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wn with Lov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9초

<필로우 톡>(1959)과 <다운 위드 러브>(2003):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화면 분할 (A Case Study on Pillow Talk(1959) and Down with Love(2003): Split Screen in Romantic Comedy Films)

  • 장우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80-93
    • /
    • 2014
  • 이 연구는 사랑과 성을 다루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 화면 분할 기법이 작품의 서사 목표와 전략에 맞게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검토한다. 로맨틱 코미디의 플롯은 남녀의 결합을 지향하지만 코믹한 상황과 에피소드를 통해 그 결합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연 구조에서,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화면 분할은 대개 구성점2 이전에 배치되어, 영화의 초점을 두 남녀 주인공에게로 집중시키면서 코미디를 창출하는 특징을 보인다. 화면 분할이 웃음을 유발하는 방식은 두 주인공 인물 간의 정보 격차에 따르는 긴장감, 대사의 중의법, 그리고 분할된 이미지의 결합을 활용하는 것이며, 웃음의 소재는 사랑과 성에 관련한 것들이다. 연구의 검토 대상이 된 로맨틱 코미디 영화는 마이클 고든 Michael Gordon의 <필로우 톡 Pillow Talk>(1959)과 피톤 리드 Peyton Reed의 <다운 위드 러브 Down with Love>(2003)이다.

일본에서 인기 높은 한국드라마의 연애스토리: 일본의 연애스토리와의 비교 (Love Stories in Korean TV Series which are popular in Japan: Comparison between Love Stories in Korean TV Series and Japanese TV Series)

  • 나고마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9-79
    • /
    • 2014
  • 근래 일본에서 TV 드라마 속의 연애스토리가 감소하는 가운데, 인기 높은 한국드라마의 연애스토리가 어떤 점에서 차별화되어 있는지를 검토한 결과 일본의 연애스토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나타났다. 일본작품의 주인공은 평범한 남녀가 많았고, 연애과정의 갈등은 인물 환경에 대한 갈등과 더불어 현실에서도 흔히 일어나는 개인의 생각 속의 갈등도 겪게 했었다. 사랑의 고백은 한국작품보다 심플한 표현을 사용하며 '좋아한다' '사랑한다'도 말하지 않은 남녀도 있었고, 사랑의 위기일 때도 상대에 대한 집착행동이 많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반드시 맺어지지는 않는 결말도 묘사되어 있었다. 한편 한국작품의 주인공은 남녀간 격차가 있는 입장이 많았고, 갈등도 환경 차이, 병, 연적 등의 환경적인 것이 대부분이었다. 모든 남녀가 '좋아한다' '사랑한다'는 말로 고백함은 물론 일본작품보다 열혈한 애정 표현을 많이 사용했고, 위기일 때도 모든 남자가 물러서지 않고 사랑에 대한 집착을 보여줬다.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모두가 행복하게 사랑이 결실되는 결말이 그려졌었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 인물 관계망을 통한 인지 감성 분석: 『로미오와 줄리엣』의 창작 및 욕망의 주체 (Cognitive Emotional Schema Analysis through Characters' Network in Shakespeare in Love : The Writing Process of Romeo and Juliet and the Subject of Desire)

  • 박은정;손기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425-435
    • /
    • 2016
  • 본 논문은 <셰익스피어 인 러브> 시청자가 영화를 보는 과정에서 어떻게 스토리를 이해하고 감흥하는 지, 영화의 인물관계망을 중심으로 관객의 인지 감성 스키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인물관계망 그림을 절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들은 왜, 그리고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불후의 명작을 젊은 나이에 성숙하게 비극으로 만들어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스토리 개연적 증거를 제시한다. 필자는 주인공 셰익스피어의 심리를 라캉의 "주체의 열망" 이론을 방법론으로, 셰익스피어의 글쓰기 과정이 셰익스피어로 하여금 영국 르네상스 시기의 대가로 도약하는 계기임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엘리자베스 여왕 영국 제국주의의 전성기 시대에 비올라를 욕망의 주체로 삼아서, 크리스토퍼 말로를 제치고 상류 사회로의 진입을 통해 예술적 대가로 도약하게 되었는지, 시청자의 스토리텔링 아키텍처를 인지 감성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동아시아 지각과 최상부맨틀의 3차원 S파 속도구조 및 이방성 연구 (Three-dimensional S-wave Velocity Structure and Radial Anisotropy of Crust and Uppermost Mantle Beneath East Asia)

