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제주도 돼지풀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 양영환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
  • 김문홍 (제주대학교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The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actual vegetation by using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n th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The flora was composed of 48 families, 156 genera, 200 species, 28 varieties, 2 forma or 230 taxa. Th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communities and one association; 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Bromus tectorum - Bidens pilosa, 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and 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associatio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was wide from the coastal areas up to the elevation of 1500 meter on Young sil of Mt. Halla. The highest dominance of th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is 345 meter which is located near Seoneheul-ri Jocheon-eup, on the other hand the lowest one is located 1020 meter near Young-sil of Mt. Halla.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Keywords

References

  1. Can. J. Plant Sci. v.55 The biology of Canadian weeds. Ⅱ. Ambrosia artemisiifolia L. and A. psilostachya DC Bassett,I.J;Crompton,C.W https://doi.org/10.4141/cjps75-072
  2.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Braun-Blanquet,J
  3. Weed Sci. v.19 Common ragweed ecotypes Dickerson,C.T;Sweet,R.D
  4. Bul. Seoul. Nat. Univ. For v.5 Plant resources of Korea Lee,T.B
  5. Can, J Sci. v.61 Ambrosia artemisiifolia L. Lonnie,W.A
  6.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Mueller-Dombois,D;H.Ellenberg
  7. 植物地理·分類硏究 v.42 濟州道後かの常綠闊葉樹に關する植物社會學的硏究 金文洪;福嶋司;聖野義延
  8. 제주대학교 환경연구논문빕 v.2 no.1 제주도의 해안사구식생 金文洪
  9. 東京農工大學 博士學位論文 濟州道の植生に關する植物社會學的硏究 金文洪
  10. Vegatation of Japan Miyawaki,A.
  11. 改訂版日本植物便覽 Miyawaki,A.
  12. 植物地理·分類硏究 v.27 no.1 濟州道の海岸植生 Ohba,T.u.;H.Sugawara
  13. 歸化植物 . 大日本圖書 歸化植物の生態學的特性 沼田眞
  14. 新版千葉縣植物誌 千葉縣の歸化植物とその形態 岩瀨澈;小瀧唵一夫
  15. 植物調査法. Ⅱ. 植物社會學的硏究法 鈴木兵二;이승수삼;農原原太郞
  16. 왜래식물의 영향 및 관리방안연구(Ⅱ) 국립환경연구원
  17.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박수현
  18.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판(보유편) 박수현
  19. 한국경작지 및 휴경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화학적연구 v.20 no.3 송종석
  20. 제주도 개민들레群落群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v.15 no.3 양영환;김문홍
  21.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제주도 활영수 2차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양영환
  22. 제주도 放牧用 野草地의 식생 조사에 관한 연구 v.9 no.1 양창법;정창조
  23.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24. 제주지역의 개망초의 발아 습성 및 耐陰性과 群落特性 v.15 no.2 李浩俊;金泰成;下斗源