ;
- 차정진 (대전보건대학 작업치료과)
- Received : 2010.07.16
- Accepted : 2010.09.03
- Published : 2010.09.11
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effect of a sensory integration(SI) program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n after-school activity. The study is looking at both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and school-task performance which is an area of occupational performance. Methods : SI program specially designed as an after-school activity was provided to three boys who are first- or second grade students of Y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city. The SI intervention was organized with 25 sessions and carried out for two month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I program. Measurements used are Short Sensory Profile(SSP), K-DTVP-2, and BOTMP for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and School Function Assessment for functional schooltask performance. Results : It is found that posttest scores were enhanced in all assessments SSP; BOTMP; K-DTVP-2; and SFA. Conclusion : Results of this study simply propose that sensor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as after-school activity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mponents but also on school-task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Since sample size is too small, however, there is limitation to find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es testing large number of subjects are required to boost the finding of this study.
목적 : 본 연구는 학교 방과 후 활동으로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을 때 작업수행요소와 더불어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은 대전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2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 활동 시간에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였으며, 중재는 2010년 5월과 6월에 걸쳐 총 25회를 제공하였다. 감각통합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고, 작업수행요소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축감각프로파일(SS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BOTMP)를 사용하였으며, 작업수행영역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를 사용하였다. 결과 :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을 적용한 결과 대상아동들은 작업수행요소인 단축감각력(SSP), BOTMP,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의 수치상 향상을 보였으며, 작업수행영역인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SFA)의 점수에서도 향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방과 후 감각통합프로그램(감각통합치료)이 작업수행요소와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대상의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찾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수를 고려한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