  • 임도윤;장성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1호
    • /
    • pp.33-40
    • /
    • 2018
  • 이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의 지각과 최상부맨틀의 SV파 및 SH파 속도구조와 지진파의 속도 방사 이방성(radial anisotropy)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IRIS (Incorporate Research Institutions for Seismology)에서 동아시아에 설치한 광대역 지진관측소에 기록된 지진자료를 사용하여 레일리파와 러브파를 추출하였으며, MFT (Multiple Filter Technique)을 사용하여 각 성분에 기록된 주기 3 ~ 200초 범위의 레일리파와 러브파의 군속도 분산자료를 획득하였다. 수직성분에서 62466개의 레일리파의 분산곡선 측정값을, 접선(transverse)성분에서 54141개의 러브파의 분산곡선 측정값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분산자료를 역산하여 속도모델을 구하였고, 역산된 모델을 통해 깊이 100 km 까지의 SV파 및 SH파 속도 구조를 구하였다. SV파와 SH파 속도구조의 경우, 동일하게 깊이 30 km 까지 동해에서 강한 고속도 이상이 나타나며, 30 km 이상의 깊이에서는 중국 남서쪽의 티벳 고원에서 강한 저속도 이상이 나타난다. SH파 속도구조의 경우, 30 km 이상의 깊이에서 동해에서 상대적으로 더 강한 저속도 이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지진파 이방성은 평균적으로 동해지역에서 음의 이방성을, 중국 내륙지역에서 양의 이방성이 관측된다.

마리아 루이사 봄발과 김채원의 작품에 나타나는 숭고한 남성이라는 대상의 붕괴 (Destruction of the Dignified Object Called Man in María Luisa Bombal and Kim Chaewon's Works)

  • 최은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53권
    • /
    • pp.103-130
    • /
    • 2018
  • 칠레 여성 작가 마리아 루이사 봄발(María Luisa Bombal, 1910 - 1980)의 단편소설 "나무"('El ${\acute{a}}rbol$', 1939)는 '브리히다'라는 여주인공의 '개안(눈뜸)의 과정'을 이야기한다. 브리히다는 아버지의 관심을 얻지 못하자, 이를 남편의 사랑으로 대치하고, 이마저도 실패하자, 이를 대신하여 창문 앞 아름드리 고무나무 (남자로부터 받는 사랑의 대체물)에게서 위로를 얻고자 한다. 개안의 순간은 국가도로사업에 의해 고무나무가 잘려 나가면서 일어난다. 그 순간 그녀는 자신이 아직도 사랑을 원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소설은 나무의 쓰러짐과 여성 개안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지 않으므로써 그 상징성과 심미성을 높였다. 이에 필자는 봄발의 "나무"를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는, 한국 여성작가 김채원(1946 - )의 단편소설 "물의 희롱-무와의 입맞춤"(2015)을 분석한다. 김채원의 작품을 통해 봄발을 읽음으로써 봄발의 "나무"가 궁극적으로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이 여성이 남성과의 성과 사랑에 기대는 한 결국 파멸되게 되어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라틴아메리카의 단편소설과 아시아의 단편소설을 나란히 놓고 읽음으로써 여성이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인지해야 할 점들(a. 남자가 바라는 여자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의 오류와 b. 남성을 인생의 부분으로 여기지 못함으로써 생기는 오류)을 지적한다. 그리고 필자는 쟈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에서 나타나는 욕망대상의 허상성과 숭고한 대상의 붕괴를 통하여 앞서 언급한 두 소설이 말하는 예정된 여성 파멸의 이유를 설명한다. 그리고 결론으로 여성의 개안이란, 남성과의 성과 사랑을 통한 인생에의 안온함은 없다는 것을 인지하여, 본질적으로 허상적인 사랑에 스스로를 가두는 습성을 버려야 함을 주장한다.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활용 연구 (A Study on practical use about Kinetic Typography of Ethics Character Pictur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 정지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327-347
    • /
    • 2018
  • 18세기말부터 19세기말까지 한 세기를 아우르는 조선 후기 민중 예술은 조선의 상층민과 하층민의 신분격차에 반(反)한 새로운 예술의 한 장르였으며, 조선 후기 시대상과 사회계층의 변혁을 시도한 서민문화이기도 하였다. 한국 민중 미술의 발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듯 대중 미술의 개념으로 시작된 민화는 그 기능과 장식적 호사가 여느 도상(Iconography)의 이미지에 굴하지 않는 화려한 기법을 구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법은 결국 하층민이 시도한 그림이라하여 도상의 개념이 아닌 세속화(世俗畵)의 개념으로 그 의미를 격하시키기도 하였다. 그러한 시대적 상황의 격변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어렵게 이어져오고 있는 조선 후기 문자도(文字圖)는 저잣거리에서 하층민이 속화(俗畵)로 그리던 혁필화에 이르기까지 민중미술의 대변자로서 그 명맥을 어렵게 이어오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민중 예술의 독특한 장르인 효제도(孝悌圖)를 중심으로 효제도(孝悌圖)의 의미와 다양한 시각적 표현, 그 시대의 생활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영상 미디어 매체로 활용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제안함으로서 전통문자도의 아날로그적 스토리텔링을 영상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기법의 문자도(文字圖)로 연출함이 어떤 홍보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의 전통 콘텐츠를 세계에 알리고 다양한 미디어정보를 통해 아름다운 겨레글자를 알리는 국가 상징적 키워드로 재탄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통해 젊은 차세대들에게 전통문화의 고귀한 가치를 전승하는 데 의의가 클 것이며, 현대 표현 기법으로의 재해석을 통해 선조들의 시대정신을 계승하고 이해시키는데도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 콘텐츠의 여러 아이템들을 영상미디어와 융합한 뉴미디어 콘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이 경험하는 삶의 원동력 의미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Study of the Hermeneutical Phenomenon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of Life Experienced by the Elderly)

