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dens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일월저수지의 습지 환경과 식생발달 (Wetland Environment and Vegetation Development of the Ilwol Reservoir)

  • 한윤호;김동엽;안원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16
    • /
    • 2002
  • Wetland areas have characteristics of dynamic cycling of materials in relation to land and water. Although having great potential for providing unique natural environments, they are vulnurable to human land use activities and some places are in danger of being eliminated. This study had an objective of investigating vegetation changes in Ilwol reservoi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pre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wetland area. Wetland vegetation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site conditions which may affect the vegetation development. There were 10 vegetation types with various species composition. Humulus japonicus, Zizania latifolia, Phragmites japonica, Bidens frondosa, Typha orientalis, Scirpus tabernaemontari, Phragmites communis, Persicaria thunbergii were the major wetland plants found at the reservoir area. Precipitation and water level were the elements mostly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the plants. Phragmites japonica was closest to the water front, followed by Zizania latifolia, Humulus japonicus and Bidens frondosa. Most plant zones were predominated by one or a few species.

벼 담수직파에서 벗풀과 미국가막사리의 발생밀도에 따른 쌀 수량예측 및 경제적 방제밀도 수준 설정 (Prediction of Rice Yield Loss and Economic Threshold Level by Densities of Sagittaria trifolia and Bidens frondosa in Direct-seeding Flooded Rice)

  • 김상국;김수용;원종건;신종희;권오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0-347
    • /
    • 2011
  • 본 시험은 2009년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벼 재배포장에서 잡초발생 예찰 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최근 담수 직파답이 늘어나면서 벼 재배시 문제잡초인 벗풀과 미국가막사리를 대상으로 잡초 밀도별 벼와의 경합력을 구명하고 Rectangular hyperbola 모델을 기초로 잡초의 밀도에 따른 쌀 수량 감소를 예측하고 경제적인 방제 필요수준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게 되었다. 잡초 초종별 밀도 증가에 따른 벼 수량 예측식은 벗풀이 y=497.0/(1+0.003760x), $R^2$=0.869이고, 미국가막사리는 y=486.0/(1+0.007612x), $R^2$=0.887로 나타났다. 제초제 구입 비용은 $ha^{-1}$당 138,670원이었고, 제초제를 살포하는데 소요되는 인건비 등은 $ha^{-1}$당 99,360원, 쌀의 kg당 가격은 1,756원, 제초제의 방제가는 95%로 적용하였을 때 경제적 한계 허용 밀도는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5톤이고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003670인 벗풀은 평방미터당 7.6본, 잡초 완전 방제시 수량이 4.9톤이고 1본당 수량 감수 정도가 0.007612인 미국가막사리는 평방미터당 3.9본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잡초의 벼에 대한 경합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한계 허용 밀도의 본수는 즐어 들었고, 경합력이 낮았던 잡초는 경제적 한계 허용 밀도의 본수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Review of the Poorly Known Harvestman Subfamily Opilioninae (Arachnida: Opiniones: Phalangiidae) with Himalphalangium spinulatum from Korea

  • Ban, Soo-Hong;Kwon, Tae-Seong;Kim, Byung-W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1호
    • /
    • pp.39-47
    • /
    • 2010
  • Himalphalangium spinulatum (Roewer, 1911) collected from Gijang-gun, Busan-city, Korea is redescribed with spination of leg, detailed illustrations including SEM photographs for the first time. Bidentolophus bidens (Simon, 1880) as a junior synonym of Opilio koreanus Charitonov, 1957 from North Korea is additionally reported in the Korean fauna. Also, a key to the species of Korean subfamily Opilioninae is provided.

토마토에서 방산된 휘발성 물질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Emitted by Lycopersicon esculentum)

  • 김영식;길봉섭;이은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1998
  • the phytotoxic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emitted from the tomato plant (Lycopersicon esculentum) on receptor plants such as Bidens bipinnata, Plantago asiatica, Lactuca sativa, Eragrositis ferruginea and Achyranthes japonica were investigated. Bolatile substances from the leaves inhibited seedling growth of receptor plants in the laboratory tests. The inhibition response vari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ompounds. To identify the phytotoxic compounds from tomato plant a GC/MS method was employed. Forth compounds, such as trans-2-hexeal, linalool, phenylacetaldehyde, methlsalicylic acid and tetradecanaic acid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tomato pla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omato plant may have allelopathic potential.

  • PDF

제주도 돼지풀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 양영환;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4
    • /
    • 2003
  •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팔당호 호안에서 수심과 경사에 따른 식생 분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Distribution with Water Depth and Crossing Slope at the Shoreline of Reservoir Paldang)

  • 이광우;김민경;안창연;심우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systemic data for the aquatic plant distribution according to water depth and crossing slope in the shor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nxiety to 0 near area Bidens frondosa, Scirpus tabernaemontani, Carex dispalata etc. total class 21 observe, and Phragmites communis, Iris pseudoacorus etc. class 6 of anxiety 0-70cm extent examined. Class 21 of anxiety observed all such as Bidens frondosa, Scirpus tabernaemontani, Carex dispalata in near area to 0, and Phragmites communis, Iris pseudoacorus etc. class 6 of anxiety 0-70cm extent examined. Anxiety 70-100cm extent Nymphoides indica, Ttapa japonica etc.. class 2 appeared to line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back 2 papers, 130cm and examined that Nelumbo nucifera was limit anxiety state 230cm. 2. Aquatic plants of Phragmites communis,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etc. range mainly to gentle gradient of slant 10 degree low and distribution pattern was ranging by Zizania latifolia, Typha angustata, Phragmites communis period of ten days from deepwater place. Nelumbo nucifera was forming become independent stock keeping away invasion of plant that ability to breed was different because was prosperous. Slant 10 bores was growing near sleep in been strange steep slope earth and distribution of emerged plant appeared punily and emerged plant and swampy land plant were ranged extensively in gentle gradient of 10 degree low. 3. On lake surrounding plant when wish to do distribution of natural conditions reference need to. That is, gentle gradient and distribution form of steep slope earth are different, and same pitch must consider enough this because appear as distribu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that some plant species were growing was different.

