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to-face Classes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1초

SW영재학급 교육과정 운영 비교 : 대면 및 비대면 수업방식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operation of SW gifted curriculum: Focusing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 이재호;송용준;가민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45-50
    • /
    • 2021
  • 코로나19가 초래한 비대면 시대에 SW교육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대면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따른 SW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전국 30개 SW 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수업 방식(대면, 비대면, 혼용)에 따라 구분하였다. 그후 계획 대비 수업시수 및 1인당 산출물 제작 결과를 양적 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한 시수 대비 가장 많은 수업을 소화한 수업의 종류는 비대면 수업(90.9%)이었으며, 다음은 대면 수업(84.2%)이었고, 가장 적은 것은 혼용 수업(80.5%)이었다. 학생 1인당 산출물 평균 개수는 대면수업(0.504개) 그룹이 가장 많았으며 혼용수업(0.421개) 그룹과 비대면수업(0.42개) 그룹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대면 중심의 수업을 진행한 영재학급은 가장 많은 수업시수를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방식에서는 영재학급의 1인당 산출물 개수가 부족했다. 즉 비대면 방식은 시수 확보에는 유리하나, 산출물을 지도하는 것을 교사나 학생들이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비대면 원격수업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소프트웨어 실습 중심으로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Remote Learning Program - focusing on University Software Practice)

  • 김상근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59-66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COVID-19)의 범유행 장기화는 전 산업에 걸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육분야에서 온라인 수업(비대면)은 학습 준비 부족과 학습자의 수업 불만 등 온라인 수업에 부정적인 인식이 일부 존재했다. 2020년 실태 조사에 따르면 비대면 수업에 비중은 약 56%이고, 수업 형태가 스트리밍 실시간 수업과 영상 콘텐츠 기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본 연구는 2020~021년 설문 조사(소프트웨어 활용 실습수업 대학생)를 통해 온라인 수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실증 분석하고, 세부 프로그램과 개발 방안(구현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 종식 이후 각 교육기관의 온라인 학습 개발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of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COVID-19)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9-524
    • /
    • 2021
  • 코로나19 상황이 국내 유입으로 인한 확산과 함께 지역사회로까지 감염이 계속되어 대학들 마다 전면 온라인 수업 및 부분적으로 온라인 수업을 진행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수업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 주목하여 콘텐츠 및 수업내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6월 11일까지 대구시 소재 S대학교 방사선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비대면 수업 전공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는 평균 3.78 ± 0.75점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만족도는 평균 3.00 ± 1.14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 수강 시 학생의 수업 태도와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 간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r=0.555, p<0.01), 콘텐츠 및 수업 내용 만족도와 학습 만족도 간에도 상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0.331, p<0.01). 비대면 온라인 전공 수업 시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함께 학생들과 교수자의 상호작용이 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re Traditional Motivation Theories Used in Face-to-Face Classes Valid in an E-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BANG, Mi-Hya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5권2호
    • /
    • pp.89-115
    • /
    • 2014
  •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 elementary school English e-learning system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which is widely applied to traditional face-to-face foreign language classes. The study also attempts to verify whether SDT-a traditional motivational theory that has been applied to face-to-face classes- is effective in an e-Learning environment with students who use this newly developed system. For the purposes of this project, the following three actions were carried out. First, a motivational strategy based on SDT was deduced. In SDT, the needs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were introduced a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ssumed that these three needs provided the natural motivation for learning,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an e-Learning system was created based on the deduced motivational strategy. Third, the system was implemented in 115 private tuition academies, and education was provided to 1,400 users for one year across the country. Afterwards, by surveying users,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of the three psychological needs in learning English, an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need and motivation were investigated.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raditional motivational theories used in face-to-face classes so far were effective in an e-Learning environment.

비대면 플립러닝의 효과에 대한 탐색 연구: 학습자 경험 및 인지된 학습성과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Focusing Learner's Experience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 박지원;박민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3-292
    • /
    • 2021
  • COVID-19로 인해 대학도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플립러닝 적용하고 있는 수업의 경우에도 비대면 체제로 전환하여 운영이 되고 있으나, 새로운 형태의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방식에 대한 사례 및 효과에 대한 탐색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플립러닝 교수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FGI 및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고 교과목 목표 달성 수준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방식에서 퀴즈, 팀활동, 그리고 교수자의 질의응답 및 피드백 등 상호작용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사전-사후 학습 달성 정도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코로나19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대학생들과 교수의 학업중단 인식 (University Students and Professors' Recognition of Dropout In Covid-19 Non-Face-To-Face Classroom Environment)