  • 한숙정;강경아;임영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9-12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of life experienced by the elderly and the realistic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driving force experienced by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between March, 2017 and May, 2017 and analyzed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o identify the essential themes of their experience.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22 themes and 14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The 14 essential themes of the driving force of the life of elderly were as follows: 'Memories from the past', 'Poverty to escape', 'Hand down family's heritage', 'A body bound by marriage', 'A body necessary for old age', 'A dignified body even if they grow older', 'A body that does not want to fall', 'A fruit of my life', 'Mature real love', 'Unchanging fraternity', 'Extended family', 'An old friend with whom share my heart', 'Satisfied with the situation', and 'Expanding the breadth of life'. Conclusion: Nursing programs that assess the driving force of life supporting the elderly and supports the driving force of such a life should be developed.

『알 카포네가 내 셔츠를 세탁한대』에 나타난 가족의 내적 성장 (Al Capone Does My Shirts and the Family's Spiritual Growth)

  • 최성희
    • 영미문화
    • /
    • 제17권2호
    • /
    • pp.63-88
    • /
    • 2017
  • Al Capone Does My shirts is a book that received the Newbery Honor Award in 2005. The novel is set on Alcatraz Island, where the Alcatraz Federal Penitentiary housed the most dangerous and heinous criminal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era, and is centered on aut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ving conditions of a family with an autistic child in Al Capone Does My Shirts and the family's spiritual growth through conflict and pain. This study finds that the parents' and siblings' pain from the autistic child is certainly a negative experience, but such pain can help grow the family's love and spirit. Moose, the protagonist, grows into a mature teenager who truly understands his autistic sister and attempts to remedy his mother's wrongdoing. The mother also lays down her unreasonable expectations for her children, learns how to wait and observe from a patient's point of view, and mends her relationship with her son. This novel thus conveys a hopeful message: the family of disabled children can overcome difficulties stemming from the disability through continuously trying to understand each other.

효의 현대적 이해에 관한 연구: 효 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rn Understanding of Filial Piety: Based on the Its Education)

  • 임희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7권3호
    • /
    • pp.229-24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conventional filial piety and its education to be a help to build up a moral society. Consequently the main point of this study is grafting our filial piety to industrial society and reviewing our conventional filial piety at the present time and what is the role of education. The traditional thought of our people is based on the filial piety and it is based on the basic love in humanity that is is rooted in the principle of benevolence. We should realize the most important practical principles of reverent affection. Our traditional filial piety has been handed down along with long history. though it has been a little chane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fundamental thought of filial piety has never changed. The education for filial piety in modern society should be taken charge of by family society and school and be helped each other So the filial piety thought as tradition l ethics has to be adjusted to the modern sense. We should make a considerable point of the filial piety education for value which will bring about the recovery of humanity.

  • PDF

인정투쟁: 한국노동운동과 경계에 선 사람들 (Struggle for Social Recognition in Labour Movement)

  • 유범상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65-195
    • /
    • 2017
  • 본 논문은 부조리한 삶의 경계에 선 사람들을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다룬다. 경계인은 1970년대부터 노동운동에 뛰어 든 사람들이다. 그리고 인정투쟁은 사랑, 권리, 가치부여의 측면에서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투쟁이다. 본 논문은 이들이 인정을 위한 열정으로부터 좌절된 과정을 분석한다. 경계인들은 인정을 위해 민주노조를 건설했고, 진보정당으로 결실을 맺었다. 그런데 부조리한 세상에 맞섰던 사람들은 개혁과 혁명의 경계인에서 무기력과 우울증이라는 갈림길에 있다. 열정이 식고 우울증의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혁명을 꿈꾸면서 의인이었던 이들이 인정되지 못하고 여전히 밖에서 경계인이 되고 좌절과 무기력에 있는 핵심적인 이유로 내부와 외부와의 다양한 측면에서 균열을 지적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균열을 극복하기 위한 소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