한국 담수산 윤형동물 IV. Brachionidae 의 2 속 Bachionus 와 Platyas (Rotifera : Monogononta) (Rotifera from Korea Inland Waters IV. Brachionus and Platyas of Brachionide (Rotifera; Monogononta))

  • 정정의;유형빈;김석이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35-56
    • /
    • 1992
  • 한국 담수산 윤충류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90년 3月부터 1992년 2월까지 전국 일대에 산재해 있는 댐, 호수, 저수지, 연못, 논, 웅덩이 등을 대상으로 총 205개 지점에서 채집을 실시하여 조사한바, Brachionidae과의 Brachionus속에 9아종 2변종 6형이, 그리고 Platyas속에는 1종이 밝혀졌는데, 그중 Brachionus속의 1아종 4형 : Brachionus urceolaris bennini, B. angularis f. bidens, B. quadridentatus f. rhenanus, B. forficuIa f. minor, B. forficula f. angularis가 한국 미기록으로 판명되어 기재와 함께 도판을 작성하였고, 본 연구에서 확인된 Brachionus와 Platyas속내의 종들에 대해서는 물론, 연차적인 발표를 목적으로 한국산 윤형동물에 대한 전체척언 검색표를 만들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기록된 한국산 윤충류는 총 2강 4목 14과 40속 134종, 15아종, 9변종, 9형이 된다.

  • PDF

인공호 호소사면 나대지의 식물분포 특성과 녹화를 위한 식물 종 선정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 천경식;김경아;서원복;장진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41
    • /
    • 2010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and plants selection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was investigated in nine artificial lakes. The vascular plants were composed of 64 families, 194 genera, 268 species, 3 subspecies, 30 varieties, 3 forma, totaling 304 taxa. Dominant species of nine investigated areas were represented as Ambrosia trifida,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Xanthium italicum. Dominant species of three parts based on the location of artificial lakes were as follows:Ambrosia trifida, Bidens tripartita,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Setaria viridis, Spergula arvensis, Torilis japonica in northern part (Lake Paro and Soyang); Calystegia hederacea, Matricaria matricariodes, Rumex crispus, Xanthium italicum in middle part (Lake Chungju, Daecheong, Andong and Imha); and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Chenopodium glaucu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Persicaria pubescens, Setaria viridis in southern part(Lake Juam, Hapcheon and Jinyang). Among the 304 taxa, Korean endemic, endangered and rare plants were not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was Th-$R_5-D_4$-e type. Above the results, Calystegia hederacea, Equisetum arvense, Xanthium italicum, Matricaria matricariodes, and Spergula arvensis were considered with proper species for revegetation in bare ground of lakeside in artificial lakes.

생태적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및 식물상 분석 (Analysis on the Vegetation and Flora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 유주한;정성관;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1-479
    • /
    • 2006
  • 본 연구는 미동산 내 형성되어 있는 소하천 주변의 식생정보와 식물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자연형 하천복원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과 더불어 복원용 소재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본 지역의 식물상은 33과 84속 81종 14변종 등 총 9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한 귀화식물은 오리새, 미국개기장, 소리쟁이, 취명아주, 토끼풀, 수박풀, 큰달맞이꽃,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기생초,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코스모스 등 총 15분류군이었다. 식생군락은 달뿌리풀이 전체 우점종으로 판명되었고 부 우점종이 갯버들, 갈풀, 미국가막사리, 고마리로 관찰되었다. 하천복원을 위해서는 생물종다양성과 서식처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달뿌리풀, 갯버들, 고마리, 큰물칭개나물 등의 다양한 소재 이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Léveillé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의 연속 논문에 기재한 한국산 신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II. 신종으로 발표된 분류군 중 분류학적 이명으로 간주되고 있는 분류군 (Taxonomic reexamination of new species described by Léveillé in the serial papers of Decades plantarum novarum. II. New species currently treated as taxonomic synonyms of other species)

  • 신현철;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43-169
    • /
    • 2009
  • 프랑스 식물분류학자 $L{\acute{e}}veill{\acute{e}}$, A. A. H.가 Decades plantarum novarum이라는 연속 논문에서 Faurie와 Taquet 신부 등이 국내에서 채집한 표본들을 근거로 발표한 다수의 신분류군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이들 분류군에 대한 분류학적 견해를 비교 검토하였다. 이중 다른 분류군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는 분류군은 146개로 확인되었다. 이들 중 Ajuga devestita 등 79개 분류군에 대해서는 일치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으나, Bidens robertianifolia 67개 분류군은 학자들마다 상충된 분류학적 견해가 도출되었고, Aconitum coreanum 등 8개 분류군은 후일동음명 등과 같은 이유로 비합법명이었다. 한편, Rhododendron hallaisanense 등 5개 분류군은 학자에 따라 독립된 분류군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