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actical use about Kinetic Typography of Ethics Character Pictur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활용 연구

  • 정지원 (한서대학교 디자인융합학과)
  • Received : 2018.01.17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late 19th century was a genre of a new art that was in contrast to the distribution between social class and low class, and it was also a popular culture that attempted to transform the late Joseon Dynasty's social clas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origin of the Korean folk art, started as popular art concepts, use colorful techniques and decorations which doesn't yield to ordinary iconography. But, because of the attempt of this technique was used by lower class, the meaning of the idea was lowered from iconography to secular picture. Ethics character picture, passed on to the present from going through the upheaval cultural time, was started from secular picture and transformed into hyukpil time illustration, and it represented popular arts until now. This thesis aims to reflect the meaning, various visual expressions and the lifestyle of Ethics Character Pictur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which is a unique genre of popular arts. Also, propose to suggest about the kinetic typography using video media, and how the traditional ethics character picture, which are combined with video technology, effects to the advertisements. These kind of attempts will show the world about the korea's traditional contents, and through the various media information it can be recreated as national symbolic key words. Furthermore, its meaningful to pass down the noble and cultural Ethics Character Picture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 younger generations. And by realigning to modern expression, it is predicted that it will be significantly meaningful to pass down and make the younger generations to understand to spirit of the ancestors. This will allow various attempts to reconstruct various items of contents from Korea's traditional contents to new media content that merged with video media.

18세기말부터 19세기말까지 한 세기를 아우르는 조선 후기 민중 예술은 조선의 상층민과 하층민의 신분격차에 반(反)한 새로운 예술의 한 장르였으며, 조선 후기 시대상과 사회계층의 변혁을 시도한 서민문화이기도 하였다. 한국 민중 미술의 발원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듯 대중 미술의 개념으로 시작된 민화는 그 기능과 장식적 호사가 여느 도상(Iconography)의 이미지에 굴하지 않는 화려한 기법을 구사한다. 그러나, 이러한 화법은 결국 하층민이 시도한 그림이라하여 도상의 개념이 아닌 세속화(世俗畵)의 개념으로 그 의미를 격하시키기도 하였다. 그러한 시대적 상황의 격변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어렵게 이어져오고 있는 조선 후기 문자도(文字圖)는 저잣거리에서 하층민이 속화(俗畵)로 그리던 혁필화에 이르기까지 민중미술의 대변자로서 그 명맥을 어렵게 이어오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민중 예술의 독특한 장르인 효제도(孝悌圖)를 중심으로 효제도(孝悌圖)의 의미와 다양한 시각적 표현, 그 시대의 생활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영상 미디어 매체로 활용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제안함으로서 전통문자도의 아날로그적 스토리텔링을 영상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기법의 문자도(文字圖)로 연출함이 어떤 홍보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의 전통 콘텐츠를 세계에 알리고 다양한 미디어정보를 통해 아름다운 겨레글자를 알리는 국가 상징적 키워드로 재탄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통해 젊은 차세대들에게 전통문화의 고귀한 가치를 전승하는 데 의의가 클 것이며, 현대 표현 기법으로의 재해석을 통해 선조들의 시대정신을 계승하고 이해시키는데도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 콘텐츠의 여러 아이템들을 영상미디어와 융합한 뉴미디어 콘텐츠로 재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나정태, 민화그리기, 대원사, p.66, 1998.
  2. 유홍준, 이태호 문자도, 대원사, 1998.
  3. 이동은/손창민, 시각 미디어의 진화에 따른 VR 매체 미학,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49호(2017, 12) p 633.
  4. 장원근, "춤추는 타이포그라피", http://jungle.co.kr/사이버교육/사이버 대학/, 2017.11.15.
  5. http://blog.naver.com/rashu88/220513243916, 2017.11.15.
  6. http://www.janavendano.com/running, 2017.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