  • 정진;최미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79-290
    • /
    • 2021
  • 코로나19로 대학 학사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자, 학생들의 학업중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비대면 수업환경에 대한 물리학과 대학생들의 인식과 교수들의 인식, 코로나19 비대면 수업환경이 학생들의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19 비대면 수업이 물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물리학과 학생들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 대해 '몸은 편한데 마음은 불편한 비대면 수업', '나보다 똑똑한 사람이 책 읽어주면서 설명하는 느낌', '짧은 동영상 강의, 편하지만 손해라는 기분'이라고 하였으며, 교수들 역시 '완전 180도 바뀐 수업체계', '부담감이 많은 온라인 수업'이라고 하였다. 학업중단에 대해서 학생들은 비대면 수업환경으로 학업중단에 대한 고민이 더욱 심화되어 전과에 대한 고민이 증가되었다고 하였다. 교수들은 비대면수업과 학업중단 증가로 활력이 사라는 학과분위기가 되었다고 하였다. 코로나19 비대면 수업상황이 물리교육에 시사하는 바로 교수와 학생간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방안 모색과 실습수업을 보완할 수 있는 실재감을 높이는 수업방안 모색, 그리고 물리학 교수들의 교과교육학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 부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이 현장실습수업 참여능력과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Offline Classes after COVID-19: Focused on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Senses of Community)

  • 나경희;백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69-174
    • /
    • 2023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대면 교육 환경으로 전환되면서 학생 간, 그리고 교수자-학생 간 상호작용 및 공동체 의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대학생 4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지난 2년여 간 코로나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뒤 대면수업 환경의 적응 시기에 있는 학생들이었다. 대상 학생들은 Rovai(2002)의 '교실공동체척도'(Classroom Community Scale, CCS)를 수정·보완한 설문조사에 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학생들은 대면 수업에서의 수업 내용 이해도와 몰입도 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면수업 방식에 대한 적응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 환경에 대한 정의적인 요인 등에 대하여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재난분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교육의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Improvement of Non Face to Face Education focused on Professor of Disaster Management Field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40-654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국가재난상황에서 정상적인 교육운영이 어려웠다. 비대면 교육은 기존의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동일한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분야 교수자가 비대면교육의 전반적인 운영과 진행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비대면교육의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크게 수업이전(Pre-class), 수업 중(In-class), 수업 이후(Post-class) 로 분류하여 교수자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개선점을 파악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이전에는 교수자를 위한 비대면 교육공간을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고 비대면 교육장비와 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수업에 관한 공지를 충분히 함으로써 교육이 원활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실습교육을 위한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비대면 수업 중에는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학습자간의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론식 수업을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이끌고,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효과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비대면 수업이후에는 영상기록물로 인한 사생활 보호에 관한 정책을 마련해 사전에 교수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야 하고 교육 자료에 대한 저작권침해 부분 역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비대면 교육의 구성요소인 콘텐츠에서는 비대면 교육이 교육 설계부터 비대면 교육에 맞는 교육 인원, 내용, 커리큘럼에 대한 세밀한 계획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시스템에서는 교수자가 비대면 수업을 하기 전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서 교수가 프로그램의 기능을 충분히 익히고 숙지할 수 있는 시간을 줄 필요가 있고 비대면 교육 전 사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만일의 문제에 대비하여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는 helpdesk를 운영을 할 필요가 있다.

공학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의 운영사례 및 교육효과 연구 (A Case Study on Educational Effect and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 박형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9-44
    • /
    • 2023
  • 이러닝 교수법의 발전에 따라 대면교육과 이러닝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대면수업을 대체할 만한 학습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공학 교과목은 실습과 같은 다양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어 기존의 전통적인 블렌디드 러닝으로 운영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공학 교과목에 필요한 학습활동에 따라 기존과는 다른 교수학습설계가 필요로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과목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위해 교수법 설계 및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그 효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을 이론수업, 실습수업, 퀴즈 및 질의응답, 과제수행 및 풀이 등으로 세분화하고 학습활동에 따라 온라인 동영상, LMS 활용, 대면수업의 교수 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수업만족도 조사결과를 보면 공학교과목에서도 블렌디드 러닝은 순수온라인과 대면수업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활동별로 차별화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언택트 시대에 비대면 수업이 의류학 분야 대학생의 핵심역량 수준에 미치는 영향: 플립러닝 기법의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o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in Clothing Major: Focused on Application Case of Flipped Learning)

  • 김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1-165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증가한 비대면 수업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학 수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학습 만족도를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있는 S 대학교에서 진행되는 의류학 이론 전공 1개 교과목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고 해당 교과목에 설정된 주요 핵심역량인 문제해결 역량을 중심으로 3가지 세부 영역인 문제분석력, 자원·정보·기술활용 능력, 융·복합적 사고력 및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에서 비대면 수업 사전-사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플립러닝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후, 3가지 문제해결 역량 세부 영역에서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학습 만족도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의류학 전공 분야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효과 측정은 주로 패션디자인과 의복 구성 교과목에서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플립러닝과 같은 교수·학습법이 적용된 비대면 수업 진행은 학습자의 전공 지식 습득을 넘어 문제해결 역량과 같은 대학생 핵심역량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 제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류학 전공 교과목 중 이론 중심의 수업에 학습자 중심의 비대면 수업 방식의 적용 사례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차별화된 비대면 수업 설계 전략에 기초자료가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