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 care teacher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3초

영아교사의 애착 및 영아의 몸짓(gesture)과 영아 언어발달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fant Teacher Attachment or Infant Gesture and Infant Language Development)

  • 신애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21-1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 애착 및 영아의 몸짓과 영아의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가정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63곳에 재원 중인 18~24개월 영아와 그 담임교사 84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 애착은 영아의 언어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아교사 애착 유형별로는 긍정적정서, 접촉추구, 자기희생적온정, 근접추구, 결속, 기대감 모두 수용언어,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보호는 수용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냉담만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 몸짓의 하위요인 중 지시적몸짓은 수용언어와 부적 상관관계가, 관습적몸짓과 표상적몸짓은 표현언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애착과 영아 몸짓이 영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전체언어에 대해서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영아 언어 유형별로는 수용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접촉추구가, 표현언어는 영아교사 애착의 결속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아 언어발달에는 영아의 몸짓보다 영아교사의 애착이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영아교사와 영아의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통해 영아의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만 4세 유아의 기질이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 유아관계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ssociation Between Temperament and Peer Play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 신유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7-69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또래놀이상호작용의 관련성에서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과 갈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및 인천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11곳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606명이다. 교사 보고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기질과 또래놀이상호작용 및 교사-유아관계가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의도적 통제와 놀이방해의 관련성에서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이 높은 경우에는 의도적 통제가 놀이방해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었다. 정서성과 놀이단절의 관련성에서 교사-유아관계 친밀감의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사유아관계의 친밀감이 낮은 경우에는 정서성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되었다. 또한 정서성과 놀이단절의 관련성에서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은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사-유아관계의 갈등이 높은 경우에 정서성이 놀이단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유아의 경우 기질 뿐만 아니라 교사관계와 같은 환경요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arly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 박소윤;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1-354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생각과 요구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며 바람직한 초기적응 운영방식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의 만 1세반 영아 9명과 부모 7명을 관찰하였으며, S어린이집 교사 8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교사들은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내 자녀만을 위하는 이기주의, 상호간의 신뢰 부족, 초기적응 프로그램의 학부모 역할 이해 부족, 일과 운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우는 아이 달래기, 또래들 간의 다툼 중재하기, 재원 영아와 신입 영아간의 균형 맞추기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교사와 협력하기, 원장선생님과 대화하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교사들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아반 초임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전문성 및 자아존중감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ism Support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Charge of Toddler Classes on Self-respect, Efficacy in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 강은영;김진욱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7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if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s professionalism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is effective in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0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eaching in day 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wangmyeong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20 teachers) and a comparative group (20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pplied to the SPSS 22.0 program. To find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an intergroup difference, ANCOVA was conducted in the way of setting a pre-test score as a covariate.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erms of professionalism, self-respect, and efficacy in teaching.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gram is expected to be meaningful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beginning child care teachers in toddler classes to become experts in their field.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23-241
    • /
    • 2013
  •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가운데 직무특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훈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직접적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긍정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은 영유아교사직의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의사결정참여 능력은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복리 및 보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대처 방식이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심리적, 파괴적인 대처 방식은 각각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복리 및 보수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 Mapp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by Childcare Teachers)

  • 장경화;임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70
    • /
    • 2022
  • Obj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problems and demands about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epts of teacher righ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identify the concep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rights and interpreted these concepts utilizing the multi-dimension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interviews from eight childcare teachers, 37 statements were derived. The result of similarities evaluated by 28 childcare teachers showed that 37 statements about teachers' right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and four clusters (direct-indirect and indoor-outdoor of day-care cente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direct and indirec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at change is necessary not only within daycare centers such as the principal but that change is also necessary outside daycare centers such as at government agencies in relation to daycare teachers's rights.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조직충성행동과 업무만족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in Day Care Center)

  • 오경숙;조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5-5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and working satisfaction of 16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Three questionnaires abou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llen and Mayer(1990) developed and Son Sobin(2002) revised,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which Jo Bumsang(2004) revised, and working satisfaction which Kim Sunja(2005)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revised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loyalty was also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satisfaction was below average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working hours. La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and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should support for the teach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becaus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is highly related to successful organization of daycare centers.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창의적 역할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s Regarding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nd Their Creative Roles)

  • 이연승;임애경
    • 아동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3-193
    • /
    • 2001
  •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elief in DAP and their creative roles. Subjects were 203 teachers of public, private, national, and corporate day care centers in Pusan. Data analysis was by ANOVA. Results showed that with the exception of fluency, teacher's degree of belief in DAP correlated with differences in all the sub-categories of creative roles, including indulgence and perseverance, flexibilit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Conclusions were that teachers could enhance their creative roles through inclusion of DAP in teacher education.

  • PDF

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집단적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fficacy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 최인숙;성미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89-80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llective efficacy and efficacy of teachers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196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in the Incheon and Gyeonggi-do areas. These valuables were all measured b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effects on collective efficacy and efficacy of teachers. Second,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fficacy of teachers. Finally, the effects of principals' leadership on efficacy of teachers was totally mediated by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Most importantly, the collective efficacy of teachers tota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individual efficacy of teachers.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ing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on The Practice of Childcare Respecting Rights for Infants)

  • 고영윤;신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38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와 S시 지역의 보육교사 39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수준이었고, 심리적 소진은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은 정적 관계가 있었으며,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관계, 심리적 소진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도 부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 전체와 하위변인인 하루일과 존중, 아동 최선의 이익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의 실행을 위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